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수준과 그 대처반응에 관한 연구-교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 문제
3.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스트레스의 개념 정의
2. 직장인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련성
3. 교사와 직무 스트레스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및 연구 변인
3. 분석모형 및 자료처리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 및 연령)과 재직학교 규모에 따른 종속변인의 통계치
2. 교사의 성, 연령 및 재직학교 규모에 따른 스트레스 하위요인별 변량분석

Ⅴ. 요약 및 결론
1.요약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단하기 위해서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 된 척도가 개발되어야겠다.
아홉째, 교사의 연령별로 30대가 가장 많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을 고려하여 교사들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북돋아주고, 동료교사들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로 교육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열 번째, 지역 및 학교 규모별로는 농촌·벽지 지역의 소규모 학교 교사들이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중규모 학교 교사들은 직무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어 근무조건 개선이 요구된다. 근무조건 개선으로는 수당, 신설, 행정직 배치, 휴게실, 교원관사 등과 같은 교사 복지시설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조사 대상을 강원도내 초등학교의 대규모 학교, 중규모 학교, 소규모 학교 교사로 한정함으로써 연구 결과가 중등학교까지 확대하여 해석하는 데는 유의하여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 수준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관찰법이나 면접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주로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 연구에 한정되어 있다.
셋째, 사회과학 분야에서 특히 조작적 연구 방법론에서는 신뢰성, 타당성, 정교화, 과학성을 연구상의 중요한 필수조건으로 요구되며, 아울러서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연구 접근 방법이지만(예컨대, 교사 개인적, 전문성 변인, 역할 모호성 및 역할 갈등과 지각된 탈진과의 관련성 분석), 이 연구는 단지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의 수준, 내용, 원인만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연구 주제와 피험자에게서 인출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원, 변인을 심층적으로 활용, 분석, 탐구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넷째, 따라서 일반화할 수 없고 현상 기술적인 분석 수준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다섯째, 이 연구에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교사 집단의 경우 교직을 선택한 것을 후회하는가 또는 그러한 교사의 자녀가 부모처럼 교사가 되겠다고 하면 반대할 것인가, 찬성할 것인가,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교사의 노력은 어떠했는가, 학교의 조직 건강과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또는 탈진과의 관련성, 그 외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본질, 원인, 반응과 효과, 대처책략과 프로그램, 예방을 위한 다차원적이고 생태학적(ecological) 분석, 검토가 이뤄지지 않은 것, 그리고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 예방과 유능성을 강화시키는 데 필요한 책략을 논의하지 않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여섯째, 분석 방법상에 문제점을 지적하면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을 제한적으로 분석 연구했으나 학교별 특성과 이질성(예: 학교장의 학교 경영 형태, 학교 조직 건강 양태, 학교의 규모, 위치)과 교사의 소명감 분석(mission analysis), 교사 개인별 성격 특성간의 관련성 분석을 시도하지 않았고, 아울러서 다양한 근원에서 사회적 지원이 행해지므로 다 변인적인데 이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교직의 사회화와 TJS 및 탈진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가정되는데 이를 연구 과제로 접근해 보지 않은 것을 들 수 있다.
일곱째,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선행 연구와 비교할 때 방법론상에서 보다 발전된 새로운 시도 연구로서의 차별성보다는 기존 연구상의 결과를 재확인한 연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여덟째, 이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에 대한 유용성 검증(예: 신뢰도, 타당도)을 시도하고 이를 근거로 연구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행동과학 연구 방법상의 기본 전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절차에 따라 검증하지 못한 것이 이 연구의 결정적 취약점이다.
참 고 문 헌
강학구(1996).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성 분석,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권혁록(1996). 아동기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동중(1992). 교사의 자아 정체감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김미애(1995). 집단상담이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옥선(1990). 교사스트레스 요인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정인(1997). 부적 정동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와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김정휘(1991). 교사의 직무 Stress 분석. 춘천교대논문 제 9집.
김정휘(199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김정휘(1995).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분석적 연구. 현대 초등 교육의 탐색. 정 확실 교수 정년 기념 논문집 간행위원회, 351∼424.
김정휘(2001). 교사의 정신 건강과 직무 스트레스. 교육마당 21. 교육인적자원부. 2001. 5. (통권 231호).
김정휘, 고흥화(1994).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연구, 교육신서 202, 서울: 배영사.
김정휘, 심우엽(1989). 교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분석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춘천교대논문 제 29집.
金貞姬 역(1991).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Lazarus, F 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서울: 大光文化社.
김종길(1988).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김환재(1991). 초등교사의 직무성향 지각정도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석사 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김희규(1992). 교사의 직무성향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석사 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수연, 박정애 공저(2000). 교육 조직론. 서울: 교육과학사.
배무환(1988). 직무스트레스의 대처 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 교 대학원.
愼侑根(1991). 한국 기업 근로자의 의식 구조. 경제 연구 총서. 서울: 대학상공회의소 한국경제연구센터.
.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123페이지
  • 등록일2002.12.12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