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온라인 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2. 온라인 참고봉사 분석
2-1. 온라인 참고봉사 방법 및 해결과제
2-2. 온라인 참고봉사의 장점과 단점
3. 온라인 참고봉사 현황
3-1. 국내 대학도서관 온라인 참고봉사 현황
3-2. 미국 대학도서관 온라인 참고봉사 현황 및 연구동향
4. 효과적인 온라인 참고봉사를 위한 모형 개발
4-1. 정책수립
4-2. 이용자질문
4-3. 참고사서의 답변
4-4. 이용자판단
5. 결 론
<참고문헌> <첨부자료>

본문내용

것은 오히려 이용에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점 또한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셋째, 사서가 답변을 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다면 질문한 이용자와의 질문협상을 통해 질문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주제별로 해당사서에게 답변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답변시 전자우편과 전자게시판을 적절히 활용해 공개할 수 있는 것은 게시판을 활용하고, 이용자가 공개를 원하지 않을 경우 전자우편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담당 부서에서는 자주 반복되는 질문을 정리해 FAQ(Frequently Asked Question)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답변을 받는 이용자의 판단과 의견을 모을 수 있는 장치를 활성화해 답변이 부족할 경우 재질문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과 함께 이용자들의 반응에 대한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에 반영하는 방안도 같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온라인 참고봉사를 수행하는데 있어 면대면 서비스나 전자우편 그리고, 전자게시판 어느 하나의 방법보다는 각각의 장점을 살려 함께 활용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며 화상 인터뷰 등을 활용하는 미래의 모형 또한 이와 같은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이용을 보다 활성화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고 질문의 질적 수준이 높아질 것을 대비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주제사서의 양성과 재교육 방안, 그리고 각각의 대학이나 담당사서간에, 혹은 타 기관과의 주제별 협력체계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결국, 이용자들에게 도서관 접근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또 하나의 방법이자, 궁극적으로 이용자들과 도서관을 더욱 가깝게 연결해주는 방법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수경. “우리나라 대학참고봉사에 관한 연구현황 분석”「부산대대학원학기논고」 4(1994.2) pp. 1-15
김휘출. “디지털 참고봉사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10.) “디지틀 도서관의 참고봉사”「디지틀도서관」 10(1998.7) pp. 84-101
김희숙.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관 정보봉사의 효율적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노옥순.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문정순. “전자우편과 전자게시판을 활용한 대학도서관 전자참고서비스”「도서관학논집」 26(1997) pp. 541-572
박준식. “인터넷기반 참고질의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제20차 세미나 자료집」 2000.11.17
서봉호. “온라인 참고질의 시스템 설명 및 시연”「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제20차 세미나 자료집」2000.11.17
정동열, 김지현. “대학도서관 전자참고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국회도서관보」 Vol.37 ,No.5 (2000. 9·10) pp. 30-57
정옥경.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의 개선과 전망”「인천전문대논문집 : 인문사회체육계」15(1991.2) pp. 167-180
최지연. “전자우편을 이용한 전자참고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7.2)
Abels, Eileen G. "The E-mail Reference Interview." RQ 35.3 (1996) pp.345-358
Bonham, Miriam."Library Services through Electronic Mail."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Vol.48, No.9 (1987), pp 537-538
Bristow, Ann and Mary Buechley. "Academic Reference Service over E-mail: An Updat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7(1995) pp.459-462
Bristow, Ann. "Academic Reference Service over Electronic Mail."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vol.53, No.10 (1992), PP 631-632, 637
Bushallow-Wilbur, Lara. et al., "Electronic Mail Reference Service: A Study." RQ (spring 1996), pp 359-371
Gray, Suzanne M. "Virtual Reference Services: Directions and Agenda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Vol.39, No.4 (Summer, 2000), pp 365-375
Internet Public Library. "Ask a question at the IPL reference center." 1999.

Kasowitz, Abby S. :Guideline for information specialists of K-12 digital reference services.: 1998.
Royston, Christine M. and laura Lee Elliott. "Electronic Integration of Library Services Thtough a Campuswide Network." RQ 28(fall. 1988), pp 82-93
Still Julie M. and Frank M. Campbell. :Librarian in a Box : The Use of Electronic Mail for Reference.: Reference Services Review vol.21, No.1(1993), pp 15-18
Tomer, Christopher. "MINE and Electronic Reference Service." The Reference Librarian 41/42 (1996), pp 347-373
출처 : 도서관 2001년 여름 제56권 제2호 (통권 제359호)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1.30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