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연극에서의 청교도주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도덕성과 미국적 독자성: 대조, 패션

2.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

3. 현대극에 투영된 뉴잉글랜드

4. 결론

Works Cited

본문내용

는데 이용되는데 대한 울분을 터뜨린다.
당신들은 왜 패리스에게 죄가 있는지, 혹은 아비게일에게 죄가 있는지는 의심해보지 않는 거요? 고소하는 사람은 항상 거룩한 겁니까? 그들은 오늘 아침 하나님의 손가락처럼 깨끗한 상태로 태어나기라도 했답니까? 지금 세일럼을 휘젓고 있는 것은 복수입니다. 세일럼에 사는 우리는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는데 이 미친 아이들이 왕국의 열쇠를 쩔렁거리고 있고 복수심이 법을 지배하고 있소! (77)
아비게일의 허위성을 지적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간음행위를 자백해야 하는 위험을 무릅쓰고 프록터는 재판정에 가지만 남편의 명예를 지켜주려는 엘리자벳의 거짓 증언으로 그의 시도는 무산되고 그는 옥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일요일에도 밭을 갈고 소환장을 찢은 그의 행위가 법정을 전복시키는 사람으로 비치게 했기 때문이다.
그는 자기 아내를 위시하여 옥에 갇힌 사람들이 무죄하다는 91명의 진정서를 가지고 오지만 그 사람들마저 소환당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청교도의 독선적인 흑백논리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재판장을 맡은 댄포스(Danforth)는 사람이 취할 수 있는 입장은 이 법정을 지지하는 편이거나 반대하거나 둘 중 하나요. 중도란 없소 (94)라고 말한다.
결국 3막에 가서는 아비게일이 도망치고 마녀 소동 자체가 거짓이었다는 것이 밝혀지지만 댄포스는 이미 같은 죄로 12명이 교수형 당한 마당에 이제 와서 사면을 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인다. 처음에 마녀 전문가로 권위를 행사했던 헤일 목사는 프록터 등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거짓으로라도 자백을 해서 생명을 구하라고 권유한다. 그는 엘리자벳에게 생명이야 말로 하나님의 가장 소중한 선물이요. 어떤 고귀한 원칙도 생명을 앗아가는 것을 정당화할 수는 없소 (132)라고 설득한다. 존 프록터는 처음에 거짓 증언으로 목숨을 살리려고 마음 먹지만 서명을 하라는 조건에 거짓말에다 서명을 할 수 없다고 항의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내 이름이기 때문이요. 내가 생전에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요. 거짓말에다 서명을 할 수는 없기 때문이요. 나는 교수형당하는 사람 발 밑에 있는 먼지만도 못한 사람이요. 이름 없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소? 내 영혼을 당신들에게 주었으니 내 이름은 남겨두시오! (143)
아더 밀러는 1692년에 있었던 마녀사냥이 현대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그러한 미국적 질병의 뿌리를 청교도주의의 부정적인 측면에서 찾고 있다. 그는 작품에 붙인 장황한 설명을 통해 청교도의 역사, 발전, 선민의식, 보수성, 편협성 등을 이야기하면서 앞에서 멘켄이 지적한 미국적 병폐의 근원으로 청교도정신을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작가 자신이 미하원반미행동위원회의 증언대에 서서 겪었던 체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더욱 더 설득력을 지닌다.
4. 결론
미국 문학에서의 뉴잉글랜드 전통은 건국 초기 청교도 문학에서부터 19세기의 화려했던 낭만기의 르네상스를 거쳐 현대 문학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영향력으로 자리잡아왔다. 청교도정신이 가진 도덕성과 순수성의 추구는 미국이라는 나라를 건국하는데 밑거름이 되었으며 청교도정신이 강조하는 근면과 성실은 물질적인 부흥의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편협성과 독선, 위선 등 부정적인 측면도 지니고 있어서 그것이 인간 정신의 자유로운 발로를 억압하고 삶을 왜곡되게 바라보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19세기까지 유럽의 풍속희극과 멜로드라마의 영향 하에 있었던 미국 연극은 기존의 틀에다 미국적인 내용을 담아서 표현하였다. 이 시기의 연극은 미국적 독자성과 순수성의 찬양과 강한 도덕적 메세지를 당시 유행하던 멜로드라마적인 틀에 담아서 표현하였다.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유진 오닐과 아더 밀러는 청교도정신을 비단 뉴잉글랜드에 한정된 것으로 보지 않고 미국적인 문제의 근원으로 파악하였다. 이들이 청교도주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보는 점은 바로 위선과 편협성이다. 주관적인 현실이 객관적인 진리로 고착되는 과정에서 융통성이나 유연성은 완전히 배제되며 이분법적인 원리가 지배한다. 이들은 이러한 패러독스가 오늘날에도 존재함을 뉴잉글랜드를 배경으로 다룬 극을 통해 제시한다.
Works Cited
Abramson, Doris. "'The New Path': Nineteenth-Century American Woman
Playwrights." Modern American Drama: The Female Canon. Rutherford:
Fairleigh Dickinson UP, 1990. 38-51.
Aiken, George. Uncle Tom's Cabin. The Longman Anthology of American
Drama. Ed. Lee Jacobus. New York: Longman, 1982. 62-99.
Mason, Jeffrey. Melodrama and the Myth of America. Bloomington: Indiana UP,
1993.
Miller, Arthur. The Crucible: Text and Criticism. Ed. Gerald Weales. New
York: The Viking Press, 1971.
Mowatt, Anna Cora. Fashion. The Longman Anthology of American Drama.
33-62.
O'Neill, Eugene. Nine Plays. New York: The Modern Library, 1959.
Porter, Thomas. Myth and Modern American Drama. Detroit: Wayne State UP,
1969.
Smith, Susan. American Drama: The Bastard Art. New York: Cambridge UP,
1997.
Tyler, Royall. The Contrast. The Longman Anthology of American Drama. 5-32.
Watt, Stephen, and Gary Richardson. Ed. American Drama: Colonial to
Contemporary. Fort Worth: Harcourt Brace, 1995.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11.1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