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성리학 수용과 그 성격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 논

Ⅱ.본 논
1. 주자 성리학의 형성배경과 정치사상적 의미
1) 주자 성리학 형성의 역사적 배경
2) 성리학의 정치사상적 의미
2. 여말의 주자 성리학의 수용
1) 주자 성리학 수용의 역사적 배경
2) 여말 사상계의 동향
3. 주자 성리학적 정치의식
1) 배불론과 그 정치적 의미
2) 성리학적 실천규범의 보급

Ⅲ.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풍속이 喪祭에 오로지 佛法을 崇尙하는지라 夢周가 비로소 上庶로 하여금 朱子家禮를 모방하여 家廟를 세우고 先祖를 받들도록 하였다」
高麗史, 卷117, 列傳30, 鄭夢周傳.
는 기록을 통해 「朱子家禮」의 전파를 鄭夢周에 의한 것으로 봄이 옳을 것이다.
그 후 趙浚이 上疏를 통해 「이제부터는 한결같이 朱子家禮를 써서 大夫이상은 三世를 祭祀하고 六品以下는 二世를 제사하며 七品以下 庶人에 이르기까지는 다만 그 父母를 祭祀하도록 하자」
高麗史, 卷118, 列傳31, 趙浚傳.
라고 하여 身分에 따라 祭祀의 범위를 제한하는「朱子家禮」의 시행을 권장하였다. 여말이라는 轉換器에 처하여 「朱子家禮」가 제대로 시행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도 제기되지만, 士類를 중심으로 점차 확대실시되고 어느 정도까지는 보급되어 普遍化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敎育을 쇄신하고 實踐規範을 확대보급한다는 것은 곧 국민들의 意識構造를 啓導하여 유교적 사회로 再編한다는데 그 意義를 찾을 수 있다. 前者가 朱子學的 素養을 지닌 官人層의 형성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라면 後者는 朱子學的 政治理念의 확대재생산을 위해 社會의 基本構造에서부터 意識構造를 변혁시키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後者가 더 큰 의미를 지닌 채 강조되는 것은 儒敎政治社會에 내재하는 特性 때문이다. 유교사회는 그 기본조직을 家庭에 두고 있다. 個人은 그 자체로서 성립하는 獨立된 존재가 아니라 家族이라는 調和의 한부분으로서의 가치와 역할에 의해 그 存在意義를 갖는다. 儒敎社會에서의 국가는 바로 이러한 家族關係가 확대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므로 儒敎倫理역시 父子間의 孝에서 그 일차적 行爲原理를 발견하고, 그것에 입각하여 國家社會의 윤리질서를 도출해 낸다. 身分社會의 위계질서가 붕괴되었을 때 그 기초가 되는 父子關係를 再確認하고 國家制度자체의 도덕화를 요구할 뿐 만 아니라 모든 國民에 대해서도 道德的 自覺을 촉구한 所以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麗末의 문란한 통치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家禮의 勵行을 강조하였으니, 朱子學的 實踐規範을 실행케 함으로써 社會속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位置를 확인케 하여 儒敎的 王道政治의 기반을 조성하려고 했음을 推察수 있는 것이다.
Ⅲ.결 론
麗末에 朱子 性理學이 어떠한 歷史的 요청하에 受容. 定着되었으며 또 그것이 어떻게 政治的. 社會的 構造와 關聯性을 지닌 채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朱子 性理學을 受容. 發展시킨 麗末의 학자들은 麗末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왕권의 강화를 바탕으로 한 中央執權體制를 추구하여, 새로운 政治思想으로 朱子 性理學을 受容하였다.
따라서 麗末의 朱子 性理學의 政治思想的 意味를 살펴 보았는데, 麗末의 朱子 性理學이 지니는 政治思想的 意味를 살펴보기 전에 朱子 性理學의 발생한 宋代의 政治的 狀況을 살펴봄으로써, 麗末의 性理學 受容과 그 政治思想的 意味를 파악할 수 있었다. 朱子 性理學은 宋代의 특징적인 政治思想으로 貴族階級과 庶民階級間의 差別的인 原理를 근간으로 中央執權的 通治體制의 確立을 근본적인 목적으로한 政治理論이었다. 朱子는 現實的 人間과 社會를 善惡의 對立. 緊張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고, 宇宙와 人間의 法則性을 통해 現實的 矛盾을 극복하고 調和와 統一을 이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朱子 性理學이 受容된 麗末은 政治的. 社會的으로 매우 혼란한 危機的 狀況에 있었다. 對內的으로는 土地制度가 문란해진 가운데 社會的 세력간의 갈등과 모순이 심화되어 있었고, 國家財政이 軍事力의 약화로 이어지면서 지속적인 外壓과 戰亂의 시달림을 받고 있었다. 이처럼 中央執權體制가 붕괴되어 가고, 社會經濟的 수탈과 압박이 階級的 矛盾을 심화시킴으로 政治紀綱과 社會論理는 이완 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측면에서 麗末의 新進士大夫는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여 思想的인 空白期를 극복하려 하였다. 당시 高麗를 지배한 社會. 政治思想인 佛敎와 儒敎는 權門勢族과 결탁하여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었다. 佛敎의 폐단은 지나친 佛寺와 寺田의 확대로 국가의 경제적 기반을 침해하였다. 儒學도 통치수단으로 수용되었으나 漢. 唐의 訓考學的 學風에 치우쳐 劃一化되어 道德的인 측면보다는 文學的인 측면만을 강조하여 政治原理로의 의미를 상실하고 발전하지 못하였다.
麗末의 性理學者들은 支配理念의 實效性을 높이기 위해 국민들의 의식과 생활 규범을 性理學的인 것으로 변화시키려 하였다. 그 결과 당시 宗敎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佛敎를 배척할 수 밖에 없어 排佛論을 주장하였다. 이에 이들은 당시 佛敎가 갖고 있는 非社會的. 非合理性을 비판하면서 性理學的인 규범과 의식을 인식시켜 通治 理念으로서 性理學的 支配理念을 정착시키려하였다. 또한 朱子 性理學的 理念이 투철한 인재 양성을 통해 그들의 社會的 기반으로 삼아 구세력을 타파하고 새로운 신진 세력으로 전환시켜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이 朱子 性理學은 麗末의 政治. 經濟. 社會. 思想의 변화속에서 새로운 政治理念. 社會理念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을 촉진시켰다.
參 考 文 獻
1) 李源明, 《高麗時代 性理學 受容 硏究》, 서울 : 國學資料院 , 1997.
2) 서울大 國史學科 編,《韓國思想史資料選集,高麗編》, 亞細亞文化史 , 1982.
3) 李源明,《性理學 受容의 背景에 관한 一考察 : 高麗後期 社會 變化를 중심 으로》, 서울여자대학 論文集 제16호 , 서울여자대학출판부 , 1987.
4) 鄭然植. 趙顯傑,《麗末에 있어서 朱子 性理學의 受容과 그 政治思想的 意 義》, 경북대학교출판부, 1989.
5) 張成在,《麗末 性理學의 흐름과 特徵 : 三峰과의 關係에서 본 牧隱 圃隱思 想을 중심으로》, 東國論集 제12집 , 동국대학교 출판부 , 1993.
6) 도현철,《高麗後期 朱子學 受容과 朱子書 普及》,연세대동방학지, 1993.
7) 邊東明,《高麗後期 性理學 受容의 硏究》, 한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 1994.
8) 趙顯傑,《朱子 性理學의 形成背景과 思想的 特徵》, 金鳥工大論文集 , 1996.
9) 이남수,《白文寶의 性理學 受容과 排佛論》, 1996.
10) 金塘澤,《元干涉下의 高麗政治史》, 一潮閣 ,1998.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1.12.30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