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공원녹지 확충 전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울은 동서를 가로지르는 한강과 병풍처럼 둘러싼 산들로 천혜의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도심의 유서깊은 고궁들과 공원, 그리고 곳곳에 산재한 녹지가 있어 시민들이 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이루기 위한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도시이다. 그러나 불과 30여년동안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 과정을 거쳐 인구 1,100만명의 과밀화된 거대도시로 변모해 오면서 많은 녹지공간이 잠식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이 훼손되어 시민생활환경이 악화되었다. 우리 나라는 구미 각국이 산업혁명 후 200여년에 걸쳐 이룩한 도시화, 산업화를 불과 30여년이라는 짧은 기간내에 급속히 추진해 오면서, 서울로의 인구집중이 가속화 되었고 이로 인한 주택공급과 도로개설, 공장 등의 건설로 인해 환경의 파괴, 녹지공간의 잠식 등이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이다. 유엔이 도시화문제를 지구적 차원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21세기에는 세계인

본문내용

토지매입비 등으로 인해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되는 공원확충사업은 정확한 수요와 실태분석을 토대로 시나 자치구가 주관이 되어 추진하되, 시민들이 생활주변에 한 그루 생명의 나무를 심는 시민운동으로 확산될 때 비로소 큰 흐름을 이루는 서울의 녹화사업이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경제성과 효율성만을 추구하여 산림을 훼손하여 택지를 조성하고 도로를 개설해 옴에 따라 이제는 경관 훼손, 생태계 파괴, 대기·수질오염 등 생활환경 악화에 따른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다. 한 번 파괴된 자연을 회복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이미 조성되어 있는 시가지에 다시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데에는 엄청난 비용과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도심지내에서 약 2만여평의 공원을 조성하려면 1천억원 이상의 토지매입비가 소요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새롭게 추진하는 도시개발사업은 보다 장기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안목에서, 거주하게될 시민의 환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는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진 곳이므로 모든 시민들이 쾌적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만들어 나가는 데 우리 모두의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6.25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0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