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족의 특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한국가족의 특성과 산업화
□ 총 페이지수 : 9페이지
□ 목 차:
1. 서론
2. 한국의 산업화전략과 가족
1) 한국의 산업화전략
2) 한국의 국가정책과 가족
3) 한국의 기업경영과 가족
3. 한국가족의 가족전략과 여성
4. 유교적 전통<주30>과 여성
5. 결론
<미주>

본문내용

더관계, 그리고 가족주의의 내용에도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23) 김은희, [일, 가족, 그리고 성역할의 의미], 한국사회사연구회 편, {한국 근현대 가족의 재조명}, 문학과 지성사, 1993; 김자혜?김미숙, [화이트칼라 가족연구],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론}, 까치, 1990. 이들 가족의 가족전략은 친족간 자원교환을 통해 가족지위와 계급지위를 유지하는 전략과 자녀교육을 통한 가족상승전략이 중심이다. 그 결과, 한편으로 이들은 가족의 경계를 유연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자녀의 교육문제에 가족의 관심사가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 내용도 자녀중심의 가족주의가 지배적이며, 가족주의가 결혼의 지속성에 기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24) 강인순, [마산, 창원의 노동자계급의 가족생활],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론}, 까치, 1990; 김미숙, [중소도시 빈민가족의 사회경제적 성격],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론}, 까치, 1990; 이효재?지은희, [한국 노동자계급 가족의 생활실태], 『한국사회학』, 한국사회학회, 1988; 장하진, [노동자가족의 노동력재생산],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론}, 까치, 1990; 정이환, {저임금구조에 대한 노동자들의 경제적 적응양식},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6; 조옥라, [도시빈민 가족과 농촌영세빈농 가족의 비교],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론}, 까치, 1990; 조은, "도시빈민가족의 생존전략과 여성", 같은 책; 팽경인, {노동자가족의 노동력재생산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대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8.
25) 김애경, {도시 노동자가족의 생계유지와 여성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7; 이미영, 위의 논문; 팽경인, 위의 논문 ;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편, {한국의 가난한 여성에 관한 연구}, 민중사, 1983; 현정혜 외, [대구지역 비공식부문 취업여성의 가족생활과 일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91호, 대한가정학회, 1992; 홍승아, {여성노동의 사회적 존재형태 및 그 성격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7.
26) 박민자, [자영소상인 가족의 계급적 관계 재생산],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론}, 까치, 1990.
27) 이들 가족은 친족관계에 있어 친족 접촉범위가 근친과 근거리에 한정되었으며, 친족관계가 이들의 생존전략에 있어 아주 미미한 역할만을 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생존전략에서 동원되는 인적자원은 핵가족 성원에 한정되었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친족보다는 오히려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 받는 이웃을 통한 사회적 연결망이 더욱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김주희,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친족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 편, {도시저소득층의 가족문제}, 하우, 1992; 조옥라, 위의 글; 조은, 위의 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편, 위의 책. 이것은 근본적으로는 이들 가족의 물적 기반이 열악하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이며, 한편으로는 현대 한국가족의 친족관계에 있어서 경제적 능력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권력관계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측면은 유럽에서의 산업화과정이나 라틴아메리카에서의 발전과정 등 외국의 사례들과 결정적으로 달라지는 지점으로서, 여기에는 직계가족제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전통적 친족관계의 기본적 성격이 반영된 측면이 강하다고 생각된다.
28) 그 결과 교육을 많이 받아 임금수준이 높은 직장에서 일하게 된 자식을 통해서 사회적 상향이동을 경험하게 되는 부모들이 일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지닌 자원의 열악함으로 인해 이러한 바램이 현실화되지 못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았다.
29) 조은, 위의 글, 186-191쪽, 200-202쪽.
30) 동아시아는 역사적으로 유교문화권을 이루어 왔기 때문에, 동아시아의 과거사회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영향력은 매우 근본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교는 본래 공자에 의해 성립될 당시에는 윤리적 가르침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한대(漢代)에 이르러 유교가 집권층에 수용되어 '국가유교(Imperial Confucianism)'로 되면서, 유교는 역사적으로 재구성되어 탁월한 통치이데올로기가 되었다. 이후 중국역사에서 체제유지를 위해 개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의 규율원리의 구축을 통한 중요한 정치이데올로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31) 이배용, [유교문화의 가족윤리와 여성의 지위: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유교문화 속의 결혼과 가족: 한·중 여성 비교 연구},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1996, 5쪽.
32) 유교에서는 우주자연의 원리인 음양이 본래 불평등한 것으로서 양은 강(剛)하고 존(尊)하며, 음은 약(弱)하고 비(卑)한데, 양은 세공(歲功)을 주재하고, 음은 양을 도와 세성(歲成)을 가져올 뿐이라고 설명한다.
33) 이배용, 앞의 글, 15쪽.
34) 최홍기, [유교와 가족], 한국가족학회 편, {현대가족과 사회}, 교육과학사, 1994, 85쪽.
35) {禮記}에서는 남녀가 성장함에 따라 해야 할 역할을 서술하고 있는데, '일곱살이 되면 남녀는 자리를 함께 하지 않고, 음식을 같이 먹지 않는다.'({禮記}, 권12 內則), '여자는 열살이 되면 규문을 나가지 않고 선생에게 부드럽게 듣고 따르는 법을 배우고, 직조하는 일을 수행한다. ...'({禮記}, 권12 內則) 등 대체로 남자의 경우 대사회적인 활동을 위주로 한 교육인 반면, 여자는 가정내의 교육을 주로 하고 있다. 이순구,{조선초기 종법의 수용과 여성 지위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한국사 일반 전공, 박사학위 논문, 1994, 152-153쪽.
36) 이숙인, {중국고대의 여성윤리사상 형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6, 107쪽.
37) 이숙인, 위의 논문, 154쪽.
38) 이숙인, 위의 논문, 144-154쪽.
39) 월러스틴은 역사적 자본주의의 기본적인 모순들 중의 하나로 '이론적인 평등과 실제적인 불평등의 모순'을 지적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