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적 글쓰기) 우리시대 노동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술적 글쓰기) 우리시대 노동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생활물류서비스업의 현 실태
1. 약한 근로자성
2. 열악한 근로환경
3. 침해받는 기본권
Ⅲ.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주요 내용
1. 개요
2. 동 법의 주요내용
Ⅳ. 생활물류서비스업 종사자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제언
1. 보호대상의 확대
2. 안전조치 및 보건의무의 형해화
3. 휴게장소 설치 운영의 현실화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지나친 규제의 손길로 인해 새롭게 성장하는 생활물류서비스 산업의 위축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론은 위 항목의 안전조치 및 보건의무에 대한 국가의 개입에도 동일한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사회계약설의 관점에서 국가의 근본적인 목적은 공동체 구성원의 기본권 보장이며, 생활물류서비스산업 종사자들 역시 우리 공동체 구성원의 일원이라는 점 그리고 휴게공간 최소 기준 권장을 영업규모, 매출규모 등의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시행한다면 행정적 부담은 경감될 수 있으리라는 재반론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기술적인 관점에서 휴게장소 설치 운영을 국가가 지도할 수 없다는 반론은 그 근거가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이상에서 발전하는 생활물류서비스산업과 종사자들의 현 실태와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주요 내용 그리고 개선방안을 통해 생활물류서비스산업과 종사자들의 권익보호를 위한 간략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현행 이륜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소화물배송대행 서비스 종사자의 범위가 협소하기 때문에 이를 드론, 전동킥보드 등 신종 이동장치에 대해서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종사자들의 권익향상을 위해 종사자에 대한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 의무의 현실화 방안을 지적했으며, 마지막으로 휴게공간의 현실적 운영을 위한 국가의 개입 의무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개입방안에 대해 신산업에 대한 과도한 국가의 개입으로 역설적으로 생활물류서비스산업의 위축이 발생할 수 있겠지만, 이는 산업구조에 대한 것이지 산업의 구성원에 대한 보호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국가는 신중하지만 과감하게 이에 대한 규제의 손길을 뻗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현재는 택배 등 제한된 영역에서의 생활물류서비스 산업만 존재하지만, 기술의 발달과 사회현상의 다변화로 생활물류서비스 산업의 확대는 필연적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종사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방안은 그들의 권익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리라 여겨지기 때문에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진하&황민영. (2021). 택배기사 근로환경 문제와 개선 방안. 서울연구원.
김효인. (2020년 10월 28일). 과로사로 얼룩진 죽음의 택배 노동…‘근로자성 인정’ 목소리 커져. 투데이 신문. https://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420.
권영택. (2022). 택배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박사학위, 대진대학교). DBpia.
정병순&정현철. (2023). 지속가능 서울경제 실현 위한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 방안. 서울연구원.
정다운. (2019년 11월 20일). 대리운전ㆍ택배기사도 노조설립 가능...특수고용직 판결 줄이어.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246281.
정재황. (2021). 신헌법입문 제11판. 박영사.
천만봉. (2013). 외국기업의 현지화와 CSR 활동에 관한 연구: 신뢰도, 몰입도, 기업평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0(2), 103-123.
최석범&임병하. (2021). 생활물류서비스발전법의 주요 내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31(6), 57-70.
최석범&박규용. (2022).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에서의 종사자 보호. 동북아법연구, 15(3), 551-573.
최혜진. (2023년 11월 20일). “섬으로 김밥 배달”…섬ㆍ육지 잇는 드론 배송. KBS.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2009&ref=A.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2.06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0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