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비교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테마파크
1) 테마파크
2) 테마파크의 특징
3) 테마파크 사업의 특징

2. 에버랜드
▶에버랜드 개황
에버랜드의 기술과 장비
1) 설비나 장비의 형태
2) 설비배치와 입지
3) 설비의 지리적 분포와 규모
4) 노동집약도의 정도
운영정책
1) 수요예측
2) 인적자원계획
3) 성수기/비수기에 따른 수요관리
4) 운영통제와 운영조직
5) 기타 서비스 상품
에버랜드 이용상의 문제점

3. 롯데월드
롯데월드의 서비스 파악
1)롯데월드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2)서비스 문제 분석
3)문제점 해결방안
각 타겟별 루트
1)연인들을 위한 루트개발
2)외국인을 위한 루트개발
3)가족을 위한 루트개발
루트를 위한 소비자 교육방안

4.서울랜드
서울랜드 개황
1) 회사소개 및 연혁
2) 기타 부대시설 소개

5.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비교 분석
3개의 테마파크의 입장객수, 매출액등 강점 중심의 비교
3개의 테마파크의 대표놀이기구 설명
3개의 테마파크가 지닌 문제점

본문내용

변환경을 설계하여서 탑승자를 공포감에 싸이게 만든다. 특히 급커브 주행시에는 탑승체가 80도 각도로 기울며 위로 이동, 탑승자들이 평형감각을 잃게 되기 때문에 극한의 스릴을 느낄 수 있다.
탑승체 한대당 4명씩이며 모두 28명이 한꺼번에 출발한다.
유도레일의 길이는 1천13m로 주행시간은 3분이고, 92년에 설치하였다.
자이로드롭(롯데월드)
25층 높이의 아파트옥상에서 번지점프 할 때의 짜릿한 스릴을 맛볼수 있는 타워형 놀이시설. 지름 2.5m의 기둥타워에 설치된 원형탑승물이 천천히 회전하며 상승하다 한순간에 떨어지는 방식이다. 기둥타워의 높이는 78m이며 원형탑승물은 최고 70m까지 올라간다.
원형탑승물이 떨어지는 시간은 단 2초이다. 순간 최고속도는 시속 97km 에 달해 몸이 하늘 위로 붕 떠오르는 듯한 무중력감을 체험 할 수 있다. 제동이 걸리는 순간에는 땅속 깊이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된다. 한꺼번에 40명이 즐길 수 있다.
1998년 국내 처음으로 소개된 이래 자유낙하 하는 순간의 공포감과 쾌감을 맛보려는 젊은이들로부터 인기를 독 차지 하고 있다. 원형탑승물을 몸을 싣고 타워 꼭대기로 올라가며 마음을 졸인 채 호수공원 등 주변경관을 내려다보는 맛도 남다르다.
스카이 엑스(서울랜드)
스카이다이빙과 행글라이딩의 장점을 결합시킨 놀이기구. 비행할 때의 중심 축이 되는 타워와 비행 할 수 있도록 탑승자를 뒤로 끌어 올려주는 타워로 구성되어 있다. 탑승자의 안전조끼에 고리를 걸어 지상 52m높이로 끌어 올린다. 오른 쪽 안전클립을 잡아당기는 순간 시속 80km의 속도로 자유낙하, 스카이다이빙의 묘미를 맛 볼 수 있다.
자유낙하 뒤에는 기계가 안전조끼에 연결된 줄을 4~5차례 잡아당겼다 놓아줘 행글라이더를 타고 하늘을 날아오를 때의 기분을 만끽 할 수 있다. 탑승시간은 5분이다. 하루 스카이 엑스를 탈 수 있는 인원은 5백 명 정도로 제한돼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 이용요금이 1명 기준 으로 1만 5천원이다. 서울랜드에 설치된 놀이기구 중 최고 비싸지만 언제나 만원사례를 내붙여야 할 정도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첫선을 보였다.
3 3개의 테마파크가 지닌 문제점
롯데월드
국내에서는 가장 테마에 충실한 테마파크로 오픈한 롯데월드는 최근 들어 신규시설들이 테마를 무시하고 들어서면서 전체 컨셉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니나안에 의해 팬시 분위기의 네온 사인이 도입 되었고, 모로칸 지역에 공룡이 출몰하면서 초기 디자인 컨셉은 변질 되기 시작 하였다. 하지만 테마파크로서의 틀을 잘 갖추고 시작한 롯테월드는 국내에서는 고객들에게 대표적으로 애용되고 있는 테마파크이다.
에버랜드
1) 카리비안베이 (에버랜드와 따로 분리할 경우)
에버랜드 전체 단지로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카리비안 베이는 훌륭한 테마파크 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Suncity리조트의 Valley of Waves를 참조하여 디자인 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시설이 가장 잘 되어 있는 워터 파크이다. 1,100억원의 과다한 투자비가 다소 경영상의 문제점으로 지적이 되고 있기는 하지만 페스티벌월드 등 에버랜드 내의 시설들과 더불어 국내 최고의 인기 시설임에는 틀림이 없다.
2) 에버랜드
결코 전체 단지를 끌어 안고는 테마파크가 될 수 없는 에버랜드는 전체 마스터플랜을 다시 수립하면서 기존의 자연농원을 하나의 테마 지역으로 밀어내고 전체 에버랜드 단지를 테마파크(종합 리조트)로 묶으려는 의도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 원래 테마파크가 아닌 시설을 테마파크화 하려는 노력은 무의미 하다고 본다. 글로벌페어, 아메리칸 어드벤처, 매직랜드, 유러피언 어드벤처, 이쿼토리얼 어드벤처 등 듣기에도 생소한 명칭들로 다시 소구역화를 시도 했지만, 초창기 개장 당시의 테마화 노력이 좀 더 빨리 구체화가 되었더라면 테마파크로서의 변신도 가능 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에버랜드는 개장 당시부터 사업주인 삼성 이병철 회장의 유지대로 조경 등에 많은 투자를 하며, 개발과 발전을 해 왔지만, 확장 및 발전 계획 이전에 보다 일찍 파크 전체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결정하여 체계적으로 발전 시키지 못한 점이 가장 아쉬운 점이다. 에버랜드는 그 자체로서 세계 6~7대 공원에 자리하고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가장 많은 입장객을 유치하는 국내 제일의 어뮤즈먼트 시설이기에 그러한 아쉬움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서울랜드
국내에서는 개장 당시의 규모나 서울에서의 거리 등 입지 조건이 좋아 많은 기대를 모았던 공원으로 테마파크를 표방하여, 초기에는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그린벨트내의 한계와 향후 시설기부체납 문제 등 보이지 않는 문제들이 있어 지속적인 투자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었다. 현재 전체 파크의 마스터플랜을 재 조정 하고 있으며, 다시 원래의 테마파크로 되살릴 수 있을지 여부는 지켜 볼 만한 일이 될 것이다.
<참고사이트>
http://www.everland.com
http://www.lotteworld.com
http://www.seoulland.co.kr
-목차-
1. 테마파크
1) 테마파크
2) 테마파크의 특징
3) 테마파크 사업의 특징
2. 에버랜드
에버랜드 개황
1 에버랜드의 기술과 장비
1) 설비나 장비의 형태
2) 설비배치와 입지
3) 설비의 지리적 분포와 규모
4) 노동집약도의 정도
2 운영정책
1) 수요예측
2) 인적자원계획
3) 성수기/비수기에 따른 수요관리
4) 운영통제와 운영조직
5) 기타 서비스 상품
3 에버랜드 이용상의 문제점
3. 롯데월드
1 롯데월드의 서비스 파악
1)롯데월드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2)서비스 문제 분석
3)문제점 해결방안
2각 타겟별 루트
1)연인들을 위한 루트개발
2)외국인을 위한 루트개발
3)가족을 위한 루트개발
3루트를 위한 소비자 교육방안
4.서울랜드
서울랜드 개황
1) 회사소개 및 연혁
2) 기타 부대시설 소개
5.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비교 분석
1 3개의 테마파크의 입장객수, 매출액등 강점 중심의 비교
2 3개의 테마파크의 대표놀이기구 설명
3 3개의 테마파크가 지닌 문제점
서비스 생산관리
Report
(3개 기업 서비스 운영관리 조사 및 분석)
  • 가격2,7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10.2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