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국내 전자상거래의 분야별 추진현황과 기술동향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 이론적 배경
1) 전자상거래의 개념적 정의
2) 전자상거래의 유형

3. 전자상거래의 분야별 추진현황
1) 전자산업
2) 자동차산업
3) 철강산업
4) 섬유, 의류산업
5) 기타 제조업 분야

4. 전자상거래 추진상의 과제
1) 전자상거래 구현 기술
2) 전자화폐와 전자지불시스템
3) 전자상거래 보안 및 인증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대인데 네트웍환경에서 속이는 방법은 더욱 다양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네트웍 상 즉, 사이버 스페이스 상에서 각각의 사람의 신분을 확인 할 수 있는 인프라가 바로 전자상거래의 기반인프라 가운데 하나인 전자인증기술이다. 전자인증기술은 여러 가지 암호의 방식을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는 공개키 암호기술을 이용해 ITU-T X.509기술을 기반으로 CA(Certificate Authority)서버를 중심으로 한 전자인증기술이 국제적으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고 또 앞으로도 많이 확산될 것이다.
단적인 예로서 WWW프로토콜의 보안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SL(Secure Socket Layer), RSA사가 제안한 보안전자우편프로토콜인 S/MIME, 국제표준 보안전자우편프로토콜인 PEM(Privacy Enhanced Mail)들도 전부 X.509기술을 인증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전자인증기술과 서비스인프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공성을 띠는 인증서비스 인프라와 민간분야의 인증 서비스 인프라이다. 공공 인증 서비스 인프라는 금융망, 행정전산망, 교육망 등 공공성을 띠는 인증 업무에 적용하는 인증 서비스를 말하며 이는 국가적으로 인증 체계와 구조를 형성해 공신력을 가져야 한다.
민간인증 서비스 인프라는 예를 들면 어떤 회사가 회사 내에서 싱글사인온(Sigle Sign On, 자신이 사용하는 많은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해 복수개의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관리하는 불편을 덜기 위해, 회사에서 하나의 X.509 전자인증서를 발급 받고 그 인증서 하나로 모든 시스템에 자신의 신분을 확인 받고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관리비용이나 편리성을 도모하는 시스템)을 위해 직원을 대상으로 인증서를 발급하는 경우는 오로지 회사 내에서의 네트웍과 컴퓨터시스템에서만 적용되므로 굳이 정부기관의 공인을 받지 않더라도 회사 자체적으로 신분증을 발급할 수 있게 된다.
(4) 전자서명기술
전자상거래는 하나의 거래이자 계약 활동이므로 계약 당사자간에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상호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서로 만나서 계약을 하는 경우 녹음을 한다던가 펜으로 서명을 하거나 도장을 찍거나 하지만 네트웍 상에서는 그럴 수 없다. 그러므로 네트웍환경에 적합한 서명기술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전자서명기술이다. 전자서명기술은 암호학적 처리를 통해 다음 3가지를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첫째, 서명자의 신분을 확인 할 수 있어야한다. 즉 누가 서명했는지 검증되어야 한다.
둘째, 서명한 문서(자료)의 수정·삭제 등을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서명자가 후에 서명이나 문서(자료)의 작성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진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사용되는 여러 가지 전자서명기술은 수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해서 증명이 가능한 서명기술이기 때문에 실세계의 서명보다도 훨씬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실세계의 서명은 필적감정을 통해 진위를 확인하지만 상당히 주관적이고 비과학적인 요소가 들어있지만 전자서명의 경우는 진위의 정확성이 분명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확실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지금까지 전자상거래의 개념 및 유형, 그리고 국내 전자상거래의 각 산업분야별 추진현황, 기술적 측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인터넷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확산이 세계경제와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일대 변혁을 일으키고 있는 시점에, 더 이상 전자상거래 시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국가나 기업은 국경 없는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가 어렵게 되었다. 또한, 정보기술과 인터넷은 전자상거래의 촉매가 되어 오늘날 기업의 내부나 기업간에는 새로운 변화와 경쟁을 촉진시키고 있다. 1970년대 초로부터 전통적인 종이로 된 통신수단에서 전자통신기술로 대체되어 일부 기업들은 표준화된 전자문서교환방식에 의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경험하여 왔다. 최근의 인터넷 등 개방형의 네트워크 기반은 새로운 정보인프라를 구축하면서 국내에서의 전자상거래는 폭발적인 발전을 하여 오고 있으나 국제 기업간의 글로벌 전자상거래는 그 환경과 신뢰기반이 조성되지 아니하여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전자상거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의 단편적 기술개발 지원체제를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체제로 개편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공업기반 기술개발사업(중기거점, 공통핵심기술개발)의 세부사업 내용에 전자상거래 항목 신설하고, 기술 수요가 많이 요구되는 전자상거래 핵심요소기술(암호알고리즘, 전자지불시스템 등)에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한 업종별 CALS/EC, CALS 표준화 등 전자상거래 분야에 대한 산업기술 기반조성사업의 확충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http://pec.etri.re.kr/
KTNET 전자상거래지원센터, http://www.ecrc.or.kr/
대한상공회의소, http://ecrc.korcham.net/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상거래지원센터, http://cic.kict.re.kr/ecrc/
대구경북 전자상거래지원센터, http://ecrc.tcci.or.kr/
정보통신연구진흥원, http://www.iita.re.kr/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tta.or.kr/
한국전산원, http://www.nca.or.kr/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
김성희외 1인, e-비즈니스 원론, 무역경영사, 2001
안성진외 1인, 전자상거래관리사,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1
문희철외 8인, 전자상거래의 이해, 학현사, 2002. 3
강원진, 전자결제시스템, 삼영자, 2000
최영근외 1인, 디지털정보의 보안, 박영사 2001
이재규외 1인, 전자상거래와 유통혁명, 법영사 2000
서현진, 끝없는 혁명 : 한국 전자산업 40년의 발자취, 이비컴출판사, 2001. 10
산업자원부의 산업정보화 백서 2002, 한국경제신문사 2001.12
포스코경영연구소, 뉴밀레니엄 철강산업의 도전과 기회, 한국철강신문, 2000. 8
현대경제연구소, 제조업의 디지털 경영전략, 21세기북스, 2000.11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2.11.1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