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분류학의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1. 원시시대
2-2. 그리스시대~중세기
2-3. 16~17세기
2-4. 18세기(Linnaeus의 업적)
2-5. 19세기 전반 (경험주의적 접근)
2-6. 19세기 후반 (진화사상의 영향)
2-7. 20세기 전반 (집단분류학, 기타)
2-8. 20세기 후반 (거시분류학 및 계통분류학 제설)
2-9. 한국의 동물분류학사

본문내용

)와 해어(海魚), 인류(鱗類), 무인류(無鱗 類), 개류(介類)로 나눔. 어명고에는 약 120종의 어류, 약 80종의 기타 동물에 대하여 유사종을 들고 특징을 상세히 기술. 산지와 잡는법 등.
D. 근대 및 현대 (1945년까지)
현대적 분류학적 방법(린네식)으로 연구한 사람은 유럽학자들이었다.
1835년 한국산 새를 기록, 1850년 연체동물, 1887년 나비류, 1897년 갑각류.
원홍구(1888∼1970) 조류, 정문기(1898∼1995) 어류, 조복성(1905∼1971) 곤충(딱정벌 레), 석주명(1908∼1950) 나비류, 백갑용(1914∼1996) 거미류.
E. 현재(1945년 이후)
「조선동물명(척추동물)」[朝鮮動物名(脊椎動物), 조선생물학회, 1948]
「한국조류명휘」(韓國鳥類明輝, 남태경, 1950)
「한국어보」(韓國漁譜, 정문기, 1954)
「한국산조수분포」(韓國産鳥獸分布, 원병오·우한정, 1958)
1959∼1998 문교부(교육부) 한국동식물도감 총 38권
한국동물학회 「한국동물명집(二) 곤충편」(1968)
「한국동물명집(一) 척추동물편」(1970)
「한국동물명집(三) 무척추동물편」(1971)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한국곤충명집」(1994)
한국동물분류학회「한국동물명집(곤충 제외)」(1997)
체계화된 계통분류방법론으로 양서영은 동위 효소 분석에 의한 집단적인 변이 연구 도입, 고흥선의 수량분류학적 연구, 이병훈의 분기론적 연구, rRNA의 염기서열을 결 정하고 그 자료를 수리분석 및 분기론적 방법으로 계통을 검토한 김 원 은 분자계통 분류학의 구내 도입의 전기를 마련함.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3.16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