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의 전략전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전술의 변화

Ⅲ-1. 축구 전술사-40년대

Ⅲ-2. 축구 전술사-50년대

Ⅲ-3. 축구 전술사-60년대

Ⅲ-4. 축구 전술사-70년대

Ⅳ. 포메이션(시스템)

Ⅴ. 새로운 전술의 발견 및 포지션별 특징

본문내용

필요로 할 때 해야 할 것이다.
4-2-4 시스템의 기본적 생각은 볼을 가지면 적어도 6명이 공격하고, 상대의 공격에 대해서는 7명이 수비해야 한다는 것을 가능케 하자는 것이다. 전술적인 변화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많은 국가들이 수비 포메이션을 4명의 수비자로 이중 방어벽을 만들고 있다. 만은 사람들이 수비를 확실히 굳히는 방법은 재미없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팀이 공격과 수비라는 2가지 각각 다른 단위가 아닌 하나의 단위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그 필요성이 인정되지만, 시합 중 많은 시간,많은 선수들을 수비 포지션에 묶어두는 방법은 사고력이 부족한 소극적인 방법이라 아니할 수 없다.
3) 1-4-1-4 시스템
이 시스템은 4-2-4 시스템에 두 가지의 수정을 가한 것이다. 수비면에서 보면 양 사이드 하프가 후퇴하여 상대의 중앙공격자를 마크함으로써 수비력이 강화된다.
GK
CH
LH
LB
RB
RH
IL
OL
OR
CF
IR
<1-4-1-4 시스템의 기본 형태>
4) 4-3-3 시스템
4-2-4 시스템을 다시 변형한 방법으로 팀이 센터 하프를 2명 두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그것을 중반 플레이어 3명 단위가 되어 지원할 때 볼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중반연결 역할을사이드 하프의 한 사람(RH)와 양 인사이드 포워드가 하고 있다. 이 3명이 수비에서 최초의 방어벽이 되는 동시에 공격시에는 반드시 이를 원조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포워드 2명을 반쯤 수비적 포지션에 사용하기 때문에 엄밀히 시행하면 수비편중으로 기울게 된다. 공격플레이는 3명이 중반 선수를 공격에 가담시킴으로써 강화 되며, 또 4명의 FB 중 누구라도 기회를 포착했을 때는 언제든지 수비에서 튀어나가 공격을 지원하므로써 강화된다.
GK
CH
RB
LH
LB
RH
IR
IL
OR
OL
CF
<4-3-3 시스템의 기본 구조>
5)쐐기 포메이션
공격측이 2명의 CF를 두는 공격법을 시도할 때 수비시스템에 대해 다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미 알고 있는 것처럼 스토퍼로써 고정 역할을 하는 CH를 혼란시키기 위해 2명의 중앙공격자가 이용되었다. 그리고 더블 센터하프를 기본으로 하는 포 백 시스템의 수비를 타파하기 위해서도 똑같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림에서 양 위이 중앙으로 후퇴하고 센터 쓰리가 깊이 전진해서 2명의 센터 하프와 상대하고 있다. 윙을 연결하는 선수로 사용하고 그곳에서 공격을 구성함으로써 상대의 FB를 끌어당겨 가능한 한 골로부터 이탈시키려고 한다. 그리하여 공격은 FB후방에 생긴 공간을 이용하자는 것이다. 중앙 공격자인 2명이 중앙 위치에 남고 한 사람은 풀백 후방 공간을 향해 필드를 가로질러 이동한다. 이 계힉은 수비자에게 위협을 주기 때문에 그 쪽으로 공격 플레이어를 침투시킴을 뜻하고 있다.
과거에는 모든 공격측 플레이어가 수비자로부터 이탈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방법은 공격측 플레이어가 수비측 플레이어의 도전을 피하기 위해 상대 골 쪽으로 달리거나 필드를 가로질러 움직이고 있을 경우에는 좋으나 공격측이 너무 빈번하게 자기 골문으로 움직이는 것은 수비측에게 유리할 뿐이다. 양 윙을 처지게 한것과 같은 공격전개를 한쪽윙을 깊이 처진 위치에서 연결역할로 이용할 수 있다. 공격측이 사다리 모양을 하는 이 시스템은 대각선 수비를 펴는 쓰리 백 시스템에 대해서 유용하다.
공격을 위한 공격을 위한
공간 지역 공간 지역
CH
CF
LH
IL
IR
RB
LB
OL
OR
<쐐기 포메이션의 기본 형태>
Ⅴ. 새로운 전술의 발견 및 포지션별 특징
전술이란 팀의 시스템 속에서 어떤 플레이를 하느냐 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서 정해지는 것이다.
① 팀을 구성하는 한 사람,한 사람의 기술
② 팀을 구성하는 선수의 개인기에서 볼 수 있는 결점
③ 상대 선수의 개인기
④ 상대 선수의 개인기의 결점
⑤ 그라운드나 기후상태
⑥ 자기팀 및 상대팀 선수의 부상
⑦ 팀 내에서의 이해정도( 반복연습으로 습득하고 있는 움직임,특히 드로우 인, 프리킥,코너 킥 시의 움직임)
⑧ 게임의 상태
이상과 같은 점이 실제로 전술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렇다면 각 선수들의 포지션별 특성을 살펴보자.
1) 골 키퍼
-기본적인 체격 및 체력(신장,체중,순발력,판단력 등)
-볼 캐칭 능력
-볼 펀칭 능력
-골 킥 능력
-손으로 볼을 던질 때의 특성
-위치 선정 능력
-골 문으로부터 얼마나 나오는가
-불안정한 점
-특이한 버릇
2) 전담 수비수
-기본적인 체격,체력 및 정신력
-개인기술의 수준
-위치선정 능력(상대 스트라이커를 따라 좌,우측면까지 따라가는지, 원래의 위치를 지키 는지의 여부)
-대인방어시:패스의 차단능력(상대방이 볼 컨트롤시 방해하는지, 상대방에게 공간을 허용 하는지, 위협적인가, 침착한가, 위험을 무릅쓰고 경기를 하는가의 여부)
-공격시:역습을 시도하는가 아니면 뒤에 남아있는가
3) 스위퍼, 리베로
-기본적인 체격,체력 및 정신력
-개인기술 수준
-지역방어시: 헛점보완능력
-대인방어시: 돌파하고 있는 상대방 또는 마크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의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
-공격시: 공격에 가담하는가,하지 않는가의 여부
-수비진의 지휘능력
4) 수비형 미드필더
-기본적인 체격,체력 및 정신력
-개인기술 수준
-수비시 행동: 상대방을 어떻게 지연시키고 전진을 방해하고 상대방을 공격하는가
-공격시 행동: 패스, 월 패스, 드리블, 골 결정력
-공격에서 수비로의 빠른 전환
-선수 개인의 특성
5) 공격형 미드필더
-기본적인 체격,체력 및 정신력
-개인기술 수준
-공격시: 볼을 받을 때 준비상태, 경기 흐름을 읽는 능력, 템포조절 능력, 방향전환능력,
월 패스, 드리블 돌파능력, 골 문 앞에서의 결정력
-수비시: 상대방에게 공간을 열어주는가, 상대방 공격을 추적하는가, 의지력의 정도는 어떠 한가
6) 스트라이커
-기본적인 체격,체력 및 정신력
-개인기술 수준
-공격시: 드리블, 상대방을 속이는 패스, 월 패스, 행동반경, 골결정력, 골 문 앞에서의 위 험성
-대인방어 능력
-강압수비 능력
-행동반경: 바깥 쪽에 위치하는가, 안쪽으로 들어오는가, 자신의 진영까지 후퇴하는가
-선수 개인의 특성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8.03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