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평준화에 관한 이론적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Ⅱ. 법인세평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법인세평준화의 개념
2. 법인세 평준화의 동기
3. 법인세평준화의 수단

Ⅲ. 법인세평준화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Ⅳ. 이익평준화와 법인세평준화 연구의 비교

Ⅴ.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여 조세부담의 감소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제조업의 조세감면의사결정에 있어서 법인세평준화 동기가 매우 강함을 시사하고 있다. 기업의 규모에 따라 법인세평준화 관계는 매출액 규모나 총자산 규모와 법인세평준화 정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세평준화 수단으로 기업의 이용변수에는 직접감면수단과 간접감면수단 및 기타변수 모두가 법인세평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변수중 직접감면수단이 법인세평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기업들은 법인세 의사결정에 있어서 조세당국과 전년도 법인세납부액 수준을 의식하여 가능한 한 법인세의 변동폭을 줄이는 법인세평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즉, 법인세평준화를 통해 단기적인 법인세 최소화보다는 장기적인 법인세지출액을 최소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법인세법과 조세특례제한법은 조세정책적 지원과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우리나라 중소제조기업이나 벤처기업 등에 국가정책적 지원책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과세당국과의 마찰등을 피하기 위해 법인세평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은 법령에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향후 법개정시 이러한 모순점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조세법전, 조세통람사, 2002.
2) 강길환, 「경영자의 기간이익평준화 결정형태에 관한 연구」, 회계학 연구 제8호, 한국회계학회, 1988년 10월.
3) 강길환, "「경영자의 기간이익 결정형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이익유 연화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년.
4) 이용호, 「법인세유연화연구」, 회계학연구 제20권 제2호 한국회계학회, 1995.
5) 이종근, 「준비금에 대한 세수」, 회계와 세무, 1997년 9월호
6) 윤건영ㆍ임주형, 「조세지원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한국조세연구원, 1990년 10월.
7) 정규언, 「법인세 유연화에 관한 연구」 회계학연구 제16호, 한국회계학회, 1993년 7월.
8) 주현기,「조세감면 규정을 이용한 법인세유연화 현상」, 세무학연구, 1993년.
9) 최종서,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의 회계변경 동기의 탐색 및 주가효과 검증」, 증권학회지 제15집, 한국증권학회, 1993년.
10) 황교선,「경영자의 기간이익유연화에 관한 연구」, 회계학연구 제10호 한국회계학회, 1990년 9월.
11) A. Banea, J. Ronen and S. Sadan, "Classificatory Smoothing of Income with Extraordinary Items", The Accounting Review, (Jan. 1976), pp.58-68.
12) C. R. Beidleman, "Income Smoothing : The Role of Management", The Accounting Review, (Oct. 1973), pp.653-658.
13) A. Belkaoui and R. D. Picur, " The Smoothing of Income Number; Some Empirical Evidence on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Core and Periohery Industrial Sectors", Journal of Business Finance and Accounting (Winter 1984), pp.527∼555.
14) R. M. Copeland, "Income Smoothing", Supplement to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1968), pp.101-116.
15) R. M. Copeland and R. D. Licastro, "A Note on Income Smoothing", The Accounting Review, (July 1968), pp.540-545.
16) B. E. Cushing, "An Empirical Study of changes in Accounting Policy",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Autumn 1969), pp.196-203.
17) P. E. Dasher and R. E. Malcolm, " A Note on Income Smoothing in the Chemical Industry",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Autnmn 1970), pp.253-260.
18) S. R. Hepworth, " Smoothing Periodic Income", The Accounting Review, (January 1953), pp.32-39.
19) B. S. Koch, "Income Smoothing; A Laboratory Experimental" The Accounting Review (January 1975).
20) O. D. Moses, " Income Smoothing and Incentives : Empirical Tests Using Accounting Changes", The Accounting Review, (April 1987), pp.359-377.
21) J. Ronen and S. Sadan, Smoothing Income Numbers, (Reading, Mass : Addison - Wesley, 1981)
22) E. D. Smith, "The Effect of the Separation of Ownership from Control on Accounting Policy Decision", The Accounting Review (October 1976), pp.707∼723.
23) G. E. White, " Discretionary Accounting Decsion and Income Nomalizatio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Autumn 1970), pp.260-273.
24) J. I. Zimmerman, "Taxes and Firm Size",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Aug 1983), pp.119-128.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2.11.0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