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을 낳는다는 게임산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게임의 기원
(1) 최초의 게임
(2) 최초의 국내 게임 개발
2. 게임의 정의
(1) 게임이란?
(2) 게임의 기본요소

(3) 게임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소
- 상호지원

- 분위기

- 시뮬레이션

- 다채로운 전개

- 감정이입

본문내용

불확정요소가 크다고 해도 게임을 마지막까지 플레이하는 동안 몇 십, 몇 백 번이나 주사위를 굴리게 되므로, 확률의 법칙이 작용하여 전체적인 불확정성은 어느 정도까지 떨어지게 된다. 극히 드문 경우를 제외하면, 보다 뛰어난 전략을 취한 쪽이 승리를 손에 쥐게 된다. 주사위 운만으로 전략적인 실수를 만회하는 것은 무리한 이야기다.
그러면, 게임에 있어서 불확정 요소는 중요한 의미가 없는 것인가. 아니, 불확정 요소에는 큰 역할이 있다. 그것은 게임에 다채로운 전개를 유발하는 수법의 하나인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 설명해보자.
몇 번 플레이해도 매번 같은 전개가 나오는 게임은 한심하게 지루하다. 플레이어는 지금까지 경험한 적이 없는 게임 전개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그러려면 그 게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국면의 수가 충분히 많아야만 한다. 그렇게 되면 플레이 할 때마다 언제나 무언가 새로운 전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체스'같은 게임에서는 '무언가 새로운 전개'라는 것은 말의 배치에 의해 생기는 국면의 변화이다.
가필드(Richard
Garfield)의'매직 더 개더링(Magic: the Gathering)'의 경우 카드의 종류, 그것이 뗄 패에서 나오는 순서, 카드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 등이 다채로운 전개를 낳는다.
아르네슨과 가이각스의 '던젼즈 & 드래곤즈'에서 다채로운 전개를 만드는 것은 아찔해질 정도로 많은 몬스터, 주문 등과 그것을 이용해 계속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내는 게임 마스터의 역량이다.
다채로운 전개를 만들지 못하는 게임은 금새 질려버린다. 이것이 컴퓨터 어드벤처 게임을 여러 번 플레이 할 수 없는 이유이다. 처음에 플레이 할 때는 충분히 다채로운 전개가 준비되어 있는 것 같지만, 몇 번 해보면 비슷한 전개에 지나지 않는 것이 들통난다.
트럼프를 혼자서 즐기게 만든 게임인 '페이션스(Patience)'가 금새 질리는 이유도 똑같다. 몇 번 해봐야 비슷한 전개일 뿐이고, 카드를 잘 섞어봐야 새로운 흥분이 생기지는 않는다.
게임을 분석할 때는 '이 게임에서는 어떠한 전개가 생기는가. 그것은 플레이어가 몇 번이고 시도해보고 싶어질 만큼 다채로운가. 그 다채로움을 만드는 장치는 무엇인가. 보다 다채로운 전개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 감정이입
'인물에의 일체화'는 모든 이야기 창작활동에 공통되는 주제이다. 독자가 작중 등장인물을 좋아하고, 자신과 동일시하고, 그 운명을 걱정하게 된다면 작가로서는 더 바랄게 없다. 감정이입은 스토리에 감동의 힘을 부여한다.
게임도 마찬가지다. 플레이어가 '우리편'에 감정이입하고, 게임 안에서 생기는 일을 자기 자신의 문제로서 느끼게 되면 게임은 감동적인 체험이 될 수 있다.
그 극단적인 예로 스포츠를 들 수 있다. 스포츠에서 감정이입의 대상이 되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나 자신이 야구장의 마운드에 서있고, 승패는 내 어깨에 달렸다. 삼진시키거나, 홈런을 맞는 것은, 다름 아닌 자신인 것이다. 그렇기에 게임의 진행은 중요한 문제로 느껴진다.
이처럼 스포츠는 게임에 대한 감정이입이 너무나도 강하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욕지거리를 내뱉거나 난동을 부리는 사태로 치닫는 것조차 드문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쾌한 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일부러 '스포츠맨 십'이라는 문화적 행동규범을 만들어내야만 할 정도이다.
스포츠와 비교하면 RPG에서의 감정이입은 조금 간접적이다. 감정이입의 대상은 플레이어 자신이 아니고 PC이다. 그러나 플레이어는 자신의 PC를 만들고 성장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 게다가 PC는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유일한 게임 토큰으로, 그 외에는 감정이입 대상이 없다. 그러므로 PC에 대한 감정이입은 자연히 강해진다. 그렇기에 스포츠만큼 빈번하지는 않아도, RPG 플레이어가 게임 마스터를 욕하거나, 한 걸음 더 나아가 두들겨 패는 경우가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이처럼 플레이어가 게임 토큰을 하나밖에 갖고 있지 않을 경우, 그 토큰에 대해 극히 자연스럽게 감정이입하는 법이다. 반대로 많은 토큰을 조작할 수 있을 경우 개개의 토큰에 대한 감정이입은 어려워진다. '체스'에서 자신의 나이트를 잃었을 때 비탄에 잠기는 사람은 별로 없고,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보병사단이 하나 전멸했다고 해서 목을 매는 사람도 없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플레이어가 여러 토큰을 뭉뚱그려 '국가'나 '군대', '우리편'과 같은 하나한 대상으로 생각하고, 이에 대해 감정이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면 게임을 보다 감동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감정이입을 촉진하는 한가지 수법은
플레이어의 시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 명확히 정해주는 것이다.
보드 게임의 디자인에서 시점의 혼란은 매우 흔한 실수이다. 버크(Richard Berg)의 '북 아프리카 전선(Campaigns for North Africa)'을 예로 들어보자. 이 게임은 추축국의 북아프리카 전선에 대한 대단히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시도하고 있다.
플레이어는 파일럿 한명한명을 어디에 배치할 것인가 하는 문제부터 개개의 대대에 대한 음료수 보급상황에 이르기까지 장시간에 걸쳐 모든 것을 관리해야 한다. 그런데 사실 롬멜의 부하는 이러한 것을 관리했겠지만, 롬멜 자신이 이런 시시콜콜한 일까지 도맡아 했을 리가 없다. 그렇다면 전체적인 전략을 생각하고 또한 세부적인 관리도 해야만 하는 플레이어는, 대체 어느쪽의 입장이 되어 있는 것일까. 어느 쪽에 감정이입해야 되는 것일까. 이것이 시점의 혼란이다. 이 게임에서는 개개의 항목을 상세하게 시뮬레이트하고자 한 나머지, 어떤 의미에서는 도리어 시뮬레이션의 정확함을 망쳐놓고 있는 것이다.
게임을 분석할 때, '플레이어를 감정 이입케 만드는 요소는 무엇인가. 플레이어에게 있어서 중요한 게임 토큰이 하나로 압축되어 있는가. 그렇다면 그 토큰에 대한 감정이입을 보다 강화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반면 게임 토큰을 하나 이상 두겠다면 무엇에 대해 감정이입하게 하는가. 그것을 강화하는 수단은 무엇인가. 이 게임에 있어 플레이어는 누구의 입장이 되는가. 플레이어의 시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등을 생각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7.0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