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의 영양과 식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영양과 식사의 개요
1) 영양이란?
2) 식사란?

2. 한국인의 영양권장량
1) 영양권장량
2). 식단작성

3. 당뇨병과 식사지침
1) 당뇨병
2)원인과 병리
3) 영양관리
4) 식사지침다.

본문내용

그러므로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영양관리는 중심이 되어야 하며 꾸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가벼운 증세로서 약물요법이 필요없는 환자에게 당질을 너무 제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사용할 때에도 이들의 도움이 있으므로 당질의 심한 제한은 요구되지 않는다. 당질을 심하게 제한하면 당질 대사율이 낮아져 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세포의 당질대사의 개선을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당질이 필요하다. 당질은 하루 에너지필요량의 55-60%로 하는 것이 좋다. 성인의 경우 하루에 300g이상의 당질 섭취는 피하며, 하루 100g 이하의 너무 적은 당질 섭취도 안된다.
이외에도 혈당 조절이 잘 되고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절한 양(하루 에너지의 6%이내)의 알코올 섭취는 질병 상태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당뇨병 환자에게 알코올 섭취가 반드시 금기사항은 아니다. 그러나 알코올을 섭취할 경우 아무런 영양소의 공급 없이도 1g당 7kcal의 에너지를 내므로 영양소 결핍현상과 함께 혈중 지질의 상승 등을 유발 할 수 있다.
4) 식사지침
표준체중을 유지하되 각 식품교환군을 골고루 섭취하여 균형있는 식사를 하도록 한다.
식품은 항상 무게를 달고 눈대중량을 익혀서 식품 1교환분량과 자신의 교환수를 익혀 자신에게 정해진 양만큼만 먹는다.
음식의 간은 되도록 자극성이 없이 싱겁게 하여 소금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3끼 식사와 간식을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섭취하며 음식은 천천히 잘 씹어서 먹는다.
매일 고섬유소 식사로서 잡곡류, 두류를 이용하고 과일도 쥬스보다는 생과일을 껍질째 이용한다.
간식으로는 설탕이 많이 든 식품인 꿀, 시럽, 쨈, 케익, 파이, 청량음료 등은 피하고 단맛을 즐기고 싶을 때는 인공감미료를 소량 사용한다.
알코올은 혈당조절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영양소가 없는 에너지 식품이므로 제한해야 한다.
담배는 순환장애를 일으키므로 금한다.
공복시 비교적 자유로이 먹을 수 있는 식품에는 고구마 줄기, 양송이, 고비, 깍두기, 채소쥬스, 미나리, 김, 우거지, 배추, 곤약, 취나물, 상치, 다시마, 미역줄기, 쑥갓, 맑은 고기국물, 버섯, 물파래, 해삼, 양상치, 미역, 해파리 등이 있다.
외식시에는 동물성 기름이나 설탕을 많이 사용한 음식은 피하고 비빔밥과 같이 여러 종류의 식품이 골고루 포함된 음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을 적게 섭취하도록 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1.20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