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 1) 위험성 평가의 절차 및 기법 2) 건설업에서의 위험성 평가 개념, 절차, 기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험성 평가) 1) 위험성 평가의 절차 및 기법 2) 건설업에서의 위험성 평가 개념, 절차, 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위험성 평가의 개념
2. 본론
1) 위험성 평가의 절차 및 기법
2) 건설업에서의 위험성 평가 개념, 절차, 기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로자, 감독 등 각 위치에 맞는 안전교육을 제공하는 것 등이 현장 지원에 해당할 것이다. 이때 의사소통 절차를 수립하고 이를 제대로 시행하는 것은 물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성과를 측정하는 것도 본사에서 해야 할 일이다. 현장에서는 위험을 파악하고 평가하며 위험성 평가 회의, 실제 근로자들에 대한 교육 및 개선책 도출을 해야 한다. 꼼꼼한 점검과 점검 결과에 대한 피드백도 현장에서만 할 수 있는 일이 되겠다. 현장과 본사가 서로 지원하고 원활하게 협조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3. 결론
사회가 발전할수록 잠재적인 위험성이 커지고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산업재해로 발전할 가능성이 과거에 비해 더욱 높아지게 되면서 산업재해 예방에 대응하고 사전에 강화를 위한 위험성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위험성 평가를 통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고 이를 관리하는 활동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김종서, 2018).
이제까지 위험성 평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고용노동부는 물론 산업안전공단과 관련 기관들의 오랜 기간에 걸친 연구를 통하여 수많은 시행착오와 운영에 대한 정책적 제도적 발전과정을 거치며 사업장에서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기법이 제시되어왔다. 어떤 곳이든 위험은 발견될 수 있으며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업장에서는 ‘누군가 하겠지’하는 식의 안일한 태도를 가질 것이 아니라 근로자 개개인이 위험을 인식하고 관련 수칙을 제대로 숙지하고 있을 때 갑자기 발생하는 사고에서 최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국가기술표준원. (2019).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KS Q ISO 45001:2018」.
국가법령정보센터. (2020).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 (URL: https://www.law.go.kr/%E % 96%89%EC%A0%95%EA%B7%9C%EC%B9%99/%EC%82%AC%EC%97%85%EC%9E%A 5%EC%9C%84%ED%97%98%EC%84%B1%ED%8F%89%EA%B0%80%EC%97%90%EA%B4%80%ED%95%9C%EC%A7%80%EC%B9%A8/(2020-53,20200114)).
국가법령정보센터. (2023). 「산업안전보건법」. (URL: https://law.go.kr/%EB%B2%95%EB%A0%B/%EC%82 %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 B2%95).
김종서. (2018). 위험성 평가 컨설팅을 통한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 &컨설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내우, 김정훈, 백종배, 이수길, 이영순, 이진우, 정영진. (2009). 「안전성 평가」. 파주: 동화기술.
최수환. (2013). 건설업 위험성 평가 실무적 적용을 위한 최적화 연구.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한국산업안전공단. (2009). 「사업장 안전보건경영 시스템 구축 실무 매뉴얼」.
KOSHA https://kosha.or.kr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1.25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