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관광레저산업에 대한 전망과 활성화 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현대레저문화 및 레저산업의 특징과 성격
2. 관광레저산업의 시대적 변화와 성격
3. 관광레저산업으로서의 지식기반산업의 도래와 성격
4. 관광벤처사업의 특성 및 필요성
5. 체험관광레저의 성격과 활성화

III. 결 론
1. 21세기 강원관광레저를 위한 새로운 비전과 방향
2. 지식기반산업을 중심으로 한 관광레저벤처기업의 활성화
3. 지식기반산업으로서의 대안관광레저와 연계한 체험관광레저의 활성화
4. 지식기반산업으로서의 관광레저산업의 추진 방향

본문내용

다. 특히, 라스베가스나 하와이 같은 전통적인 대규모 관광레저지역도 여타산업의 개발과 발전을 뒤로 한채, 컨벤션산업에 전력을 경주하고 있다. 단순한 컨벤션의 기능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된 생태관광, 모험관광 및 예술관광 등 테마적이고 시스템적으로 다양화시키는 노력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주제별의 테마로 연계된 컨벤션산업이야말로 강원도가 추구해야할 지식기반산업의 전형이라 할 수 있겠다.
(2) 강원도 특산물 및 기념품의 상품화 및 브랜드화
강원도의 가장 취약한 부문은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쇼핑관광의 영세성과 강원도 특산물 특유의 브랜드화를 추진하는 일이다. 먹거리 및 기념품 개발과 생산 및 판매에 획일적인 대중화보다는 목표시장에 맞는 차별화와 새로운 구매성향에 합당한 아이디어 벤처 상품의 제시가 시급하다. 지역의 정서와 특색을 최대한 부각시킨 도전적이고 모험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3) 강원도 테마파크산업의 육성 및 활성화
강원도 관광레저의 가장 큰 고려점은 자연자원위주의 관람형 행태의 유인물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구책은 시설 및 프로그램위주의 체험기회를 높이는 것이다. 여행객의 체제기간을 늘리고, 재방문 동기를 극대화시키며, 계절성의 위협을 타개하기 위해서, 또한 Night life관광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최첨단이 시설과 기술을 요구하는 테마파크산업인 것이다. 비록, 자본과 기술력, 전문인력의 한계성은 적지 않지만 새로운 인구유입, 고용창출, 세수증대 및 지역경제활성화에 적합한 미래산업인 것이다. 태백권지역의 카지노산업과 고원레저관광단지와의 연계성 있는 개발 및 제휴는 강원도의 테마파크사업의 새로운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강원도 체험레저 및 레크레이션 육성
강원도의 천혜의 자연경관과 원시성을 이용한 관광레저의 공급은 전통적인 시설과 프로그램보다는 소프트웨어 위주의 체험레저 및 레크레이션이 될 것이다. 관광과 레저의 기본목적이 삶을 영위하는 수단에서 목적으로 변화하고있고, 인간은 고도화된 산업사회에서 보다 정신적이고 신체적으로 직접 이벤트에 참여하고 그 느낌을 향유하려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강원도는 여타 지역과 비교하여 동해라는 자연적 보고와 역사적으로 분단이데올로기의 산물인 남북한 접경지역이 있다.
먼저 동해안을 이용한 레포츠사업을 들 수 있다. 선진국의 관광레저개발은 주로 해양을 위주로 이루어져있고, 해양관광에 대한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기에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유치를 위해서 해양관광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필요 불가결하다. 국민레저지대로서의 명성을 유지하며 21세기 아시아 및 태평양 시대에 국제 레저지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고, 크루즈, 마리나, 해중, 해저관광시설의 도입과 기존의 어촌, 해수욕장, 지역이벤트 등을 연계한 종합해양관광레저단지의 개발은 절대적이다. 미래의 관광레저는 해양이 중심이 됨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괄적인 관광레저개발의 기반을 조성한다(박기홍ㆍ김대관ㆍ김희수, 1999).
둘째로는, 민통선지역 전적물, 남북대치 현장, 잘 보존된 생태자원을 연계개발 하여 통일안보관광코스로 운영하여 전국민에게 안보와 생태학습의 교육장화 하고, 외국인에게는 세계 유일의 냉전현장을 자원화하는 것이다. 접경지역 지구별 연계성을 유지하고 지역특성과 상징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안이 보다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시설과 프로그램은 지자체의 투자와 협력이 근간이 되어야겠지만, 지역의 대학과 관련기관 및 지역사업체와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통해 다원화되고 개성화되는 21세기의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이러한 제안과 방안을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장치의 제정과 지원 시스템의 구축 및 전문화된 인력과 기술력의 보조 및 육성이 시급하지만, 모험과 연구 개발이 선행되지 않는 관광레저는 21세기 강원의 위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새바람 강원의 미래를 위해 내일을 꿈꾸는 자만이 미래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강원도(2000), 2000 강원관광진흥시책
2. 강원도(1997), 21세기를 지향하는 관광강원의 비전
3. 국토연구원(1999), 한국 관광산업의 활성화와 지식산업화 방안
4. 김광득(1999), 여가와 현대사회, 백산출판사
5. 김덕기ㆍ유지윤(1999), 관광벤쳐기업 육성방안, 한국관광연구원
6. 노나카 이쿠지로(1999), 노나카의 지식경영, 21세기북스.
7. 박기홍ㆍ김대관ㆍ김희수(1999), 한ㆍ중ㆍ일 연계 크루즈 관광사업 추진방안
8. 박상수(1998), 관광서비스 관리론, 백산출판사
9. 이병철(2000년 5월호), 삶이 재창조와 체험관광, 국토개발연구원
10. 이승구(2000), 강원도 관광레저산업의 비전과 전략, 강원관광의 이해, 한울출판사
11. 최승업(1999), 강원도에 적합한 지식기반 신산업 육성방안, 강원개발연구원
12. 최영국, 지속가능 한 관광의 개념과 과제, (2000년 5월호), 국토개발연구원
13. 한국관광연구원(2000), Envisioning a New tourism for the 21st Century. APEC International Tourism Symposium.
14. 한국관광연구원, (2000년 4월호), 계간 한국관광정책
15. 한범수, 관광개발 지역특화로 승부한다. (1997년 8월호), 삼성경제
16. Kelly, J. & Godbey, G(1992)., Sociology of Leisure, (State College, PA; Venture)
17. Sessoms, H, & Henderson, K(1994), Introduction to Leisure Services, (State College, PA; Venture)
18. Rojek, C(1995)., Decentring Leisure, (London; SAGE Publication)
19. Harrison, L., & Husbands, W(1996). Practicing Responsible Tourism, (NY, NY; John Wiley & Son)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02.26
  • 저작시기200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