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언어에 대하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릿글

Ⅱ. 고대국어 연구의 선결문제

Ⅲ. 고구려말의 음운체계

Ⅳ. 차자표기의 구체적 분석

Ⅴ. 고구려말의 어휘와 특징

Ⅵ. 맺는 글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학연구사 -흐름과 동향-』학연사
국립국어연구원 편. 1998.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고대 국어-』
권인한. 1995.『조선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서울대 박사학위논문
______. 1996.「고대국어 한자음 연구의 가능성 모색」《울산어문논집》11. 울산대
김무림. 1992.「고구려 한자음 고찰 (1)」《홍익어문》10·11합본. 홍익대
______. 1998.「고대국어 음운」《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국립국어연구원
김방한. 1976.「한국어 계통론 연구의 문제점」《언어학》1.
______. 1983.『한국어의 계통』민음사
김수경. 1989.『세나라시기 언어력사에 관한 남조선학계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평양출판사(북한)
김승곤. 1984.『한국어의 기원』건국대출판부
______. 1992.『국어 토씨 연구』서광학술자료사
김완진. 1971.『국어음운체계의 연구』일조각
김형규. 1949.「삼국사기 지명고」《진단학보》16. 진단학회
______. 1975.『국어사개요』일조각
김병제. 1984.『조선어학사』과학.백과사전출판사(북한)
김종훈. 1983.『한국고유한자연구』집문당
남광우. 1997.『교학 고어사전』교학사
남풍현. 1981.『차자표기법 연구』단국대출판부
도수희. 1984.『백제어 연구 1』홍문각
______. 1985.「백제어의 '買·勿'에 대하여」《우운 박병채 박사 환력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______. 1999.「고대국어의 음운변화에 대하여」《한글》244. 한글학회
류 렬. 1990.『조선말력사(1)』사회과학출판사(북한)
리득춘. 1992.『한조언어문자관계사』서광학술자료사(연변)
______. 1993.「차자표기연구와 중국음운학」《한국문화》14. 서울대 출판부
박병채. 1966.「향가표기의 원류적 고찰」《국어국문학》32. 국어국문학회
______. 1968.「고대삼국의 지명어휘고」《백산학보》5. 백산학회
______. 1971.『고대국어의 연구』고려대 출판부
손명기. 1992.「고구려 한자음의 모음연구」《대전어문학》9. 대전대
______. 1993.『고구려어 어휘 연구』대전대 박사학위논문
송 민. 1966.「고구려어의 apocope에 대하여」《성심어문논집》1
신태현. 1959.『삼국사기 지리지의 연구』우종사
양주동. 1942.『고가 연구』 일조각.
유창균. 1975.「고구려 인명표기에 나타난 용자법의 검토」《동양학》5. 단국대
______. 1980.『한국 고대 한자음의 연구(1)』 계명대 출판부
______. 1983.『한국 고대 한자음의 연구(2)』 계명대 출판부
______. 1991.『삼국시대의 한자음』대우학술총서. 민음사
유창돈. 1964.『이조어사전』연세대학교 출판부
이근수. 1982.「고구려어와 신라어는 다른 언어인가」《한글》177. 한글학회
이기문. 1968.「고구려의 언어와 그 특징」《백산학보》4. 백산학회
______. 1961.「한국어형성사」《한국문화사대계》5.
______. 1972.『국어사개설』탑출판사
______. 1978.「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어휘비교에 대한 기초적 연구」《동아문화》14.
______. 1980.『국어음운사 연구』탑출판사
이병선. 1975.「고대 군현명과 국명 고」《논문집》20. 부산대
______. 1982.『한국고대국명지명 연구』동아출판사
______. 1993.『국어학논고』아세아문화사
이윤동. 1997.『한국한자음의 이해』형설출판사
임병준. 1999.「고구려말 어휘자료 분석」《중원어문》14.·15합집. 건국대
______. 2000. 「고구려말의 차자표기 연구」 -삼국사기 권 35, 37을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장세경·최병선. 1997.「광개토호태왕 비문의 성이름 연구」《한국학논집》31. 한양대
천소영. 1981.「고대국어의 연구현황」《어문논집》22. 고려대
______. 1990.『고대국어의 어휘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최남희. 1995.「고대국어 매김법씨끝 '­이'의 존재에 대하여」《동의어문논집》8. 동의대
______. 1996.『고대국어 형태론』박이정 출판사
______. 1997.ㄱ「고대 한국한자음 형성에 관한 연구(Ⅰ)」《인문연구논집》2. 동의대
______. 1997.ㄴ「고대국어 표기 자료 '支'의 소릿값」《한말연구》3. 한말연구학회
______. 1998.「신라인명에 반영된 신라한자음 형성에 관한 연구」《한말연구》3. 한말연구학회
______. 1999.ㄱ「고대국어 표기에 쓰인 고대 한국 한자음 형성에 미친 기층음의 영향 연구」《한글》243. 한글학회
______. 1999.ㄴ「고대국어 표기 자료 '尸'의 소릿값」《한말연구》5. 한말연구학회
______. 1999.ㄷ『고대국어 표기 한자음 연구』박이정 출판사
최학근. 1988.『한국어 계통론에 관한 연구』명문당
허 웅. 1969.『옛말본』과학사
______. 1975.『우리 옛말본』샘 문화사
______. 1981.『언어학』샘 문화사
______. 1985.『국어 음운학』샘 문화사
국사편찬위원회. 1996. 「한국사5:삼국의 정치와 사회Ⅰ-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한길사. 1994. 「한국사2:원시사회에서 고대사회로2」. 한길사
박경철. 1996. 「고구려의 국가형성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왕건군. 1984. 「호태왕비연구」. (임동석 역. 1985. 「광개토왕비연구」. 역민사)
문선규. 1989.『한국한문학』 민음사.
최무장. 1995. 「고구려 고고학Ⅰ」. 대우학술총서·인문사회과학 85. 민음사
문선규. 1987.『중국고대음운학』민음사
이돈주. 1995.『한자음운학의 이해』탑출판사
郭錫良. 1986.『漢字古音手冊』北京大學 出版部(중국)
王 力. 1957.『漢語史稿』科學出版社(중국)
李珍華. 周長楫. 공편. 1993. 『漢字古今音表』 中華書局(중국)
周法高. 1974. 『漢字古今音彙』香港中文大學出版部(홍콩)
董同 . 1967. 『中國語音史』華岡出版部(대만)
B.Karlgren. 최영애 역 1985. 『고대한어음운학개요』 민음사
河野六郞. 1968. 『朝鮮漢字音の 硏究』天理時報社(일본)
北山一雄. 1999. 「삼국사기 지리지 권37에 나타나는 복수지명 자료분석」호서문화연구소/한국지명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 가격무료
  • 페이지수82페이지
  • 등록일2001.07.23
  • 저작시기20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