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신경영 가상기업 (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상기업이 살길이다

2. <시리즈> 21세기 신경영 가상기업 (2)

3. <시리즈> 21세기 신경영 가상기업 (3)

4. <시리즈> 21세기 신경영 가상기업 (4)

5. <시리즈> 21세기 신경영 가상기업 (5.끝)

본문내용

상기업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CALS(Commerce At Light Speed) 구축화 노력에서 찾아볼 수 있다. CALS는 1982년 미 국방성이 '서류에 의한 불필요한 업무의 증가와 열악한 통신체계' 문제의 해결을 위해 내놓은 개념. 처음에는 정부와 방위산업체간의 디지털 정보의 통합과 공유를 통해 신속한 자료처리 환경을 구축하는 '산업정보화'의 개념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이제는 정보화사회에서 기업의 생존모델인 가상기업 혹은 민첩한 지능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비즈니스 방법론으로 규정되고 있다.
 
미 국방성은 85년 9월과 88년 8월에 구현지침을 내놓고 90년 이후 생산에 들어가는 모든 무기체계에 CALS 개념을 적용토록 했다. 또 88년부터는 상무부와 공동으로 해마다 CALS 엑스포를 개최, CALS에 기반을 둔 가상기업 사례와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미국의 CALS 적용은 현재 CALS 산업진흥조정그룹(US CALS ISG)이라는 단체가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으며, 여기에는 약 8000여개의 민간업체와 국방성, 상무성, 에너지성, 운수성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일본과 독일 영국 등 유럽 등지에서도 CALS 구축은 조직적으로 추진돼 왔다. 일본은 후지쯔, NEC, 히타치, 도시바 등 민간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영국은, 국방 조달 분야 CALS 구축에 열심이다.
 
한국에서 국방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건설교통부, 조달청 등을 중심으로 CALS 사업을 전개해 왔으며, 민간차원에서도 전자산업을 위한 가상기업인 일렉트로피아가 결성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96년부터 98년까지 시범사업을 통해 CALS모형을 제시했으며, 이후 산업연계 CALS를 거쳐 가상기업 모형을 구현한다는 3단계 전략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터넷의 등장은 정부와 대기업을 중심으로 폐쇄적으로 전개되던 CALS를 대중화시키면서 일반 기업들의 '가상화 지수'를 높이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인터넷 기업들은 그 속성상 출발부터 '가상기업'이다. 대다수 인터넷쇼핑몰 업체들은 자재창고를 가지고 있지 않아 물리적인 재고가 없다. 이들은 주문만 받되 대신 유통업체와 제휴관계를 맺어 제품 발송을 한다. 오토바이텔.컴, 시디나우 등이 대표적이다.
 
인티즌, 시작닷컴 등의 허브포탈 사이트나 헬로아시아, 네이버와 같은 공동마케팅 사이트는 여러 기업이 참여하지 않으면 이뤄질 수 없는 '가상기업'적인 사업모델들이다. 인터넷상의 가상시장인 e-마켓플레이스는 공급업체들이 최적의 부품 또는 원자재를 수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가상기업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이에 따라 산자부가 9개 산업별 마켓플레이스 구축 사업을 벌이는 등 정부차원의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생산설비 없이도 아이디어만 있으면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가상기업 창업알선센터'를 신설했다. 아이디어를 가진 업체와 생산업체를 연계해주기로 한 것.
 
가상기업을 위한 솔루션 개발과 연구활동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 NIIP(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Protocols) 컨소시엄은 가상기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인프라스트럭처 개발을 위해 창설된 법국가적인 협력단체. 기존의 표준들을 바탕으로 필요한 표준 및 정보기술의 개발을 통해 가상기업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IT 슬로안 스쿨, 아리조나 주립대학의 TVC 프로젝트, 베르니 대학의 'VO-Net' 등 가상 기업을 위한 민간차원의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이 가상기업연구소를 설립, 운영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