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과 그의 작품세계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연구사
2. 작가생애연구
3. 계층의식과 문학의식
4. 작품분석

Ⅲ.결론

본문내용

의 변화로서만 설명할 수 없다. 식민지 상황의 긍정적 수용이란 치욕을 누구든 얼마만큼이라도 감당해야 했던 현실에서 과연 진정한 문학이 어떻게 존립할 수 있느냐의 문제까지 거론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진건은 단편소설에서 현실 문제 탐구를 그의 소설 과제로 삼는다. 그런데 이 탐구는 현실의 문제를 드러내는 데 그치지 않고, 현실의 구조를 밝히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현진건은 「고향」이후 창작이 급격히 감소되는데, 마지막 단편「서툴은 도적」에 드러나듯이 그는 깊은 분열에 빠져든 것이다. 그는 이미 민중의 고난이 식민지라는 질곡에 있음을 명징하게 인식했고, 민족해방만이 이 문제의 유일한 해결이라는 것을 자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라는 상황은 더욱 조여오고 지식인은 철저하게 무력했던 것이다.
30년대 이후 그는 5편의 장편을 쓰는데, 이중 유일하게 당대 현실을 다룬 『적도』는 주인공 여해의 각성을 통해 민족해방의 신념을 강렬하게 암시했다. 그러나 주인공이 경찰에 잡히자 폭탄을 깨물고 자결하는 결말에서 그의 각성이 매우 관념적이며, 역사적 대안에 있어서는 한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당대의 억압적인 문학 현실에 기인한다. 빙허가 진정 추구하는 '조선혼'을 작품 내적으로 감추고 여해의 삼각관계에 의한 애정으로 포장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채만식의 『태평천하』에서 윤종학의 사회주의를 드러내는 방식과 같이『적도』의 작품 말미에 드러나는 김여해의 각성과 죽음을 시대적 현실이 만들어낸 구조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작품의 구조는 시대적 현실과 조응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도』는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인물들의 전형을 보여줌으로 당대 사회구조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후 현진건은 역사소설로 전환하여 역사적 과거의 현재적 의의를 추구하는 곳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1930년대 많은 작가들을 현실에서 떠나 과거의 사건으로 돌아가게 한 식민지의 강력한 파시즘은 그동안 사실주의적인 필치로 날카롭게 현실을 그렸던 현진건을 설화적인 구조에 기대인 낭만주의적 역사소설로 나아가게 했다.『무영탑』에서 형상화된 아사달의 예술적 신흥의 경지와 달빛을 통한 아스라한 묘사를 통해서 낭만주의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무영탑』에서 빙허는 자신의 세계관을 신라 사회의 국선파와 당학파의 정치적 대립으로 이념화하여 형상화하지만 설화가 가지는 구조에 흡수된다. 이것은 깊이 있는 역사와 사회에 대한 통찰없이 자신의 주제를 관념적으로 드러내고자 한 자의적 행위였기 때문이다. 이후 역사소설인 『흑치상지』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 이러한 극복의지는 결국 일제의 탄압으로 미완의 작품으로 남게 된다.
현진건은 '조선혼'으로 상징되는 구민족주의 세계관으로 식민지 시대를 바라보며, 당대의 굴욕적 분위기에 대항하였지만, 당대 폭압적 분위기는 그에게 희망의 전조를 보이지 못했고, 낭만적인 귀결로서라도 유토피아 곧, 민족의 해방과 주체적 의지를 꿈꾸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현진건, 「적도」, 『현진건 전집』1, 문학과비평사, 1988.
- , 「무영탑(상)」, 『현진건 전집』2, 문학과비평사, 1988.
- , 「무영탑(하)/흑치상지」, 『현진건 전집』3, 문학과비평사, 1988.
- , 「조선의 얼굴」, 『현진건 전집』4, 문학과비평사, 1988.
- , 「지새는안개/선화공주/단군성적순례」, 『현진건 전집』5, 문학과비평사, 1988.
김경수, 「사랑의 인식과 식민지 현실에의 응전 ; 현진건 <적도>론」, 『적도 외』작품해설, 문학사상사, 1995.
김성곤, 「빼앗긴 시대의 문학과 백년 동안의 고뇌」, 『세계의 문학』62. 1991.
김윤식, 「낭만주의적 역사소설의 수준」, 『현진건전집』2 해설, 1988.
김윤식, 『한국근대소설사연구』, 을유문화사, 1986.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예하, 1993.
신동욱, 『현진건 연구』, 새문사, 1981.
윤병로, 「빙허 현진건의 생애와 문학」, 『한국 근대 작가·작품 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8.
이재선, 「반어의 창을 통해 보는 자아와 사회 ; 현진건의 작품세계」, 『한국문학의 원근법』, 민음사, 1996.
임규찬, 『한국근대소설의 이념과 체계』, 태학사, 1998.
정호웅, 「선험적 자기확신에서 자기 반성으로 ; 현진건 초기 소설의 성격」, 『문학사상』277, 1995.
최예열,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현실 고찰」, 『대전어문학』11, 1994.
현길언, 「현진건 ; 식민지 시대와 작가정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 , 「현진건 소설연구」, 이우출판사, 1989.
- , 「현진건 연구 ; 사회계층적 성격과 세계관」, 『한국학논집』16, 한양대학교출판부, 1989.
권수길, 「현진건소설의 변이양상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1985.
김세헌, 「현진건 연구:후기소설에 나타난 역사의식」,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1990.
박성국, 「현진건 소설연구:세계인식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8.
박조현, 「현진건 역사소설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1989.
박해준, 「현진건소설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논문, 1988.
박홍배, 「현진건의 장편소설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1982.
송해진, 「현진건 문학연구」, 청주대학교 석사논문, 1984.
송현호, 「현진건 문학연구-작가의식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2.
유주형, 「현진건의 작가의식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1985
이일섭, 「현진건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논문, 1988.
정진이, 「현진건 단편소설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8.
진영환, 「현진건소설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논문, 1985.
최영태, 「현진건의 무영탑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논문, 1986.
황효일, 「현진건 단편소설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1985.
이 순, 「현진건론」,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1984
현길언, 「현진건소설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1984.
  • 가격1,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2.25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6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