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질환 간호 연구논문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혈관질환 간호 연구논문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감각기능 감소 간호' 연구분석
2. '연하 장애 간호' 연구분석
3. 간호중재 적용
1) 감각이상과 관련된 안위손상
2) 연하곤란과 관련된 흡인 위험

Ⅲ. 결론

본문내용

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것이 환자의 퇴원 후 기능 장애 및 예후에까지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호수행
첫 경구 식이 시작 전 마른 침 삼키기 검사, 물 삼키기 검사, 점도증진제 검사를 순차적으로 직접 평가하였다. 점도 증진제 검사는 200cc 계량컵과 점도 증진제에 포함된 계량 스푼 그리고 10cc 주사기를 사용하였다.
매 끼니마다 흡인 및 사레 걸림 횟수를 측정하였다.
입원하여 첫 식이 시작 전 연하 장애 교육을 실시하였다. 연하 장애 정의, 연하의 단계, 연하 장애 증상, 연하 장애 합병증, 식이 섭취 시 간호, 연하보조식 종류, 점도 증진제 사용법 및 연하 장애 운동으로 구성된 교육을 인쇄물을 통해 환자와 주보호자에게 시행하였다.
입원 2~3일째에 신경과 전문간호사가 환자와 주보호자의 연하 장애 교육 이해 정도 및 식이 섭취 정도를 확인하고, 필요시 재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경구 식이 시작 전 마른 침 삼키기 검사, 물 삼키기 검사, 점도 증진제 검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매 끼니마다 흡인 및 사레 걸림 횟수가 0번이었다.
입원 2~3일 째 환자와 주보호자의 연하 장애 교육 이해 정도 및 식이 섭취 정도를 확인하였고, 관련 질문 3가지에 모두 답하였다.
대상자는 흡인의 증상을 보이지 않고, 깨끗한 객담 분비물, 정상 폐음과 기관기관지 청진음을 유지하였다.
결론
간호사는 뇌졸중 대상자와 직접적으로 가장 많이 접촉하는 의료진으로 입원부터 퇴원까지 환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보고서에서 고찰해 본 두 개의 논문 모두 뇌졸중 대상자의 간호를 정해진 알고리즘이나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다.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되어 있어 환자의 증상에 따라 어떤 타이밍에 어떤 내용을 사정하고 중재해야 할지, 언제 담당의에게 notify 해야하는지 확인이 가능하였다. 핵심 기본 간호술을 평가할 때도 프로토콜이 있듯이, 모든 간호 수행에 표준화된 간호 프로토콜이 있으면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의 질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연하곤란 연구는 증상 발생 72시간 이내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감각 이상 연구는 뇌졸중 급성기 치료 종료 후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렇듯 뇌졸중 간호는 발생 초기부터 급성기 조기 치료를 통해 환자의 예후와 장애를 최소화해야 하며 치료 종료 후에도 꾸준히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장기간의 치료를 요구한다. 또한 뇌 병변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다. 따라서 같은 뇌졸중 환자일지라도 대상자마다 현재 어떤 중재가 우선되어야 할지 고민해보아야겠다.
이번 과제를 통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논문을 분석해보았다. 대상자들에게 어떠한 간호 중재 방법들이 적용되었는지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간호 중재들이 대단히 특별한 중재가 아니었음에도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 기억에 남는다. 대상자의 간호는 모두 의미가 있으며, 간호사의 초기 평가와 지속적인 교육 및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간호 중재 실무의 타당성을 제시하며, 뇌졸중 환자 간호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악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좋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간호 연구의 의의를 알게 되었다.
간호사가 된 후에도 꾸준한 학습이 필요할 것 같다. 내가 담당하는 대상자들에게 더 좋은 간호를 제공할 방법이 무엇인지, 최근의 연구를 살펴보아야겠다. 이를 통해 근거 기반의 실무를 적용하여 대상자의 건강을 위해 노력하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
[ 참고문헌 ]
권보은 (2001). 뇌졸중 환자의 간호성과지표(nursing outcome indicators)개발[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윤정, 이지아 (2018). 뇌졸중 환자의 감각 이상 간호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성인간호학회지,30(3),301-313. https://doi.org/10.7475/kjan.2018.30.3.301
질병관리청 (2020). 2020 국민건강통계. Retrieved 21 October 2022, from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4/sub04_04_01.do
통계청 (2022). 2021년 사망원인통계. Retrieved 21 October 2022,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bmode=read&bSeq=&aSeq=420715&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한정희, 이지은, 전주현, 임유진, 윤은진, 김여옥 (2015).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연하 장애 간호 프로토콜’이 흡인성 폐렴 발생율과 일상생활 의존율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27(3),304-313. http://dx.doi.org/10.7475/kjan.2015.27.3.304
Kim KJ, Heo M, Chun IA, Jun HJ, Lee JS, Jegal H, et al.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2010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27(1):309-12. https://doi.org/10.1589/jpts.27.309
WHO (2020). Global health estimates: Life expectancy and leading causes of death and disability. Retrieved 21 October 2022, from https://www.who.int/data/gho/data/themes/mortality-and-global-health-estimates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11.05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9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