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제] 포르노: 사회와 사이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포르노란?
2. 외설과 욕구의 변화
3. 외설 기준의 상대성/애매성
5. 포르노 노출 확산의 배경
6. 포르노 노출에 대한 의견/평가와 그 사례
7. 포르노 노출에서 해를 방지하려면?

본문내용

어서 제대로 크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사례20 : 대1 남, 2001) 중2말(1996 초) 기말고사가 끝나고 오전 수업만 하고 하는데, 비디오를 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난 선생님 몰래 빈 교실에 가서 포르노 비디오를 처음으로 보았는데, 흥분과 실망의 교차였다. 친구들은 배우가 부럽다는 말을 했지만, 왠지 변태적이어서 거부감이 들었다. 무언가 기대를 가지고 보았는데, 배우들의 성교까지 거부감이 들었다. 실망과 허무.. 성교는 사랑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런 것들은 아니었다.
(사례21 : 대2 남, 2001) 중1때(1994) 처음 포르노를 보게 되었다. 독실한 기독교도인 나의 소감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충격이었다. 사람이 아니라는 느낌과 함께 속이 울렁거리면서 구토증상이 나타났다. 그런데 옆에 친구는 태연히 사과를 먹으면서 보고 있었다.
(사례22 : 대1 남, 2001) 중1때(1992) 처음 본 포르노는 충격이었다. 여자에 대한 것을 모두 알았다는 벅찬 느낌에다가 그것이 싫지 않다는 생각도 들었다. 다시 보고 싶었으나 좀처럼 기회가 생기지 않다가 중2때 또 다른 포르노를 보았다. 포르노를 본 이후 난 자위행위를 자주 시도했으며, 그때마다 성기에 삽입되는 장면이 머리 속을 아른거렸다. PC방이 생긴 후 그곳에서 나도 모르게 구석자리를 찾아가 인터넷에서 성인사이트를 방문하여 흥분하기도 했다. 주위를 살펴보며 누가 오지 않을까 걱정하면서 그런 사이트를 찾아 돌아다녔다. PC방을 나올 때는 돈이 아깝다, 내가 미쳤다는 생각을 하지만, 그걸 알면서도 자주 방문하였다. 이제는 집에서 아무도 없을 때 인터넷을 통해서 즐긴다. 그러면서 자위행위를 한다.
(사례23 : 대3 남, 2001) 중3때(1995) 처음 포르노를 보았을 때 내 생각을 완전히 바꾸었다. 친구가 좋은 걸 보여준다면서 무조건 따라오라고 해서 갔더니 제목도 없는 비디오테이프를 가져왔다. 야한 것이라고 해서 여자 가슴이 나오는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남녀의 성행위에 대한 2시간용 테이프였다. 난 친구에게 하나 빌려가서 이를 집에서 보고 싶었으나 어머니가 계셨다. 어떻게든 어머니를 밖에 나가시게 했는데, 부부동반 모임이 있어 나가실 때까지 기다렸다. 2시간용이었지만 30분밖에 보지 않았다. 각각 등장인물은 다르지만, 한 두 번 보니까 다음에 뭘 할지 다 알아 재미가 없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더 자극적이고 새로운 것을 찾고 있었던 것 같다. 지금은 위험을 무릅쓰면서 비디오를 보지 않는다. 편안하게 내 방안에서 인터넷으로 즐기니까...
7. 포르노 노출에서 해를 방지하려면?
상기 사례들의 내용을 보면,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성적 호기심을 충족하거나 성욕을 표현하는 일종의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조건 청소년들에게 포르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오히려 호기심이나 반발심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들에게 함부로 노출시켜서도 안 된다. 그렇지만 그들이 그런 작품에 노출되었다면 반드시 인간의 존재가치 여부에 대한 비판을 아끼지 않도록 요구해야 한다.
작품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내용에서 인간의 존재 가치와 관계되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감상을 통하여 얻는 것보다 잃어버린 것이 더 많다면, 문학이나 예술로서 가치가 없다. 여기에서 얻는 것이란 인간적인 요소를 뜻하는 반면, 잃어버린 것이란 비인간적인 요소를 뜻한다. 비인간적인 요소란 성적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이 포함되는 것뿐만 아니라 폭력의 정당화, 생명의 경시, 여성의 종속화, 인종차별, 아동이나 노약자 학대 등의 내용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예술이나 문학의 탈을 쓴 상업주의에 입각했으므로 작품의 감상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왜냐 하면, 심리학 연구결과들은 그러한 작품을 많이 감상한 사람들은 작품의 내용에 동조하는 경향이 어느 정도 나타난다고 시사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단순히 제목만 보고서 또는 끝까지 작품을 감상하기 전에는 작품 속에 담긴 숨은 의미를 제대로 간파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작품 감상의 권리를 제한하는 일보다 작품 제작을 제한하는 일이 더 현명하다. 이를 위하여 작품에 대한 시비가 생길 때마다 단순히 작가의 수준만을 거론하는 것보다 감상가도 적극적으로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바로 비판의 자세다. 비인간적인 요소를 토대로 비판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상업적 목적으로 포르노를 제작하는 사람들이 꿈을 버리게 된다(윤가현, 1995, 1996, 1998, 2001).
참고문헌
김동철 (1985). 표현의 자유와 음란성. 언론중재, 5(4), 9-21.
윤가현 (1990). 성심리학. 서울: 성원사.
윤가현 (1995. 5.). 포르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지성과 패기, 28, 112-115.
윤가현 (1996. 10. 21.). 음란 폭력간행물이 청소년의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한국간행
물윤리위원회 주최 음란폭력간행물과 청소년의 폭력문제 세미나. 서울: 한국프레스센
터.
윤가현 (1998). 성 문화와 심리. 서울: 학지사.
윤가현 (2001). 문화 속의 성 탐구. 서울: 학민사. (in press)
Allgeier, E., & Allgeier, A. (1991). Sexual interactions (3rd ed.). Lexington,
Massachusetts: D.C. Heath & Co.
Gordon, S., & Snyder, C. (1986). Personal issues in human sexuality. Boston,
Massachusetts: Allyn & Bacon.
Nass, G., Libby, R., & Fisher, M. (1984). Sexual choices: An introduction to human
sexuality. Monterey, California: Wadsworth Health Sciences Division.
Nordland, R., & Bartholet, J. (2001, March 21). Special Report: The Web's dark secret.
Newsweek, 한국판 제11권 제12호, pp. 18-26.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