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의 종말론적 윤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철학과 종교에서 종말 개념
1.1 종말의 보편성
1.2 철학에서 종말론 문제
1.3 종교에서 종말론의 문제
2.구약과 신약에서 종말 개념
2.1 구약의 종말 개념
2.2 신약의 종말론
3.신학적인 종말 개념
3.1.일반적 개념의 종말론
3.2 종말의 시간적 접근
4 바울의 종말 개념
4.1 바울의 일반적인 종말개념
4.2 바울의 개인적 종말론의 견해
4.3 바울의 종말 증거의 방법론적 구조
4.4 바울의 종교적 측면의 종말사건 증거
4.5 바울의 종말론 시간적 관점이해
4.6 바울의 종말론적 윤리

결론

본문내용

논리적 논증이 불가능 하지만, 초월적 사건을 접한 사람들의 증거가 있음으로, 초월적 사건의 역사성이 결국 부활 케리그마' 사건의 역사적 사실성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역사적 사실구조로 확정 시켜서, 모든 종말론'의 논리적 순환 구조의 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정점으로, 전 우주적인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된 승리의 종말'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말은 이미 시작된 사건으로 우리에게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체적인 틀에서, 바울의 개인적인 종말론'이 역사적 종말'의 필연에 파생되어, 당연히 일어나야 할 사건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종말의 증거에 대한 바울의 의도는 첫째 종말 신앙에 대한 바른 입장을 갖도록 하고,둘째 고리스도와 하나님의 주권을 효과적으로 선호하고, 세째는 부활신앙의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 진다.
바울은 종말에 있어서 마지막 종말의 역사적 시점'에 대해서, 확실한 시점을 제시하기 보다는 그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이미 종말 사건속으로 우리들이 들어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재림의 시기와 종말 시점의 때에 대한 시간적인 바울의 견해는, 그 목적이 성도들로 하여금 삶에 대한 종말론'적 신앙을 갖도를 하기위한 전이단계'로써 전체적 위치'를 점유하고있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의 죽음이 의미 하는 영적의미'와 부활의 양태적 해석'에 대한 이원론적 개념'은, 결국 성도들이 어떻게 이 종말의 시대'를 살아야 하는가 ? 하는 윤리적이 신앙적인 자세로 관심을 이전 시킴으로, 결국 바울의 때에 대한 묵시적 선포가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메세지어 연결 되어지게 된다.
바울의 종말론'적 상황의 윤리는,주님이 오심이 가까왔다는 의식을 가지는 종말론'적 동기에서 출발함에도, 현세상의 삶에 대하여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 세계의 종말시점'이 지연됨에도 불구하고, 종말론'적 인식에 대한 옳바른 이해로, 전혀 현실을 방조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삶에 책임을 가지고, 성실하게 살아가게 하는 것으로 작용한다.
재림의 임박성'의 강조가, 곧 윤리적 자세의 책임성'에,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지게되는, 사도 바울의 윤리적 입장을 볼때, 종말의 임박성'은 권면의 진실성과, 성실하고 급박하게 받아들여지는 구조적 틀로써, 바울 윤리론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 문서
Anthony A Hoekma ,류호준 역,
「개혁주의 종말론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2,서울.
D.E.H.Whiteley,한의신 역, 「바울신학」, 나단 출판사, 1989,서울.
F.F. Bruce ,정원태 역, 「바울신학」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87, 서울
F.F.Bruce,박문재역, 「바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88,서울.
Hermann Ridderhos,박영히 역,
「바울신학」,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9, 서울.
J.Ggresham.Machen,남정직 역,「바울의 신학」,성은 출판사, 1989,서울.
Louis Berkhof,권수경 이상원 역,
「조직신학」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2,서울.
기독교대백과 사전 편찬위원회,
「기독교 대백과 사전」, 기독교 교문사, 1983 ,서울.
김용욱, 「바울신학과 윤리」, 대한 기독교 출판사.1983,서울.
박근성, 「바울서신」, 기독교 출판사, 1986,서울.
신동혁, 「바울서신(로마서)」, 기독교문사, 1991,서울.
염명수, 「고린도 전후서 주해」, 교회 교육 연구원, 1991,서울.
전경연, 「고린도 전서」 , 성서교재간행사, 1989,서울.
최세창, 「고리도 전서」, 크리츠챤 서적,1992,서울.
목 차
서론....................................................................1
1 철학과 종교에서 종말 개념.....................................2
1.1 종말의 보편성.........................................2
1.2 철학에서 종말론 문제................................2
1.3 종교에서 종말론의 문제............................ 3
2.구약과 신약에서 종말 개념......................................4
2.1 구약의 종말 개념......................................4
2.2 신약의 종말론..........................................5
3.신학적인 종말 개념................................................7
3.1.일반적 개념의 종말론.................................7
3.2 종말의 시간적 접근................................... 8
4 바울의 종말 개념.................................................. 9
4.1 바울의 일반적인 종말개념............................9
4.2 바울의 개인적 종말론의 견해.......................10
4.3 바울의 종말 증거의 방법론적 구조.................11
4.4 바울의 종교적 측면의 종말사건 증거...............13
4.5 바울의 종말론 시간적 관점이해.....................14
4.6 바울의 종말론적 윤리.................................15
결론......................................................................17
참고 문헌...............................................................19
교회와 종말론
기말 소 논문
"바울 신앙에서 종말론적 구조"
이 름 : 이 지 원
학 번 : 9532105
소 속 : 신대원 3. A.
담 당 : 김명용 교수님
제출일 : 1997. 6. 13.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2.09.28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