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학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해양학의 발자취

2.고대의 해양학

3.해양의 탐험시대

4.근대의 해양학

5.현대의 해양학

본문내용

다. TIROS 이후 30년 이상이 지난 지금, 우리는 인공 위성이 보내 오는 구름 사진을 매일 밤 일기 예보를 통해 접할 수 있으며, 과학자들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위성 영상을 이용하고 있다 (그림 5).
해양학 분야에서는 SEASAT (그림 6),
NIMBUS, NROSS 및 GEOS-3 등 관측용 과학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자료를 통해 해양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기상 예보나 해난 예보, 어업 예보 등에 활용하여 왔으며 해양 오염 분야에서는 오염의 범위를 추적하거나 확산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인공 위성이 보내 오는 영상을 통하여 우리는 광범위한 해역의 수온과 생물의 생산력을 추정할 수 있으며 광역 파고 관측이나 위치 측정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해양 순환의 역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해류의 분포를 파악하며 해저면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 기술은 쉴새없이 진보하고 있다. 인공 위성의 영상으로도 많은 것을 알아낼 수 있었지만, 이 제는 인류가 직접 외계에서 지구를 관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984년 10월, 영국 해군의 챌린저 (H.M.S. Challenger)호의 항해가 끝난지 약 100년 후 새로운 챌린저호가 바다 위에 띄워졌는데 이번에는‘우주라는 바다’에서의 탐사 임무였다. 이 최신의 챌린저호는 바로 우주 왕복선(Space Shuttle)이었으며 해양학자 폴 스컬리-파워(Paul Scully-Power)박사가 승선했다. 그는 이전에 어떤 해양학자도 보지 못했던 것을 최초로 보게 되었는데 지중해의 표면이 나선형의 소용돌이(와류, 渦流)를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림 7).
이 소용돌이는 영구 해류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최근에 발견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소용돌이가 전 바다에 걸쳐서 발생한다는 사실은 우주 공간에서 보기 전까지는 알려지지 않았었다.
온누리호
우리 나라 최초의 종합 해양 조사선 온누리호 (그림 8)는 1992년 1월 노르웨이에서 건조되었다. 총 톤 수는 1,422톤이며 길이는 63.8 m, 너비는 12 m, 최대 항속은 16노트이다. 위치와 항로는 자동 컴퓨터 시스템으로 조정되며 25명의 과학자와 16명의 승무원이 최장 40일 동안 계속 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거주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재 해양 조사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최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우리 나라 태평양 심해저 망간 탐사와 남극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6.30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6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