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회복을 위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전개 방법

Ⅱ. 생태계의 위기
1. 생태계의 의미
2. 대기오염
3. 수질 오염
4. 토양 오염
5. 그 밖의 오염

Ⅲ. 생태계 위기의 원인
1. 인구의 증가와 도시화
2. 현대 사회의 잘못된 소비 생활
3. 인간 중심주의
4. 자연과학의 연구방법

Ⅳ. 생태계 회복을 위한 기독교 윤리적 대안
1. 창조 신앙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해석
(1)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의 의미
(2) 땅에 대한 지배(Dominium Terrae) 명령의 의미
2. 생태계에 회복을 위한 기독교 윤리적 접근
(1) 생태계에 대한 올바른 신앙관 확립
(2) 생태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문에 창조의 보전을 위해 인간은 이 세상을 아름답게 간직하고 귀하게 여기는 사랑의 청지기 의식이 필요하다.
Ⅴ. 결론 및 제언
하나님께서는 태초에 천지와 그 가운데 만물을 선하게, 완전하게 창조하셨으며 하나님의 형상대로 인간을 창조하시고 인간들에게 이 만물을 지배하라 하셨으나, 인간은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함으로 죄를 범하여 하나님의 낙원을 상실하고 말았다. 그러나 인간의 범죄는 전 인류의 타락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창조 세계와 생태계에 고통을 초래하였다. 앞서 연구에서 살펴본 것처럼 우리를 둘러싼 자연 환경 즉, 공기와 물, 흙과 그 위에 사는 모든 생명체들이 인간의 죄악과 무관심 속에 병들어 신음하며 죽어가고 있다.
이제는 윤리적으로 책임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는 유일할 피조물인 우리가 깨닫고, 결단하고, 회개하여 돌아서야 할 순간이다. 하나님 없이 살아가는 지난날의 모습을 버리고 하나님의 피조물을 하나님의 것으로 인지하며 창조 세계를 사랑의 섬김으로 다스리는 하나님의 새로운 인간성으로 변화되어야 할 때이다.
이제 우리는 다음의 기본적이면서도 생태계 회복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제안하면서 본 연구를 맺고자 한다.
하나, 우리 인간 또한 피조물 중 하나이다. 이는 창조 세계와 인간과의 수평적인 관계를 의미한다. 물론 인간에게 다소의 우위성은 있으나 이것은 자연을 힘과 지식으로 다스리라는 우위성은 아니다. 이것은 자연과 인간과의 아름다운 조화와 공존, 그리고 함께하는 성장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우위를 의미할 뿐이다.
둘,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위임받은 책임적 존재이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창조 세계의 관리자로 삼으시고 사랑으로 섬길 것을 명하셨다. 그러기에 더 이상 우리는 우리 뜻대로 자연을 활용하거나 착취할 수 없다. 도리어 자연을 주신 창조주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도록 책임을 가지고 창조 세계를 가꾸어 나가야 한다. 인간이 창조 세계에 대한 책임적 존재임을 자각할 때에야 위기에 처한 생태계의 회복이 가능할 것이다.
셋, 그러기에 우리는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은 삶을 살아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다운 세계를 회복해야 한다는 목표지향적 제안을 넘어서는 것이다. 우리의 모습이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하고 좋은 모습이면 당연히 창조된 세계의 모습 역시 좋은 모습으로 회복되어지고 변화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은 이러한 삶의 모습은 성서가 가르쳐주는 대로, 자족의 삶이며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마땅히 가져야 할 검소와 절제의 삶일 것이다.
넷, 이제 그리스도인과 교회는 창조 세계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신앙적 책임을 가지고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 신앙의 공동체로서 교회는 창조 세계의 회복을 위하여 새로운 가치관을 선포, 교육하는 동시에 이를 위한 생활 실천의 구체적이고 표본적인 모습을 제시하고 인도해 나가야 하다. 그리스도인들 역시 삶의 자리에서 자원과 물자를 아껴 지속 가능한 소비 생활을 하여야 한다.
하나님 창조 세계의 회복을 위해 우리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전력으로 노력할 때에 다른 피조물과 인간이 함께 더불어 복을 누리며 하나님께 영광과 찬양을 드리며 살아가는 하나님의 나라가 이땅에 구현될 것이다.
-참고문헌-
1. 외국 서적
Heinz Zahrnt, The Question of God, trans. A. Wilson, (London: Collins, 1969)
J. Moltmann, Gott in der Schopfung. kologische Schopfungsglaube (Munchen, 1985)
Steck, O. H., Welt und Umwelt (stuttgart, 1978)
Susan Okie, World .Population May Hit 10 Billion by Year 2025, (The Washington Post, May 17, 1989)
2. 국내 서적
구자건, 『생태계 위기와 한국의 환경문제』 (서울: 도서출판 따님, 1992)
김균진, 『생태계의 위기와 신학』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1)
백우현 외, 『인간과 환경』 (서울: 탐구당, 1992)
이정배, 『창조신학과 생태학』 (서울: 설우사, 1987)
맹용길, 『자연·생명·윤리』 (서울: 임마누엘, 1992)
3. 번역서
A. T. Durning, 구자건 역, 『소비사회의 극복』 (도서출판 따님, 1994)
F. Capra, The Turning Point, 이성범 역,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서울: 범양사, 1985)
J. Moltmann, Gott in der Schopfung. 김균진 역,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
John R. W. Stott, Issues Facing Christians Today, 박영호 역, 『현대 사회문제와 기독교적 답변』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Leonardo Boff, 김향섭 역, 『생태신학』, (서울:카톨릭출판사, 1996)
권숙표, "우리나라 공해문제 실태와 생태계의 파괴" 『진리·자유』 창간호 (서울: 연세대학교, 1989)
4. 논문 및 정기 간행물
김균진, "오늘의 생태학적 위기와 신학," 『신학논단』 (1990)
김도훈, "성서는 인간 중심주의를 합리화하는가," (기독교문화연구 3권, 1998, 10)
김명룡, "창조의 보전과 새로운 창조신학," 『장신논단 6집』
맹용길, "성경적 환경윤리의 방향과 틀," 『목회와 신학』 (1993, 9.)
박근원, "창조질서 보전과 교회의 과제," 『기독교사상』 (1989, 9.),
박준서,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에 대한 성서적 이해," 『기독교사상』(1989, 9)
박이문, 『환경과 생명』, 1996, 여름·가을호
임성빈, "환경보전에 대한 신학적 근거," 『제 3회 총회 환경지도자 양성학교』 총회환경보전위원회, 1997)
조용훈, "기독교 환경운동론의 신학적 기초" 『제 5회 총회 환경지도자 양성 학교』 (총회환경보전위원회 199. 3)
______, "지구환경위기의 원인 논쟁과 기독교," 『韓國基督敎倫理學 論叢』
5. 홈페이지
www.user.yongsan.co.kr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0.1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