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예배형식 예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예배의 본질과 의미

3. 예배형식의 역사적 변천

4. 예배구성요소의 본질과 내용

5. 바림직한 예배형식

VI. 결론

본문내용

장 아절) -- 아아아 장로
찬 양 ----------------------------------------- 성 가 대
설 교 ------------- ( 설교제목 ) ----------- 아아아 목사
중보의 기도 ----------------------------------------- 다 같 이
성령임재기원 ---------------------------------------- 주 례 자
기 도 --------- (성만찬의 의미를 되새기는) ---- 다 같 이
축 사 ---------- (떡과 포도주를 위한) --------- 주 례 자
성만찬 제정사 --------------------------------------- 주 례 자
떡과 포도주나눔 --------- (경건하게 )---------------- 다 같 이
감 사 기 도 ----------------------------------------- 다 같 이
감사와 응답의 찬송 ---------------------------------- 다 같 이
분부의 말씀 ----------------------------------------- 인 도 자
폐 회 찬 송 ----------------------------------------- 다 같 이
축 복 기 도 ----------------------------------------- 담임목사
봉헌과 광고는 가능한 설교전에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설교에 대한 여운을
살리기 위해서 그렇다. 혹 설교에 대한 응답(봉헌)이라는 면에서는 좀 부족할 것이
라고 말한다면 필자는 예배참석 자체가 하나님 부르심에 대한응답이라고 말할 것이
다.
VI. 결론
현대교회들의 예배의 모습은 습관적이고, 대중적인 모습이 강하다. 습관적이라
함은 다시 언급하지 않아도 이미 공감하고 있는바 일것이다. 대중적이라 함은 신자
들이 진정으로 거듭나고 감사함으로 예배에 참석 하는것이 아니라 그저 친구, 이웃
에 이끌려 주일날은 교회에서 교인들과 함께 한다는 생각을 지적함이다. 이러한 모
습은 성도들이 바람직한 예배의 참여를 해보지 못했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한 예배의 형태가 없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역사적 발전 속에서의 예배형식을 살펴보았다. 현대교회 예
배형식의 문제점은 다락방 예전의 축소를 들수 있다. 오늘의 한국 개신교들은 말씀
중심의 예배만 드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역사적으로 종교 개혁의 "오직 성령
으로만"을 강조해 온것에 원인이 있다. 그 결과 말씀 즉 설교가 예배의 중심에 자
리하게 되었으며 결국 주의 만찬이 공예배에서 밀려난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예
전이 없는 예배는 무방비 상태가 되기 쉬우며 영적인 의미가 없는 예전은 형식주의
에 빠지기 쉽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예배를 드리기 위해서는 이 형식과 내용을 어
떻게 조화할 것인가가 과제이다.
{{
. 은준관,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예배",op.cit., p.325.
}}
한국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께 백성간의
만남의 표현인 카리스마타, 케리그마, 성례전, 제자훈련을 우리의 예배구조에 재구
조화, 재구성화 함에 의해 바람직한 예배형식을 취할 수 있다. 그 예는 V 장 바람
직한 예배형식에서 이미 말한바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성도의 응답의 문제이다. 성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예배형
태가 아니라는 것이다. 성도들이 성만찬을 통해 그리고 필자가 위에서 제시한 형태
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성도들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봉헌과 광고는
가능한 설교전에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설교에 대한 여운을 살리기 위해서 그
렇다. 혹 설교에 대한 응답(봉헌)이라는 면에서는 좀 부족할 것이라고 말한다면 필
자는 예배참석 자체가 하나님 부르심에 대한응답이라고 말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외국서적
William D. Maxwell, A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Grand Rapis: Baker Book
House, 1982)
Harry R. Boer, A Short History of the Early Church (Grand Rapids: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6)
2. 번역서적
Franklin M. Segler, [예배학 원론] 정진황 역 (서울:요단출판사, 1989)
Paul M. Vieth, 김소영 역, [기독교 교육과 예배], (서울: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
육부)
J.G. 데이비스, 김소영.홍철화 공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Raymond Abba, [기독교 예배의 원리와 실제] 허경삼 역 (서울:대한기독교 서회,
1974)
Franklin M. Segler, [목회학 개론], 이창희 역 (서울: 요단 출판사, 1977)
Robert. G. Rayburn, [예배학] 김생달, 강귀봉공역, (서울: 성광문화사, 1982)
폰 알멘, 김소영.정용섭 공역, [예배학 원론],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3. 국내서적
김소영, [예배의 생활], (서울:대한기독교서회)
박은규, "현대 교회의 예배와 설교", [예배신학]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 종로서적, 1994)
김수학, [개혁파 예배학], (대구: 보문출판사)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90)
정성구, [실천신학 개론],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1981)
박근원 편저, [리마 예식서] (서울: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91)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
4. 정기 간행물
박은규, "예배신학", 제 9회 연신원 목회자 신학세미나 강의집, [현대교회의 예
배와 설교](서울: 연세대학교 유니온 학술 자료원, 1989)
김이곤, "회당예배", 제 9회 연신원 목회자 신학세미나 강의집, [현대교회의 예
배와 설교](서울: 연세대학교 유니온 학술 자료원, 1989)
서울신학대학교 주보
5. 사전류
R. 레어드 헤리스, 글리슨 L. 아처 2세, 브수스 K, 월트케 편수, [구약원어 신학
사전](서울:요단출판사, 1986)
게르하르트 킷텔,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신약성서 신학사전](서울:요단출판
사, 1985)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6.27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