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Sentences and Utterances

*signal
*channel
*strings
*encoded
*interrogative

2. Lexical meaning

*homonymy
*polysemy
*synonymy

2.1 FORMS AND EXPRESSIONS
*token
*types
*instantiates
*cit

본문내용

라고 할 수 있다. 내포란 하나의 언어표현을 그 extention과 관계시켜 주는 것이므로, 언어표현의 extention을 결정해 준다고 할 수 있다.
3.2 BASIC AND NON-BASIC EXPRESSION
*ostensive definition
명시적 정의. 한 단어의 의미를 그것이 지시하는 지시물 중에서 하나를 지적함으로서 정의하는 것으로, 언어습득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atomicity
불의미론. 형식적 언어의 통사론이 자연언어의 통사론에 매우 가까우면서도, 그 형식언어에 대한 직접적인 의미해석이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의미론은 Montague의 의미론에서 자연언어의 모든 표현을 일단 내포논리(international logic)로 옮기는 번거로움을 배제하고, 대부 분의 표현을 외연논리로 처리하되, 오로지 본래부터 대표적인 언어사실만을 내포논리체계로 다루는 간소화를 이룩했다. 존재론적으로, 외연논리에서 모형의 진리치의 집합과 담화城 U라는 두 가지 의미원소를 두는 것이 전통이나, 불의미론에서는 U를 제거하고 존재론적 완성을 본다. 따라서 모형의 의미원소는 종전과 같이 진리치의 대수와 더불어 속성들의 또 하나의 대수인 P인 것으로 본다. 그런데, 이들은 완전하고 '원자적'이어야 한다. 대수 P는 보통 명사구 유형이다.
*atom
원자.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프로그램 언어인 LISP의 S-expression을 이루는 요소. 즉, S-expression은 원자와 원자를 소괄호로 둘러 싼 list로 구성된다. 원자는 로마 자로 시작하여야 하며, 문자나 숫자 이외의 기호는 사용할 수 없다.
*classifier
分類辭. (1) 단어들의 의미론적, 또는 형태론적 종류를 가리키기 위해 쓰이는 보조적 기호. (예: 새 한 '마리') (2) 그것이 속해 있는 단어의 범주를 가리키는 형태. (예: -mente는 서반어와 이태 리어에서 부사를 나타냄)
*gender
성. 명사, 대명사, 형용사, 관사의 형태에 근거하여 문법적 성을 나타내는 문법범주. 자연적 성과 는 구별된다. (예: 불어의 le, la )
3.3 NATURAL KINDS
*structuralism
구조주의. 주로 J. Dubois에 따른 구조주의에 대한 해설의 입장에서, 구조주의라는 용어는 사람 과 그 시기에 따라 여러 다른 언어 학파들에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 단어는 그들 학파 중의 어느 하나를 지칭할 때, 또는 몇몇을, 때로는 그들 모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들 학파들은 언어학에 있어 '구조'의 정의를 포함해 몇 가지 개념과 방법론을 공유한다. (1) 변형 구조주의를 제외하고, 분포주의, 기능주의 언어학파는 실현된 문장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따라서 구조주의는 우선 내재성 원칙을 세우고, 실현된 문장들의 연구에 국한하여 그들의 구조 를 정의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또한 이들은 언어경제성의 근거를 부호의 공시적 기능에 둔다. 문장 총체에 대해서, 어떤 내재적 분석에 기초하여 후에 밝혀야만 할 구조의 존재를 선험적으로 설정하며, 부호란 어느 하나로 귀속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런 구조와 구조 간의 독립성 은 기의와 기표는 자의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가정을 수반한다. (2) 구조주의론자들은 분석의 단계를 정의할 때, 문장을 각 구성요소가 좀더 상위의 구조에서의 결합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적 인 구조의 연속으로 인식하고, 음운은 형태소 단계에서의 결합상태에 따라, 형태소는 문장 내에 서의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고 인식한다. (3) 구조주의는 어느 단위의 환경연구에 의존한다는 의미에서 정보이론과 통한다. (4) 구조언어학은 양면적인 차이의 연구에서 특징지어진다. 즉 대립관계는 결합축과 계열축 모두에서 가능하다. (5) 구조주의적 공적 중 하나는, 공시태/통시태, 부호규칙/개인적 실현, 변별적 자질/잉여적 자질들의 구분을 도입하여, 언어학을 언어에 대한 과학으로서 확립했다는 것이다. (6) 서방민족중심적 경향은 구조주의에서는 각 언어의 체계가 독립적이며 고유의 기술을 갖는 것으로 간주됨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구조주의는 언어과학의 이론적 기초를 언어의 기능 기술에 두었는 데, 그 최초의 시도가 지나치게 단순했음에도 불구하 고, 진정한 의미의 과학적 연구를 가능케 했다. 이런 유형의 연구는 언어의 일반적인 문제에 상호 연관된 언어들의 공시적인 기능문제를 주장함으로서 가능케 되었다. 그러나 구조주의에도 난점은 있는 데, 우선, 실현된 문장에서 출발한 그들의 분석이 생성문법이 강조한 언어창조성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언어의 역사적 연구, 즉 통시언어학적인 측면 을 무시한다는 점과 담화 내에서의 화자의 영향에 대한 연구의 포기 등을 난점으로 들 수 있다. 즉, 구조주의는 자료체만을 대상으로 하고, 그것들의 생성조건을 고려하는 시도를 포기함으로서 그 자체의 모순에 빠지게 되었다.
*mass noun
대개 복수를 형성치 않는 명사들을 가리키기 위해 일부에서 쓰는 용어. (예: water, flour) 복수 가 있다 하더라도 그 복수는 단수의 뜻과 다르다. (예: sugar-sugars) 이는 단위명사와 대조 된다. non-count noun, unbounded noun, uncountable noun이라고도 한다.
*protolanguage
계통적으로 친근관계에 있다고 생각되는 여러 언어를 비교하여 재구한 언어. 언어분화의 系統樹 설에서는 조어에서부터 그 음운론적 재구조화에 의하여 여러 언어로 분화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nuclear
核의. 음절구조에서 모음은 핵을 이룬다고 하며, 자음은 주변적(marginal)이라고 한다.
3.4 SEMANTICS PROTOTYPES
*cognitive grammar
인지문법. 인간의 인지능력과 언어능력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고 언어현상은 인지의 부분이라고 보아, 언어분석에 인지적 요인의 작용을 반영코자 하는 문법모형이다. 대체로 언어현상에서 단절 적인 범주화보다 원형적인 범주화의 견해를 받아 들인다. 형식이론과는 대조되지만, 기능이론과 는 대조되지 않는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1.04.15
  • 저작시기20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