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동아시아지역의 韓流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국내 대중문화산업의 동아시아 진출현황

Ⅲ. 대중문화산업 해외진출의 문제점
1. 영세한 공연기획사 난립 및 진출전략 부재
2. 수출을 전제로 한 TV프로그램 제작 전무
3. 정부 및 민간부문의 지원체계 미비

Ⅳ. 대중문화산업 해외진출 지원 및 활용 방안
1. 효율적인 지원체계 구축 및 진출전략 수립
2. 새로운 장르개척과 프로그램의 질 향상
3.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시스템 개선
4. 공연 및 프로그램 제작의 국제공동사업 추진
5. 수출·관광산업과 연계한 문화마케팅전략 추진

본문내용

보이는 것은 사실이나, 세계적 수요를 창출할 만큼 질적인 경쟁력을 갖춘 것은 아니며, 포맷이나 프로그램 성격이 시장가치를 생산할 만큼 독창성과 다양성을 확보하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임
한국 대중문화산업의 해외진출과 관련하여, 액션영화를 주축으로 아시아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사라진 홍콩영화의 부침(浮沈)은 좋은 교훈이 될 것임
똑 같은 주인공, 똑 같은 주제와 포맷 등을 고집하면서 자기혁신을 소홀히 한 결과, 문화상품으로서의 경쟁력을 상실하고 문화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음
방송위원회의 방송발전기금이나 방송진흥원의 방송진흥기금을 독립제작사와 케이블TV PP에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조건으로 지원하여 프로그램의 질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해야 함
3.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시스템 개선
韓流열풍을 수출시장 확대의 계기로 삼기 위해서는 해외시장 개척을 무시한 제작 풍토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 즉 제작단계에서 M&E 분리방식으로 제작하고, 방송사 로고나 자막 삽입이 없는 Clean Video를 보유하는 것도 프로그램 해외수출의 필수조건임
프로그램 유통측면에서는 무엇보다도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수출을 총괄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전문적인 프로그램 배급회사를 양성해야 함
일본의 경우, 세계적인 광고회사 <덴츠>는 영세 프로덕션사를 대상으로 수출용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판매를 도와줌으로써 일본 프로그램의 해외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음
4. 공연 및 프로그램 제작의 국제공동작업 추진
최근까지 한국 연예기획사가 중국에서 개최하는 대부분의 공연은 '프로모숀용'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임. 실제 수익이 나올 수 있는 단계는 중국측 파트너가 나타나 합작으로 일을 추진할 때라고 함
현재 베이징에서 손에 꼽을 만한 공연기획사는 국영으로 운영되는 4~5군데 정도임. 때문에 이들과 합작단계에 들어가면 중국기업의 협찬도 유치할 수 있고, CF출연이나 초상권을 이용한 상품판매도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또한 중국에서 공연을 할 경우 문화부, 공안부, 소방국 등의 허가를 받는 데만 1개월 반 이상이 소요되는 현지 행정의 특성상 합작파트너를 구할 경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임
방송프로그램의 공동제작도 마찬가지 효과가 예상됨. 공동제작은 투자유치를 통해 재정적 위험을 분산시키고, 고품질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국의 진입을 쉽게 하는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낼 수 있음
SBS가 지난 8월 8일 홍콩 왕자웨이(王家偉) 감독이 대표로 있는 제톤필름과 드라마 10편을 공동제작하는 내용의 한·홍콩드라마 합작 조인계약을 체결하였음
MBC 프로덕션도 일본 TBS와 제작비를 공동 투자하는 드라마 <트렌드>를 내년 2월 방송 예정으로 9월부터 촬영에 돌입
5. 수출·관광산업과 연계한 '문화마케팅' 추진
동아시아, 특히 중국 시장은 한국의 최대 무역흑자 대상국이자 투자대상지임. 이러한 시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종전과 차별화된 시장 접근 전략이 필요함. 이 차별화된 전략이 바로 韓流를 활용한 '문화마케팅'임
중국 소비자들 가운데에서는 신세대족
중국에서는 1자녀 갖기라는 가족계획의 결과로 인해 소황제라는 독특한 명사를 가진 신세대족이 크게 증가
이 향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이들에게는 한국의 연예인들이 크게 어필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댄스음악 가수들의 인기는 폭발적임. 따라서 이들 신세대족에게는 한국의 대중음악이나 연예인들이 유력한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음
탤런트 안재욱을 모델로 기용한 삼성전자의 PC 컬러모니터는 중국내 시장점유율 1위, 2001년 상반기 90만대, 연말까지 전년의 두 배인 200만대 판매계획
김남주를 모델로 기용한 LG 생활건강의 '드봉' 화장품은 베트남에서 세계적 화장품인 '랑콤'을 누르고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
뿐만 아니라, 2008년 북경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중국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에 있어서도 韓流를 활용한 문화마케팅 전략은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임
대중문화상품이 중국으로 진출할 때 대중국 수출기업 또는 대중국 투자기업이 스폰서로 참여하면 중국시장 마케팅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韓流 스타 연예인들과 직접 만나고, 활동하는 韓流TOUR 관광상품도 점차 확대할 필요가 있음. 동아시아지역의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韓流 가수 콘서트, 영화시사회, 팬서비스, 방송국 견학 등의 이벤트를 관광상품으로 개발한다면 관광상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한국의 대중문화산업을 외국에 홍보하는 훌륭한 수단이 될 것임
한국관광공사는 韓流에 따른 방한관광객 수를 2005년도에는 1만명, 관광수입은 2,000만 달러로 예상하고 있음. 현재 韓流관광상품은 일반상품에 비해 10% 이상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음
참고자료
국제방송교류재단, "1999년도 주요목적사업 추진실적 결과보고", 2000. 2
국제방송교류재단, 2001년도 국정감사 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의 올림픽 유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01. 7
문화관광부, 「2000 문화산업백서」, 2001
문화관광부, 「한국 문화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전략연구」, 2000. 12
산업연구원,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중국시장 마케팅 방안", 2001. 7
산업연구원, "중국시장과 대중음악 마케팅 지원방안", 2001. 4
영화진흥위원회, 2001년도 국정감사 자료
한국관광공사, "「新韓流」Star-Marketing 전략보고", 2001. 8
한국방송개발원, 「방송프로그램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1997. 11
_____________, 「영상산업의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전략 연구」, 1998. 12
한국방송진흥원, 「다매체시대 영상산업의 문호개방과 국제공동제작 연구」, 1999. 12
______________, 「방송영상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정책과제 연구」, 1999. 12
www.chosun.com
www.donga.com
www.hankooki.com
www.kukminilbo.co.kr
www.kyunghyang.com
www.munhwa.co.kr
www.yonhapnews.co.kr
人民日報
新聞晨報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2.13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