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문의 단락 지도의 원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논설문의 단락 지도의 원리
-단원 <독서와 지식>의 분석을 통하여-

1. 들머리

인간의 모든 정보는 구조적으로 표현되고 이해된다. 그래서 우리는 모든 정보를 구조적으로 표현하게 되고 구조적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이 정보의 구조화는 한 편의 글이 어떻게 조직되고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매여있다. 한 편의 글은 작은 뜻덩이와 큰 뜻덩이로 되어 있으며 작은 뜻덩이들이 통일성과 연결성이라는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큰 뜻덩이로 모아진다. 즉, 낱말들이 모여서 마디가 되고 그 마디들이 모여 월이 되며 이월들이 모여 단락이 된다. 그리고 이 단락들이 모여 큰 뜻덩이인 한 편의 글이 된다.
그런데 정보가 작은 뜻덩이에서 큰 뜻덩이로 일관되게 확장되는 데는 나름대로 정보이음의 원리가 있고 인간이 정보를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는 나름대로 공통된 기제가 있다는 것이 인지 심리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밝혀지고 있다. 그래서 인간이 효과적인 언어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구조를 알아야 하며 그 구조를 통해 정보를 이해해야 한다.

2. 지도원리

논설문 구조를 이해 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락의 핵심어와 주제문을 찾아내야 한다. 따라서 본장에서는 먼저 한 편의 글이 나타내는 표면적 형식이 의미적으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이해하고 그 다음 논설문의 단락 주제문과 핵심어를 찾아내는 원리와 단락의 이음 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원리1. 글의 형식은 의미(기능)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논문 전체에 깔린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의 형식과 의미(기능)의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이 세상에서 눈에 보이는 모든 사물은 엄밀하게 보면 완전히 동일한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다. 금방 같은 공장에서 생산한 물건이라도 그것은 엄밀하게 따지면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흔히 유사하게 보이는 것을 같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3. 마무리

지금까지 앞에서 인지 심리학과 기능문법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설문 구조에 대한 몇 가지 원리를 제시하면서 실제 <독서와 지식>이라는 단원을 적용시켜 보았다. 인간의 사고 모습이 모든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모습 또한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그러나 모든 인간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정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어떤 특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가능하다.

본문내용

단락 3에서 '읽기를 이렇게 정의할 때'라는 마디로 앞선 단락2는 자연적으로 '읽기의 정의'에 대한 단락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는 직접적 표현에 의해서 주제를 드러냈다.
<단락4>
이렇게----------이유는--------------------------------------------------------
<단락5>
지식은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
단락4는 이음소 '이렇게…이유는'에 의해 단락3의 '이유' 단락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단락4와 단락5 사이는 이음소가 없다. 그래서 단락5에서는 단락4의 새정보 '지식이 동일하지 않다'와는 결속력이 다소 떨어지면서 이전의 단락과는 새로운 의미 단락을 형성하게 된다.
<단락6>
한 예로-----------------------------------------------------------------------
단락6은 앞단락 5의 '보기단락'이다. 그래서 단락5와 단락6은 동일한 작은 의미 단락으로 묶이게 된다.
<단락7>
그런데 이런 지식은-------------------------------------------------------------
단락7은 단락6을 '그런데'로 이어서 앞단락과는 다른 새로운 정보를 제시하는 표현을 하였다. 우리는 이를 '전환'이라 하는데 논지의 전환은 앞선 정보와 '대조'의 의미나 '주제의 바뀜'을 나타낸다. 그래서 단락 7은 '전환단락'이다.
<단락9>
이와 같이, --------알 수 있다.---------------------------------------------------
단락9는 이음소 '이와 같이'에 의해 단락 8의 의미를 그대로 이어 받으면서 '반복'또는 '확인', '강조'의 의미 관계를 나타낸다.
<단락10>
또,---------------------------------------------------------------------------
단락 10의 이음소는 '또'이다. 이것은 앞 단락의 내용과 동일한 계층의 정보를 첨가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단락9에서 '지식은 글을 이해 하는데 중요하다'고 되어 있으며, 단락10에서는 '지식은 반응에도 영향을 끼친다'로 되어 '지식은 글의 이해와 반응에 중요하다'로 통합될 수 있다. 단락10은 단락9의 '부가단락'에 해당된다.
<단락11>
그러므로,----------------------------------------------------------------------
단락11은 '그러므로'라는 이음소에 의해 단락10의 '결과'임이 쉽게 드러난다. 그래서 단락10과 단락 11은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한 의미단락으로 통합된다.
마지막 단락 12는 앞단락 전체(단락1∼단락11)와 관계되기 때문에 단락11과 단락12 사이는 이음소가 쓰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음소가 있다면 본문 전체를 안을 수 있는 이음소 예컨대, '지금까지 말한 것처럼' 또는 '이상과 같이', '따라서'등이 쓰일 가능성이 높다.
3. 마 무 리
지금까지 앞에서 인지 심리학과 기능문법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설문 구조에 대한 몇 가지 원리를 제시하면서 실제 <독서와 지식>이라는 단원을 적용시켜 보았다. 인간의 사고 모습이 모든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모습 또한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그러나 모든 인간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정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어떤 특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가능하다.
그래서 지금까지 인지심리학이나 학습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가진 이 공통된 정보의 이해와 표현에 내재되어 있는 공통된 틀을 밝히려고 연구하고 있다. 본고는 지금까지 밝혀진 인간의 정보 이해와 표현의 간단한 틀을 실제 국어 학습에 적용 시도한 것이다. 본론에서 제시한 원리들은 지극히 일반적인 원리일지는 모르지마는 논설문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기제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논설문의 구조지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은 본고에서 제시한 논설문 단락 지도의 원리이다.
원리1 : 글의 형식은 의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원리2 : 단락에 반복되는 정보는 핵심어일 가능성이 높다.
원리3 : 선행 단락에 없던 새로운 낱말이 반복될 때 그 정보는 핵심어일 가능성이 높다.
원리4 : 핵심어는 단락의 상위 구조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원리5 : 단락 정보는 정보 엮기 원리에 의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원리6 : 단락과 단락의 관계는 단락 이음말에 의해 표현될 가능성이 높다.
<참 고 문 헌>
김두식(1987). "영어의 주어-조동사 도치 구문" 언어 제12권 2호, 한국언어학회.
노명완(1987). 국어교육론, 한샘출판사.
박승윤(1990). 기능문법론, 한신문화사.
려증동(1981). 國語敎育論, 형설출판사.
문선모(1985). "교재구조의 거시방략과 거시명제의 회상", 경북대 박사논문.
-----(1984). "교재구조가 교재 이해 및 기억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경상대논문집 제23집.
이삼형(1994). "문단구분의 이론적 고찰",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회갑기념논문집.
이상태(1978). 국어교육의 기본 개념, 한신문화사.
-----(1979). "읽기의 과정과 그 검정", 배달말4, 배달말학회.
이주호(1967). "단락지도에 대하여", 부산공전 논문집 제5집.
임규홍(1987). "국어교육을 위한 글덩이 의식에 대하여", 모국어교육5, 모국어교육학회.
-----(1993). "국어 주제말 연구", 경상대 박사 논문.
정교환(1970). "문장 구조의 연구", 국어국문학48.
조선희(1982). "산문자료의 내용구조와 요약문의 제시방략", 경북대 석사 논문.
진위교, 이희도, 이명자(1979). "대학 수업 효과의 최대화를 위한 전후 수업 방략",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12권.
천정국(1980). "단락 일반의 분석적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황병순(1987). 국어의 상표시 복합동사 연구, 형설출판사.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06.26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