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슬레 갱신운동의 현대적 의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B. 연구방법 및 범위

II. 웨슬레의 신학형성 배경
A. 웨슬레의 가정과 영국교회
1. 웨슬레의 가정과 부모의 신학적 입장
2. 18세기의 영국교회
B. 메도디스트 운동
1. 동 기
2. 웨슬레의 신앙체험

III. 웨슬레의 교회론
A. 교회론의 형성배경
B. 교회의 본질과 표적
1. 교회의 본질
2. 교회의 표적
C. 교직제도와 성례전
1. 교직제도
2. 성례전(Sacrament)

IV. 웨슬레의 갱신운동과 현대적 의의
A. 웨슬레의 갱신운동
1. 웨슬레의 설교
2. 웨슬레의 교회갱신의 방법론
B. 웨슬레 갱신운동의 현대적 의의
1. 소그룹 운동
2. 평신도 전도자
3. 가난한자에 대한 복음전도

V. 결 론
A. 요 약
B. 결 어

본문내용

현대교회 갱신의 방향을 3가지 제시했다.
그것은 첫째, 소그룹 운동을 통하여 그리스도인 상호간의 교제를 누리는 초대교회의 기본이 되었던 코이노니아(성령의 교제)를 회복하며, 이런 작은 모임을 통해서 신앙성장을 크게 기대할 수 있고 신앙의 공동목표를 향하여 나아갈 수 있는 강력한 힘을 발견 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
둘째, 교회의 참된 본질과 소명을 말하기 위해 평신도가 교회에서 교직자와 똑같은 참된 주체자라는 점을 강조함과 동시에 이들이 각자가 처한 위치에서 세상을 향한 역사에 참여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제자로 만들것을 주장핫다.
세째로 가난한 자들에 대한 복음전도였는데 곤경에 처하여있는 가난한 자들에게 따뜻하고 다정한 실제적인 관심을 나타내 보이지 않고는 복음 전도는 무용하며 사회복음과 영적복음 이 두가지가 모든 필요함을 강조했다.
B. 결 어
전도와 선교 동기의 기초를 제공하는 웨슬레 신학의 특징은 교회갱신을 위한 신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차일스(Chiles)박사의 말대로 웨슬레가 기독교에 크게 공헌한 점은 교회를 개혁했거나 변질 시키는데 인는 것이 아니라, 교회 자체를 새롭게 한 교회갱신(Church renewal)에 있다고 지적한 것은 교회사에서 입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웨슬레의 갱신운동은 18세기의 무기력하고 부패했던 교회에 활기를 주었고, 교회양심에 깨우침을 주었고 교회 선교를 활발하게 해주었다. 이것은 세계선교에까지 나아갔다. 이제 선교 2세기를 향한 한국교회에서 이런 운동이 일어나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교회는 웨슬레가 말한 교회의 3가지 표적처럼 순수한 하나님의 말씀을 회복하고 살아있는 믿음과 정당한 성례전의 집행을 회복해야 한다. 나아가서 갱신운동은 작은교회(Ecclesiolae)로서 존재한다고말한 스나이더 (Howard A. Snyder)의 지적처럼 소그룹을 통한 성도들간의 긴밀한 사랑의 교제로 우리에게 주어진 경험과 은사들은 서로서로 충분히 나눌 수 있어야 하며, 영적 성숙을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성도들을 예수의 제자로 가르치고 훈련하여 그들로 하여금 교회와 세상 구석구석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며 사랑과 성결의 누룩이 되게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가난한 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과 함께 나아가야 할 것이다. 웨슬레의 이러한 교회 갱신 운동이 선교 2세기를 향한 한국교회를 새롭게 하는데 조명이 되기를 바란다.
* 참 고 문 헌
1. 1차적 자료 (Primary Source)
Wesley, John. The Letters of the Rev. John Wesley. ed. John Telford. 8Vols. London : Epworth Presss, 1931.
The Works of John Wesley. ed. Thomas Jackson, 14Vols. London : Wesleyan Conference Office, 1872. Ohio : Schmul Pub, 1977-1979.
2. 2차적 자료 (Secondary Source)
가. 영 문 서 적
Cannon, William. The Theology of John Wesley. New York : Abingdon Press, 1946.
Carter, Charles W. A Contemporary Wesleyan Theology. 2Vols. Michigan : Francis Asbury Press, 1983.
Cell, George C. The Rediscovery of John Wesley. New York : Henry Holt and Co, 1935.
Outer, Albert C. The Doctrine of the Church. New York : Abingdon press, 1964.
Snyder, Howard A. The Radical Wesley : Patterns for Chuch Renewal. Downers Grove : Inter - Varsity Press, 1980.
________________. The problem of wineskins. Illinois : Inter Varsity Press, 1975.
Wesley, John. Explanatory Notes upon the Old Testament. 4Vols. Ohio : Schmul Pub, 1975.
나. 번 역 서 적
Burter, Robert C, Chiles, Robert E. 「웨슬레 신학개요」 김운기 역. 서울 : 전망사, 1988.
Cannon, William. 「웨슬레 신학」 전종옥 역. 서울 : 기독교 대한 감리회 총리원교육국, 1967.
Kraemer, Handriks. 「평신도 신학」 유동식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2.
Miller, Kid. 「새포도주의 맛」 오태용 역, 서울 : 정경사, 1983.
Nicholas, Ron 외. 「소그룹 운동과 교회갱신」 신재구 역, 서울 : 한국 기독학생 출판부, 1987.
Snyder, Howard A. 「혁신적 교회갱신과 웨슬레」 조종남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6.
________________. 「새포도주는 새부대에」 이강천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Watson, David. 「제자도」 문동학 역, 서울 : 두란노 서원, 1987.
Williams A. Scott. 「개신교 신학 사상사」 김쾌상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8.
Williams, Colin. 「존웨슬레의 신학」 이계준 역. 서울 : 전망사, 1983.
다. 한 글 서 적
송흥국. 「요한 웨슬레」 현대신서 39번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1.
______. 「웨슬레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0.
옥한흠. 「평신도를 깨운다」 서울 : 두란노 서원, 1984.
유형기. 「요한 웨슬레」 서울 : 기독교 대한 감리회 총리원 교육국, 1953.
이연길. 「소그룹 성서연구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부, 1982.
조종남. 「요한웨슬레의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출판사, 1984.
______. 「전도와 사회참여」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6.
  • 가격3,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