사회복지현장실습_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장애인 편의시설의 잘못된 부분과 수정방법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현장실습_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장애인 편의시설의 잘못된 부분과 수정방법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장애인 편의시설의 종류

(2) 편의 시설의 잘못된 부분과 수정방법

1) 경사로 앞 점자블록

2) 공공주택의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3) 출입구의 경사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될 때 30m마다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해야 한다. 현재 전국에 이와 같은 규격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지 않은 경사로가 많기도 하지만, 규격에 맞는 경사로를 설치했어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생긴다.
현재 경사로의 마감은 철판으로 하고 있는데, 이것이 눈 오는 날에는 빙판길보다 더 위험하다. 현재 경사로들은 없는 건물이 거의 없고, 경사로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지만, 이것이 현재 있는 경사로를 조금 수정하는 것만으로는 능사가 아닐 수도 있다. 일본처럼 경사로를 없애고 인도와 건물 출입구의 고저 차를 없애거나, 상점 앞에 리프트를 설치하여 휠체어를 들어올 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을 단계적으로 시행하거나 이것이 힘들다면 경사로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마감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결론
장애인들은 선천적, 후천적 혹은 어떤 다양한 원인으로 사회적인 편의시설을 제대로 이용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차이를 인정하고 사회 전반적으로 그들이 사회적인 활동을 위해 그 불편함을 최소화해주고, 비장애인과 다를 바 없이 편리하게 사회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애인은 그들의 불편함을 당연히 받아들여 사회공동체로부터 단절되게 살아가거나 격리돼야 할 대상이 아니다. 장애인 편의시설은 비단 장애인뿐만이 아닌 상대적으로 물리적으로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를 위한 시설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들도 비장애인 같이 사회적 요구에 대한 평등을 보장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들의 기본적인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이동과 접근의 자유부터 보장해 주기 위한 환경 개선에 노력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기본적인 편의시설의 확충과 장애인들의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전체환경에서의 장애물이 없는 공간의 조성으로 그들이 주위의 도움 없이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재 각 지자체와 장애인연합 단체 등이 편의시설의 실태조사와 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정기적인 것이 아닌 간헐적인 것으로 여러 관련 단체, 관계기관 등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꾸준한 시설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 참고문헌
https://blog.naver.com/doall13/222204386324 : 경사로 점자블록 사진
http://mlgr-design.com/ : 경사로
http://news.tf.co.kr/read/life/ :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서평,   독후감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6.26
  • 저작시기202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3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