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계획론 용어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조경 造景
▶자연환경조사
▶기후 氣候
▶수문 水文
▶랜드마크 Landmark
▶환경심리학(環境心理學) environmental psychology
▶수용능력
▶칼디삭
▶경사도 the gradient
▶기본구상
▶축척(縮尺) scale
▶원격탐사(遠隔探査) remotesensing
▶조경시설
▶평가 Evaluation
▶보링조사▶계획
▶스트레오스코프(stereoscope)

--
--
--
--
등등

본문내용

reoscope)
입체경, 실체경이라는 의미로서 좌우의 눈에 약간 차이나는 사진이나 그림을 보며 입체감 있는 시각상이 보이게 하는 기구이다. 좌우 두 눈의 망막에 비치는 영상은 일반적으로 대상물의 거리에 따라 약간씩 어긋나 보이는데 이를 양안 시차라고 하며 입체감을 일으키는 주된 용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같은 양안 시차를 주려고 할 때 다른 위치에서 찍은 2장의 사진이나 그림을 통하여 입체감이 생기게 할 수 있다. 이같은 목적으로 각종 형태의 입체경이 19C부터 고안되어 왔다.
▶우점도 優占度 dominance
식물군락에서 각 종(種)의 우열상태를 나타내는 군락 척도. 피도(被度)·개체수 등 단일한 양적 척도를 우점도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몇 가지 척도를 조합하여 하나의 우점도로 삼는다.
① J.브라운 블랑케의 우점도 또는 전추정값(totalestimate);피도와 개체수를 조합한 것으로 7계급으로 나뉘는데, ㉠ r:완전히 고립된 것 ㉡?:피도가 아주 낮고 소수인 것 ㉢ 1:피도가 낮고 다수인 것, 또는 피도가 다소 높으나 약간 소수인 것 ㉣ 2∼5:피도계급과 같은 것 등이다.
② DFD지수(DFD―in-dex):1947년 J.T.커티스 등의 제안에 의한 밀도 D, 빈도 F, 피도 D 등 3척도의 합으로 표시되는 종합적인 우점도를 가리킨다.
③ 상대우점도(relative importance value);51년 커티스 등의 제안에 의한 종 사이의 상대적 우열관계를 강조하는 우점도인데, 밀도·빈도·피도의 각 상대값의 합으로 나타낸다.
④ 적산우점도(약칭 SDR);누마다 마코토〔沼田眞〕등에 의한 몇 가지 평균비의 수치로 나타내는 우점도를 가리킨다.
▶토지이용 土地利用 land utilization
한정된 토지를 인간이 일정한 목적을 이룩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활용하는 것. 국민경제적·지역경제적 시점에서의 토지이용과 개별경영 내부의 토지이용을 포함하는 일반적 토지 이용과는 구별되는 경우가 있으나 흔히 같이 쓰이고 있다. 토지이용의 형태는 크게 산업적 토지 이용과 비산업적 토지이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앞의 것은 또 산업부문별로 농업적·임업적·공업적·상업적 토지이용 등으로 나뉜다. 농업적 토지이용은 고도로 발달한 나라에서도 아직까지는 일반적인 토지이용형태이므로 단지 토지이용이라고 할 때 농업적 토지이용만을 말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현대의 경향으로 보아서는 경제발전에 따라 제1차산업에 비하여 제 2차산업·제 3차산업이 급속히 확대되고 농업용 토지보다는 비농업적 용도를 위한 토지수요가 늘어나므로 한정된 토지를 둘러싸고 농업적 토지이용과의 사이에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또한 토지개량, 토지기술이나 교통수단의 발달은 토지이용의 전환을 손쉽게 하므로 경쟁이 더욱 심해진다. 토지이용의 전환이 단위면적당 투자자본량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은 그 토지이용 형태가 자본주의적 토지이용에 한정된다. 그러나 소농적 농업경영이 지배적인 사회에서의 농업적 토지이용이나 자기가 살고있는 주택부지로서의 택지이용 등에서는 토지이용의 전환이 단위면적당 투자자본량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다. 토지이용의 전환에서는 토지가 그대로 전용(轉用)되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새로운 토지이용 형태에 맞도록 토지의 개량·조성이 이루어지고 지대·지가의 상승을 가져온다. 또 일정한 토지이용형태에는 거기에 대응하는 토지공간의 최소규모 즉 그 이하 면적의 토지에서는 그같은 토지이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토지소유자는 장차 지대·지가의 상승을 예견하여 토지이용의 자유로운 전환을 막고, 불균형적인 토지수급관계를 발생시켜 지대·지가의 상승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다. 토지이용의 문제는 역사적으로는 토지이용의 계획화와 결부되어 계획화가 사적 토지소유권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가중치Weight
평균치를 산출할 때 각 개별치에 부여되는 중요도를 결정하는 표준은 종합평균(지수)의 성질에 따라 다르다. 즉, 물가지수에서는 각 품목의 거래수량 또는 소비금액에 의하며 생계비지수에서는 생산가격 총생산가격 또는 부가가치 총액에 의하여 가중치를 정한다.
#참고문헌
『조경계획/설계론』 임승빈 저 오성문화사
『조경시공구조학』 최기수 저 일조각
『조경계획론』 한국조경학회 문운당
『조경설계론』 John L. Motloch 저 대우출판사
『조경설계의 기본요소』 Norman.K.B.저 대우출판사
netdic.cyso.net/document/
www.snu.ac.kr/shool/chap23.htm

키워드

조경,   용어정리,   .,   .,   .,   .
  • 가격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2.18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