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 디지털교육)유아 디지털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매체를 제시 교수매체가 지닌 장단점 인공지능의 개념 및 원리 일상생활과 교육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사례 미래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과 디지털역량 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 디지털교육)유아 디지털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매체를 제시 교수매체가 지닌 장단점 인공지능의 개념 및 원리 일상생활과 교육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사례 미래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과 디지털역량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아 디지털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매체를 제시하고, 본인이 제시한 교수매체 중 3개를 선택하여 각 교수매체가 지닌 장단점을 기술하시오.(20점)
(1) 유아교육에서 교수매체의 흐름
(2) 유아 디지털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매체
① 스마트폰/스마트패드 ② AR/VR ③ 3D 프린터, 3D 펜 등 기타 디지털 매체
2) 각 교수매체의 장단점
① 태블릿 PC ② AR ③ VR

2. 인공지능의 개념 및 원리를 제시하고, 일상생활과 교육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사례에 대해 기술하시오. (15점)
1) 인공지능의 개념 2) 인공지능의 역사
3) 인공지능의 원리
4) 일상생활과 교육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 사례
(1) 일상생활
①스마트 홈 ② AI 비서 ③개인화된 추천 시스템 ④AI 고객 서비스
⑤스마트기기와 가전제품 ?헬스케어 및 웰니스 ? 자율주행 기술
(2) 교육분야
①음성인식 기술 기반의 AI 스피커 활용
② 음성(영상)인식과 자연어 처리 기술이 결합된 애플리케이션
③ 생성형 AI 수업활용
④ 국내 주요 에듀테크 기업 서비스
⑤ 공공 분야에서의 교육과 관련된 활용

3. 미래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과 디지털 역량에 대해 기술하고, 자신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을 서술하시오. (15점)
1) 미래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과 디지털 역량
2) 자신의 디지털 역랑 강화 계획
(1) 놀이 및 활동 지원 (2) 놀이 관찰 및 기록
(3) 업무수행 (4) 가정연계 활동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유아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며, 개별 유아의 특성과 발달 정도를 알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놀이기록은 유아의 시선으로 놀이를 바라보고 교사로서 교육적인 지원을 하기 위한 판단의 근거로 활용한다. 그러나 교실현장은 쉴 틈 없는 유치원 업무, 객관성을 위해 길어지는 기록, 손으로 적는 수기 기록, 공유를 위해 재작업하는 기록 등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사의 놀이기록과 관련하여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을 활용한 놀이기록 방법은 한글, 엑셀 프로그램, 네이버 밴드, 교육부의 관찰 기록 앱, 스마트폰 메모장, 태블릿 PC, 유아교육 관련 관찰기록 사이트, 패들렛(Padlet) 등이 있다. 이 중 개별 교사가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매체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의 놀이 흐름을 기록하기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패들렛을 활용할 수 있다. 패들렛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자료공유가 가능하다다. 패들렛의 놀이기록은 게시물 업로드, 내장된 다양한 서식 기능 활용, 스마트폰 앱 활용, 복제기능을 활용하여 개별 유아의 기록이 가능하며, 놀이기록 영상, 이미지, 관련 사이트 링크 연결, 게시물에 대한 의견 표현, 댓글 등의 기능이 있다.
(3) 업무수행
교사의 업무수행을 위해 동료교사와 디지털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협업은 직접 만나지 않아도 같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업무도구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교육부, 2021b). 구글드라이브, 원 드라이브, Zoom, 네이버 밴드, 카톡 오픈채팅방 등이 있다. 디지털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사용법 관련 교사 교육과 놀이계획안, 환경구성 정보, 자료 등을 실시간 공유하고,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진, 영상, 아이콘은 무료로 제공 되는 공유 저작물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으며, 관련 포털사이트에서 이용권을 구입하여 저작권에 관계없이 이미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개인 교사의 부담보다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공유 라이센스를 구입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가정연계 활동
교사업무 중 가정연계 활동에서도 다양한 디지털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행사 운영에 디지털을 활용한다면 다음의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① 계획 및 안내하기: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 또는 QR 코드를 활용하여 행사 일자, 시간, 방식 등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미리 캔버스 등을 이용하여 카드뉴스 또는 포스터를 제작하고 안내한다. ② 준비하기: 행사 시작 전 안내사항 및 행사순서는 PPT로 제작한다. 행사 영상은 PPT의 쇼보기 기능을 활용하거나 영상 제작 활용 앱(VLLO) 등을 이용한다. ③ 실행하기: 유튜브 스트리밍 기능을 이용한 온라인 행사 운영, 실시간 실행, 사전 제작 후 실행이 가능하다. 상황에 따라서 채팅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④ 평가하기: 온라인 설문조사 서식을 활용하여 무료로 제공되는 온라인 설문도구나 패들렛 등을 활용하여 행사에 대한 학부모 평가를 할 수 있다.
온라인으로 가정과 의사소통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 플랫폼(예: 구글 설문조사 양식), QR 코드, 카드뉴스, 실시간 소통 플랫폼(예: Zoom), 소통 애플리케이션(예: 네이버 밴드, 카카오톡, 클래스팅, 키즈 노트 등)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카드 뉴스는 미리 캔버스 사이트(www. miricanvas.com)를 활용하여 다양한 템플릿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며, 실시간 쌍방 소통 플랫폼으로 클래스팅 앱(www.classting.com)을 활용하여 공지사항, 놀이보고서, 공개수업 영상 등을 공개하고 소통할 수 있다. 이 외에 모바일 알림장 기능이 가능한 아이엠 스쿨-티처 앱(www.iamservice. net)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원격 출결, 홈페이지 연동 기능이 있는 경우 학급 경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김정숙, 유구종, 문가영(2023). 미래사회와 유아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광형, 이병래(2018), 인공지능,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현상(2023), 인공지능 혁명, 트렌드리더.
박미란(2023), 인공지능, 세상을 바꾸다, 유페이퍼.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3), 2023 디지털교육백서, 내일날씨.
김태훈, 생성형 AI의 수업 활용 방안, 교육동향분석 12호. 전북교육정책연구소.
장상현,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과 교육플랫폼, 지능정보기술동향 2021 5월호.
이종현, 교육 분야에서의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활용 동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이 교육활동에서 디지털매체 활용에 미치는 영향
https://dcollection.yonsei.ac.kr/public_resource/pdf/000000545834_20240416202547.pdf
김선민, 최지영(202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증강현실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2023, vol.18, no.2, pp. 337-351 (15 pages),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박현정(2022), VR 교수매체를 활용한 유아 놀이에 대한 참여적 실행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의 개별화 지향하며 형평성·포용성 높이는 AI 활용 필요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fcode=00002000040000100010&cidx=14456&sel_year=2023&sel_month=09
인공지능 활용한 교육혁신
http://webzine.koita.or.kr/202211-innovation/%EC%9D%B8%EA%B3%B5%EC%A7%80%EB%8A%A5-%ED%99%9C%EC%9A%A9%ED%95%9C-%EA%B5%90%EC%9C%A1-%ED%98%81%EC%8B%A0
AI시대, AI교육!
https://sti.kostat.go.kr/window/2021a/main/2021_sum_02.html
생성형 AI 활용 교육 우수 사례
http://www.webzine-ssp.kr/special_theme/77
  • 가격6,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4.04.19
  • 저작시기202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8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