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A+] 탄수화물의 검출 레포트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원대학교 A+] 탄수화물의 검출 레포트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목적
Ⅱ.서론
Ⅲ.본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의미한다. 탄소의 수에 따라서 3탄당, 5탄당, 6탄당으로 분류하며 탄소수가 10개인 것까지 존재한다. 단당류는 다당류의 구성 성분으로, 모든 탄수화물의 기초 구조이다. 하이드록실기가 붙어있는 단당류는 여러 입체이성질체로 존재하며, 작용하는 효소들이 다르다.
+표
② 이당류
이당류는 단당류 분자 두 개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분자이다. 단당류(6탄당)들이 글리코시드 결합을 하면 이당류가 생성된다. 2개의 단당 분자 사이에서 탈수 축합 반응이 일어나며 물이 형성된다. 두 개의 당이 연결되는 아노머 탄소의 위치 배열에 따라 헬릭스(helix)구조를 만드는 알파, 판(sheet) 구조를 만드는 베타 결합으로 구별된다
그림 2. 탄수화물의 O-당화결합
+표
③ 다당류
단당류 여러 개가 축합하면서 결합한 중합체로 글리칸(glycan)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다당류로는 녹말, 글리코겐, 셀룰로스가 있다. 녹말과 글리코겐은 각각 식물과 동물의 에너지원으로 쓰이며 셀룰로스는 식물 세포벽의 주 구성요소로 식물의 골격을 만든다. 녹말과 글리코겐은 모두 알파 포도당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셀룰로스는 베타 포도당 분자가 사슬형태로 존재한다.
그림 4 다당류의 구조
3. 탄수화물의 검출
1) 베네딕트 시약을 이용한 당 검출 (Benedict’s test)
·환원당
환원당은 환원성을 나타내는 당을 뜻하며 헤미아세탈을 이루고 있는 알데하이드 혹은 케톤 잔기를 가지고 있는 당이 이에 해당한다. 베네딕트 시약은 환원성을 가진 탄수화물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며, 환원당이 염기성 용액에서 Cu염을 환원시켜 황적색의 Cu2O 침전물을 형성시켜서 당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화학식)
2) 펠링 실험을 이용한 당 검출 (Fehling’s test)
펠링 실험에서 CuSO4는 염기와 반응하여 Cu(OH)2가 되고 이것이 환원성을 가진 탄수화물에 의해 환원되어 적갈색의 Cu2O로 변한다.
+화학식
펠링 실험에서는 펠링 용액과 타르타르산염 알칼리용액을 각각 따로 만들어 두었다가 시험하기 직전에 이 두 가지 용액을 똑같은 부피만큼 섞어서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Cu(OH)2의 용해도가 커지고 시약의 안정성도 커진다.
4. 재료 및 기구
· 1% 포도당용액
· 1% 전분용액
· 펠링 용액 A, B
· 알코올램프
· 1% 설탕용액
· 베네딕트 용액
· 시험관
· 스포이드
Ⅴ. 참고자료
키틴 (naver.com)
섬유소 (naver.com)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26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