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Jean Piaget)그의 연구와 이론 <인지발달단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아제(Jean Piaget)그의 연구와 이론 <인지발달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Piaget의 정체와 그의 이론
1 Who is Piaget?
2 The Theory of Jean Piaget
1) 피아제의 연구
2) 피아제의 검사법 : 임상법

Ⅱ. Piaget이론의 개관
1 지능
2 기능적 불변체
3 발달의 단계적 계속성
4 인지발달의 요인

Ⅲ. Piaget이론의 주요 용어
1 도식
2 동화
3 조절
4 평형

Ⅳ.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1) 아동의 인지발달 네 단계
2) 발달단계의 특성
2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의 이해

Ⅴ. Piaget 이론의 제한점

Ⅵ. Piaget 인지발달 단계 도표와 발달이론의 접근 비교표

Ⅶ. 참조

본문내용

갈등을 해결하므로 발달한다.
적성, 사회환경, 발달과제
인지적 입장
Piaget
어린이는 환경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으로 인지능력이 발달한다.
단계, 구조, 동화, 조절, 적응
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변화는 강화, 처벌, 모방에 의한 기능이다.
모방, 강화, 처벌, 자극, 반응
인본주의자
인본주의
모든 개인은 독특하지만, 그들의 잠재력을 완전히 발달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자아(self), 긍정적 성장,욕구변형(meta needs), 자아실현
Ⅶ. 참조
◈ 지금까지 제기된 아동발달이론은 두 가지 관점으로 이론이 전개되었다. 전윤식 이영석 공저, 「삐아제와 幼兒敎育」, 서울 : 螢雪出版社, 1984 p. 19-20
먼저 아동발달의 연속성(連續性)을 주장하는 Gesell이나 Dewey의 입장이 있는데 이들 주장의 핵심은 성인과 아동의 차이는 발달과정상의 양적 차이(quantitatively different)라고 본다. 아동의 인지(認知), 정서(情緖), 신체(身體)는 근본적으로 성인과 질적(質的) 차이(差異)가 없다고 보고 단지 양적이 차이가 있으므로 아동은 성인으로부터 풍부한 지식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수동적(受動的) 아동(兒童)관(觀)을 가지고 있다.
아동은 단순히 외적 자극에 따라 반응만 하는 피동체로 여겨질 가능성이 크며, 이는 단적으로 말해 어린이는 어른의 축소판이라고 지적하는 관점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아동의 발달은 비연속적(非連續的) 특성을 띠고 있다는 견해가 있다. 어린이의 인지(認知), 정서(情緖), 언어(言語)등은 성인의 것과 질적(質的)인 차이(差異)가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보는 아동관은 실세계의 이해에 있어서 아동은 능동적 활동의 주체(主體)자(者)로 보며 근본적으로 아동은 성인과 동등하게 그 존엄성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입장의 대표적인 학자들로 Werner, Kaplan, Piaget등이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Piaget는 한 쪽의 입장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는 아동발달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속성(連續性)(continuity) 속에서 불연속성(不連續性), 불연속성 속에서 연속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역설하였기 때문이다.
Piaget의 입장은 발달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포괄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그의 인지발달 전반적 흐름은 각 발달단계의 연속성이라는 방탕위에서 각 단계가 갖는 구조적 특성을 적절하게 표현하려 했다. 즉 현단계의 아동발달 상태는 이전 단계의 심리적 기제에 다한 이해 없이, 기르고 다음 단계의 발달은 현단계의 발달적 성취 없이 그 발달 과정을 설명하기가 어렵다고 본다.
◈ 피아제의 발달 개념의 일반적 원리를 마이어(Maier)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김창걸 저, 「최신교육학(정통 수험서)」,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p. 260
① 모든 발달과정은 계속성이 있다.
② 발달은 일반화와 분화의 과정이다.
③ 각 발달단계는 전 단계에 기초를 두고 다음 단계로 계속된다.
④ 각 단계는 새로운 조직형태(scheme)로 전 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되 전단계의 행동형태는 열등한 것으로 지각되고 다음 단계의 고차적 수준의 행동형태 속에 통합되어 들어간다.
⑤ 조직형태의 차이가 경험과 행위의 차이를 낳게 한다.
⑥ 조직형태의 차이에서 오는 경험과 행위의 계층 속에서 개인들의 지적 성취의 차가 나타난다.
◈ 확률
피아제는 확률이란 개념을 사용하여 인지발달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즉 어느 특별한 단계에서 아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특수한 전략을 선택할 확률이 크다는 것이다. 각 발달단계의 출현은 정해진 연령에 따르는 것은 아니나, 일정한 연령층의 대부분의 아동이 어떤 발달단계를 규정하는 지적 행위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김현재 저, 「피아제의 이론과 臨床法 實際」, 서울 : 배영사, 1981 p. 12
아동은 가역적 조작수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확률상의 중요한 특성의 하나인 비가역적 계열을 차츰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iaget의 主著
Le Langage et la Pensee chez l\'enfant (1923)
La representation 여 Monde chez l\'enfant (1926)
Le judgment moral chez l\'enfant(1932)
La naissance de l\'intelligence(1936)
◈ 임용고시 기출문제
-96년 중등
Q. 피아제의 이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언어의 발달은 사고의 발달에 선행한다.
② 아동과 성인의 인지특성 간에는 구조적인 차이가 없다.
③ 아동이 범하는 오류는 그의 인지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근거이다.
④ 도식은 동화와 조절을 통해 평형을 유지하려는 선천적 경향이다.
☞ 답은 ①이라고 나온다. 그러나 절대적으로 인정되지는 않는 것 같다. 언어는 활동을 표상이나 사고로 내면화시키는 촉매자로 중요역할을 하지만 그것이 사고나 인지의 결정인자는 아니다. 다만 사고발달의 징표 혹은 상징적 기능의 한 측면에 불과하다. 언어발달은 인지발달에 필요불가결한 것이 아니라 촉진자이다.(벙어리의 경우를 볼 때)
◈ 참고서적
교육사전편찬위원회 편, 「敎育學大辭典」, 서울: 敎育書, 1992.
김언주 고광현, 「신교육심리학」, 서울 : 문음사, 2002,
김창걸저, 「최신교육학(정통 수험서)」,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김현재 저, 「피아제의 이론과 臨床法 實際」, 서울 : 배영사, 1981.
전윤식 이영석 공저, 「삐아제와 幼兒敎育」, 서울 : 螢雪出版社, 1984.
B. J. Wadsworth 저, 정태위 역, 「삐아제의 認知發達論 」, 서울: 배영사, 1981.
James W. Vander Zanden, 「EDUCATION PSYCHOLOGY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 RANDOM HOUSE, 1980.
Richard C. Sprinthall &Norman A. Sprinthall, 「EDUCATIONAL PSYCHOLOGY (A Developmental approach)」,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81.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3.12.09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20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