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관리체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범위 및 내용
제 3 절 연구방법

제 2 장 성과관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 1 절 성과와 성과관리
1. 성과의 개념
1) 업무수행과정과 성과
2) 효율성과 효과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의 일반적인 성과
3) 결과중심의 성과개념
2. 공공부문에서의 성과관리
1) 공공관리의 특성과 성과관리
2) 성과측면에서의 정부관리 실태
3) 성과와의 연계를 통한 관리쇄신 노력
3. 결과중심의 성과관리 내용과 성과관리체제 분석틀
1) 결과중심의 성과관리 내용 및 필요성
2) 성과관리제도 분석틀
제 2 절 유사개념 및 제도와의 비교
1. 정책평가를 비롯한 정책연구(정책분석-정책집행)와의 비교
2. 성과감사와의 비교
1) 성과감사의 등장배경과 내용
2) 성과감사의 표준
3) 성과감사와 성과관리의 차이
제 3 절 성과지표 및 성과측정
1. 성과측정의 유용성과 장애요소
1) 성과측정의 유용성
2) 성과측정의 어려움과 한계
2. 성과측정지표 개발시의 유의점 및 성과지표의 기본요건
1) 성과지표 개발시의 유의점
2) 성과측정지표의 필수요건
3. 성과측정지표 개발을 위한 접근방식과 성과지표 유형

제 3 장 우리나라 성과관리의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심사평가제도에 의한 성과관리
1. 심사평가제도의 기능 및 배경
1) 심사평가의 의의 및 내용
2) 심사평가기능의 법적 근거
3) 심사평가제도의 연혁
2. 심사평가기구 및 인력현황
3. 심사평가의 내용 및 방법
1) 심사평가의 대상
2) 심사평가의 종류 및 내용
3) 심사평가 기준
4. 심사평가의 현황
1) 행정조정실에 의한 심사평가 현황(95년 - 97년)
2) 98년 이후 기관평가제도하에서의 심사평가 현황
제 2 절 성과감사제도에 의한 성과관리
1. 우리나라 감사체제와 감사원 기능
1) 감사체제와 감사원
2) 감사원의 기능
3) 감사원이 시행하는 감사의 유형분류
2. 감사현황 : 성과감사를 중심으로
1) 성과감사의 정도
2) 성과감사 내용
제 3 절 우리나라 성과측정 및 관리체계상의 한계
1. 성과평가 관리체제상의 한계
1) 심사평가제도
2) 성과감사제도
2. 평가대상(범위) 측면에서의 한계
3. 평가기준 및 평가내용 측면에서의 한계
1) 심사평가 평가기준 및 평가내용의 문제
2) 성과감사상의 평가기준
4. 평가방법상의 한계
5. 요약

제 4 장 주요 OECD 국가 성과관리 체계 및 현황
제 1 절 주요 OECD 국가 성과관리 도입배경 및 과정
1. 영연방 계열 국가
1) 영국
2) 뉴질랜드
3) 캐나다
4) 호주
2. 미국
1) GPRA이전의 GAO를 중심으로 한 성과관리
2) 새로운 성과관리체제로서의 `정부성과 및 결과법(GPRA)`
제 2 절 영연방 계열 국가의 성과관리 체제
1. 결과중심의 성과관리체제 기본요소
1)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과 활동을 정렬하는 전략적 계획
2) 운영을 전략적 계획에 연계하는 운영계획
3) 운영목표 성취의 정도를 나타내는 성과측정
4) 4개국의 사례가 주는 성과측정지표 개발에 있어서의 유의점 및 준수사항
2. 성과에 대한 책임성 확보를 위한 결과중심의 관리개혁
1) `성과표준` 발간 및 제시를 통한 (대 국민) 책임성 확보
2) `성과계약`을 통한 책임성 확보
3) 의회에 의한 성과정보 활용의 증대추세
3. 관리자에 대한 재원활용의 신축성과 유인책 보장
1) 예산지출권의 분권화(이양)를 통한 관리상의 신축성과 유인책
2) 인력관리상의 단순화와 권한이양을 포함하는 관리상의 신축성
4. 결과중심의 관리혁신을 위한 투자
제 3 절 미국 연방정부의 성과관리제
1. 정부성과 및 결과법(GPRA)에 의한 성과관리 도입배경 및 추진경위
1) 성과관리 도입배경
2) 추진절차
2. 정부성과법(GPRA)상의 성과관리 구성요소 및 운영체제
1) 성과관리 구성요소
2) 성과관리 운영체제
3. 성과중심의 관리를 위한 관리상의 신축성과 유인책

제 5 장 결과중심의 성과측정 및 성과관리체제
제 1 절 성과관리 체제
1. 성과관리 구성요소
1) 중장기적인 일반적 목표 및 추진전략
2) 연도별 운영목표 및 활동계획
3) 성과지표 및 평가
4) 성과정보의 환류 및 활

본문내용

nagement guide』, London: Public Finance Foundation.
Levitt, M and M. Joyce(1987), 『The Growth and Efficiency of Public Spend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wis, S (1986). 『Output and Performance Measurement in Central Government: Progress in Department』, London: HM Treasure.
Malan, Roland M., J. Fountain, Jr, D. Arrowsmith and R.L.Lockridge (1984). 『Performance Auditing in local government』. Government Finance Officers Association.
Meltsner, Arnold J. (1976). 『Policy Analysts in the Bureaucrac 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Morgan, G. (1988). 『Creative Organization Theory - A Resource Book』, Sage Publications, London(116-20).
Morley, Elaine (1986). 『A Practitioner's Guide to Public Sector Productivity Improvement』, Robert E. Krieger Publishing Co.
OECD (1994). 『Performance Management in Government: Performance Measurement and Result-Oriented Management』.
----- (1994). 『Budgeting For Results : Perspectives on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 (1996). 『Performance Management in Government : Contemporary illustrations』.
----- (1996). 『Performance Auditing and the Modernisation of Government』.
----- (1997). 『In Search of Results: Performance Management Practices』. PUMA.
O'Sullivan & Rassel (1989). 『Research Methods for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 Longman.
Pressman, Jeffrey L. and Aaron Wildavsky (1973).
『Implementation : How Great Expectations in Washington Are Dashed in Oakle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Rainey, Hal G. Backoff, R.W., and Levine, C.L. (1976).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6(233-246).
Rosen, Ellen D. (1993). 『Improving Public Sector Productivity』, SAGE Publications.
Mazmanian, Daniel A. and Paul Sabatier (1983). 『Implementation and Public Policy』. Scott, Foresman and Company.
Savas, E.S. (1987). 『Privatization : The Key to Better Government』, Chatham House Publishers, INC.
Schick, Allen (1990a). 『The Capacity to Budget』, Washington D.C.: The Urban Institute Press.
----- (1990b). "Budgeting for Results: Recent Developments in Five Industrialized Countri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0, No. 1.
Simon, Herbert A. 1982, 『Models of Bounded Rationality Volume 2: Behavioral Economics and Business Organization』,
Cambridge, MA.: The MIT Press.
Smith, P (1987).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National Health
Service", 『Public Money』, March(35-39).
Swiss, James E. (1995).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in Ammons ed. 『Accountability for Performance』.
USGAO (1978). 『Comprehensive Approach for Planning and
Condunting A Program Results Review』, Washington, D.C.
Weimer, David L. and Aidan R. Vining (1989). 『Policy Analysis : Concepts and Practice』, Prentice Hall, Inc.
Wilson, Woodrow (1887). “The Study of Administration,"
Priceton UP.
Zajac, Gary and Ali Al-Kazenmi (1997). "Reinventing Government and Redefining Leadership: Implications for Personnel Management in Government." 『Public Productivity &
Management Review』 Vol 20, No. 4.(372-383).
  • 가격3,300
  • 페이지수195페이지
  • 등록일2002.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