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e나라지표를 검색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신으로 정리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업의 안전문화를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 의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안전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e나라지표를 검색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신으로 정리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업의 안전문화를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 의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e-나라지표”를 검색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신으로 정리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업의 안전문화를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 의견을 제시하시기 바랍니다.
2. Bradley Model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3. 영국 로벤스 보고서에 대해 간략히 요약하고, 우리나라에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4. 화학공정안전관점에서 전 세계에서 발생한 화재·폭발 사고사례 1건을 조사하여 원인, 결과, 예방대책 순서로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NCM 전구체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니켈, 망간, 코발트를 용해하는 제조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사고는 망간 용해조에서 발생하였는데, 용해조에 망간과 연수를 주입한 이후 원하는 반응을 위한 황산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황산과 망간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수소가 축적되어 일어났다. 축적된 수소가 폭발하여 스크러버와 용해조가 파손되고, 작업 중이던 작업자 2명이 폭발로 인해 비산한 황산 증기에 화상을 당하였다.
사고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망간과 황산의 반응으로 수소가 발생하는 것은 화학적으로 자연스럽다. 또한 수소와 작업자들의 부상 원인이 된 황산 증기는 원래대로라면 배기 계통을 통해 배출되어야 하는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사고 현장에서 수소와 황산 증기가 처리되는 스크러버를 조사한 결과 찌꺼기가 배기 계통을 막고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라 스크러버의 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정상적으로 증기가 배출될 수 없는 상황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고 이전까지 망간 용해조 내부에는 언제든 수소가 폭발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이 남아있던 것이었다. 결국 사고 당시 망간 용해조에 망간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망간 flake의 충돌로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었고, 스파크에 의해 수소가 점화되면서 폭발이 발생하고 용해조 파손과 부상 피해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고 발생 원인을 종합하면 설비 유지 관리의 미흡, 작업 전 위험성 평가 미실시 등 작업 방법의 부적절함, 그리고 수소에 대한 위험성 인지 부족을 들 수 있다.
유사한 종류의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용해조 탱크에서 생성되는 수소를 적절하게 처리할 필요성이 있다. 사고가 발생한 주요한 원인이 수소가 배출되지 않았던 것임을 감안할 때, 스크러버의 설비 유지보수를 지속해서 적절하게 진행하였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사고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소가 발생하는 반응인 만큼 위험성 평가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수소는 폭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가스이므로 평가서에 반드시 반영해야 할 뿐 아니라 실제로 용해조가 있는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개개인도 확실하게 수소 가스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적절한 행동양식을 따라야 할 것이다. “2021년 화학사고 사례연구 7호(망간 용재조에서 발생한 수소 폭발사고)”, 류재민, 산업안전보건공단, pp5-16, 2021
참고문헌
1) e-나라지표, 산업재해현황,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14#
2) “기업의 안전문화 평가 및 개선사례 연구”, 윤석준, 산업안전보건공단, pp78-79, 2016
3) “산업안전 부문도 선택과 집중 전략을”, 권혁면, 한국경제, 2017/09/1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7091345131
4) “노동 안전 분야의 마그나카르타, 로벤스 보고서: 누가,왜, 어떻게 만들고 실현할 수 있었나”, 박상훈, 국회미래연구원, pp5-13, 2023
5) “왜 자꾸 일하다 죽는가, 영국 ‘로벤스 보고서’의 질문”, 전혜원, 시사IN, 2023/01/02,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343
6) METTLER TOLEDO, 화학 공정 안전,
https://www.mt.com/kr/ko/home/applications/L1_AutoChem_Applications/Process-Safety.html
7) “2021년 화학사고 사례연구 7호(망간 용재조에서 발생한 수소 폭발사고)”, 류재민, 산업안전보건공단, pp5-16, 2021
  • 가격3,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3.14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3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