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으로 승부한다.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식경영을 하기 위해서 기업은 어떤 조직을 갖춰야 할까. 지식경영 시스템의 도입과 관련해서 크게 두가지 관점이 있다. 하나는 인프라, 즉 인트라넷과 같은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조직구성 형태, 즉 조직구조를 강 조하고 흐름이다.
지식베이스를 강조하는 쪽은 지식의 활용과 공유에, 조직구조의 경우 에는 지식의 창조에 초점을 둔다. 물론 어느 쪽이 먼저인지 혹은 어느 쪽이 더 중요한지 딱 잘라서 말할 수는 없다. `새로운 돈버는 무기`인 지식을 창조하기 위한 새로운 기업 조직구조로 꼽히는 하이퍼텍스트(Hy pertext)형 조직구조에 대해 일본의 샤프를 중심으로 살펴보자.
* 관료제와 팀제의 통합 조직적 지식창조 이론의 대가 노나카 이쿠지로 일본 히도쓰바시대 교수 는 이렇게 말한다.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지식창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 해서는 `하이퍼텍스트형` 조직을 구축해야 한다.` 20세기 이후 기업 조 직구조를 둘러싼 논의는 관료제형 조직(Bureaucracy)과 태스크포스 (Taskforce)형 조직,예컨대 팀제의 대결로 압축된다.
그런데 노나카 교수는 `둘 중 어느 하나도 지식창조를 위해 적당하지 않다.`고 잘라말한다. 지식창조를 위한 새로운 조직형태는 그 두가지를 조합한 통합모델인 하이퍼텍스트형 구조라는 이유에서다. 하이퍼텍스트 는 현재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윈도95`와 같이 한 화면에 여러가지 창들이 나타나 있는 형태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노나가 교수가 말하는 하이퍼텍스트형 조직은 상호연결되어 있는 세 개의 층, 즉 사업단위(비즈니스시스템), 프로젝트팀, 지식베이스로 이뤄 져 있다. 이중 가운데 부분이 사업단위이다. 여기서는 통상적인 업무가 진행된다. 통상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료제적 구조가 적 당하다. 여기서는 명령과 실행의 관계 즉 피라미드형 위계질서가 기본이 다.
가장 위쪽에는 프로젝트팀이 있다. 여기에서는 몇 개의 프로젝트팀이 제품개발 등의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일을 하게 된다. 팀 구성원은 다양한 사업단위에서 차출되어 하나의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팀에 전 속된다. 제일 밑부분에는 지식베이스가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는 프로젝 트팀에서 창출된 지식이 재분류되고 재구성된다.
지식베이스는 양쪽에서 창출된 전혀 다른 성격의 지식이 축적되고 교 환되는 장소 `저장소 겸 교환소`의 역할을 수행한다. 관료제와 태스크 포스형 조직구조를 역동적으로 통합한 하이퍼텍스트형 조직은 양자의 강 점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관료제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태스크포스형의 유효성과 기동성과 결합되는 것이다.
* 지식조직으로의 진화 노나카 교수는 일본의 가오사를 하이퍼텍스트형 조직으로 이행되는 과정 에 있는 회사로 소개한다. 노나카 교수는 가오가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가오 역시 3단계의 층을 갖고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팀 멤 버는 기존 사업단위의 장과 프로젝트팀장 모두에게 보고해야 하는의무가 있다.
그러나 하이퍼텍스트형 조직의 특성은 전혀 다른 세 개의 층이 동일한 조직 내에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가오는 매트릭스형 조 직구조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하겠다.` 매트릭스형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1.04.22
  • 저작시기2001.04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189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