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문서편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터넷에서 편지글을 내려 받아 불러오기
2. 맞춤법 검사
3. 글자의 모양 꾸미기
4. 문단 모양으로 문서 장식
5. 한자 입력하기
6. 편지의 작성 일자 달기
...

본문내용

하거나 한자키(또는 키)를 누르면 그 한글에 해당하는 여러 가지의 한자들이 대화상자에 나타납니다.
알맞은 한자를 선택합니다.
변환할 한자를 찾아 선택한 후 변환 단추를 누르면 편집창의 글자가 한자로 변환됩니다. 이때 커서를 한자로 바꿀 첫 글자에 놓으면 한 자씩 한자로 변환할 수 있으며, 단어의 뒤에 커서를 놓으면 단어 단위의 한자 변환이 가능합니다.
입력 형식을 지정합니다.
입력 형식의 종류에는 한자로만 변환하는 "漢字"와 한자변환 후 한글 표현하는 "漢字(한글)", 한글은 그대로 두고 ( )속에 변환된 한자를 넣어주는 "한글(漢字)"가 있습니다.
변환 단추를 선택합니다.
대화상자의 변환 단추를 클릭하면 한글이 한자로 변환됩니다. 한자로 변환된 단어나 글자를 다시 한글로 변환하려면 한자키 또는 를 누르면 됩니다.
한자로 입력 된 尊敬 뒤에 "하는"을 삽입하여 문장을 완성한다.
편지의 작성 일자 달기
문서에 날짜를 입력하려면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나, 컴퓨터의 시스템 날짜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스템 날짜를 문자열로 입력
시스템 날짜를 입력하려면 커서를 날짜가 입력될 위치(밑에서 두 번째의 빈 줄)에 두고 메뉴의 [입력]-[날짜/시간]-[문자열]을 차례로 선택합니다. 물론 시스템의 날짜가 틀린 경우에는 나타나는 날짜도 틀리게 나타날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시스템의 날짜를 바르게 고쳐 주어야 합니다. 입력된 날짜를 가운데 정렬한다.
시스템 날짜를 코드로 입력
매주마다 보고하는 주간 보고서의 표지는 대부분 동일하고 보고하는 날짜만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 매번 출력할 때마다 날짜를 정정하지 않고도 출력되는 시점의 시스템 날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날짜가 입력되어야 할 위치에 커서를 놓고 메뉴의 [입력]-[날짜/시간]-[코드]를 차례로 선택합니다. 이렇게 입력된 날짜는 출력할 때마다 출력 당시의 날짜나 출력되며 임의적으로 수정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문자열로 입력한 날짜는 일반 문자와 같이 임의적인 날짜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날짜 입력 형식변경
다른 형식의 코드로 날짜를 입력하려는 경우 입력할 위치에 커서를 놓고 [입력]-[날짜/시간]-[형식]을 선택합니다.(= + & )
문서 미리보기
문서 작성이 완료되면 프린터로 출력을 하여야 합니다. 프린터로 출력하기 전에 미리 보기를 활용하면 종이나 잉크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즉, 미리 보기는 설정된 종이에 어떻게 출력될지를 모니터(화면)으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프린터로 출력된 문서는 몇 번이고 수정을 거쳐야 마음에 드는 문서가 되기 때문에 그 동안 잉크와 종이가 많이 낭비될 수밖에 없습니다.
메뉴의 [파일]-[미리 보기]를 차례로 선택하거나 기본 도구상자에서
를 누릅니다.
인쇄
문서가 완성되면 인쇄해야 하므로 인쇄하는 과정을 연습하여 보도록 합시다.
메뉴의 [파일]-[인쇄…]를 차례로 선택합니다.
인쇄 범위를 지정합니다.
대화상자에서 현재면이나 문서 전체(문서가 한 쪽이기 때문에 두 가지는 동일함)를 선택합니다. 인쇄 범위는 문서의 처음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인쇄하려면 문서전체, 커서가 있는 페이지만 인쇄하려면 현재면, 커서가 있는 페이지에서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인쇄하려면 현재부터, 연결된 문서와는 관계없이 처음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인쇄하려면 현재문서, 문서의 처음부터 커서가 있는 페이지까지 인쇄하려면 현재까지, 문서의 일정한 범위의 페이지만 인쇄하려면 일부분을 선택합니다.
인쇄 매수를 지정합니다.
여러 매 인쇄에서 매수를 지정하면 지정한 만큼 인쇄된다. 만약 여러 쪽의 문서를 2매씩 인쇄하려면 인쇄 매수에 2를 입력합니다. 이때 아래쪽의 한 부씩 찍기를 선택하면 첫 쪽부터 마지막 쪽까지 1부가 인쇄된 후 다시 첫 쪽부터 마지막 쪽까지 인쇄되어 출력물은 2부가 됩니다.
인쇄 방식을 지정합니다.
인쇄방식의 역순 인쇄는 마지막 쪽을 시작하여 첫 쪽까지 출력한다. 끊어 찍기는 인쇄 중 지정한 쪽에 도달하면 "다음 종이를 준비하세요"라는 메시지가 화면에 나타나고 를 치면 계속하여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나눠 찍기는 편집용지가 공급 용지보다 큰 경우 작은 공급용지에 맞추어 여러 장에 인쇄됩니다. 또한 모아 찍기는 나눠 찍기의 반대로 편집용지가 공급 용지보다 큰 경우로 여러 장에 편집 된 문서를 공급용지 한 장에 인쇄하여 주는 기능입니다.
인쇄 확대 축소 비율을 지정합니다.
확대/축소에 가로 세로의 비율을 100보다 큰 값을 입력하면 확대된 문서가 인쇄되며, 100보다 적은 값을 입력하면 축소된 문서가 인쇄됩니다. 주의 할 것은 확대/축소하는 경우 공급용지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규격용지의 축소 확대 비율은 표와 같습니다.
인쇄 방향을 지정합니다.
컴퓨터 연결된 프린터가 여러 대인 경우 인쇄 방향의 화살표를 클릭하여 프린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쇄 단추를 누릅니다.
편지글을 디스켓에 저장
문서를 작성하여 인쇄가 완료되면 재사용(재편집) 유무를 검토한 후 필요하다면 파일로 저장하여야 한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저장
메뉴의 [파일]-[새 이름으로…]를 차례로 선택합니다.
대화 상자에 경로를 3.5´플로피디스크를 지정합니다.
파일 이름에 "결과1"을 입력한 후 "저장" 단추를 누르면 편집된 문서가 저장됩니다.
문서 정보 등의 특별한 저장
대화상자의 기타 내용으로는 문서의 제목이나 지은이, 주제 등의 정보를 간단히 입력할 때 사용되는 문서 요약이 있으며, 다음에 이 문서를 불러오려 할 때 암호를 입력하지 못하면 불러오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암호가 있다.
저장할 파일의 형식(Format)
파일 형식은 저장하려는 문서를 다음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따라 달리 지정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한글97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한글문서*.hwp"로 저장됩니다. 만약 한글에서 작업한 문서를 HANA워드에서 사용하려면 "행망공통 *.kwp"로 저장하여야 하며, 윈도우의 메모장이나 워드패드에서 사용하려면 "텍스트 완성형 *.txt"로 저장하여야 합니다. 한글의 낮은 버전(2.0, 2.1)에서 사용하려면 "한글2.1문서"나 "한글2.0문서"로 저장하여야 합니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99페이지
  • 등록일2002.06.14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