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서해의 생애와 문학에 대해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서해의 생애와 문학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최서해 연보

Ⅱ. 최서해의 생애

Ⅲ. 문학적 특징
1. 전기문학의 특징
2. 후기문학의 특징

Ⅳ. 작품을 통해 고찰해 본 최서해의 문학적 특징
1. 토혈
2. 탈출기
3. 홍염

본문내용

림자를 향하여 내리뛰었다. 그는 천방지방 내리뛰었다. 독살이 잔뜩 올라서 불빛에 번쩍이는 그의 눈에는 이 두 그림자밖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으윽, 끅."
문 서방이 여러 사람을 헤치고 두 그림자 앞에 가 섰을 때 앞에 섰던 장정의 그림자는 땅에 거꾸러졌다. 그때는 벌써 문 서방의 손에 쥐었던 도끼가 장정 인가의 머리에 박혔다. 도끼를 놓은 문서방의 품에는 어린 여자의 그림자가 안겼다. 용례가……
이 글의 절정과 결말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좀 길게 인용하여 보았다. 작가는 다른 작품에 비해 중국인 지주를 죽이는 과정을, 치밀한 계획아래 시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살인과 폭력으로 끝맺는 다른 소설들-「朴乭의 죽음」이나 「饑餓와 殺戮」, 「暴君」-에서는 분노의 대상이 무분별하거나, 그 방법이 즉흥적이고 순간적인 면이 강한데 비하여, 이 작품에서는 대상의 선정도 정확하고, 방법도 치밀하고 계획적인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다. 문서방은 중국인 지주의 집에 갔을 때 사나운 개를 따돌리고, 세차게 부는 바람을 이용하여 울타리에 닿은 보릿짚더미에 불을 지른다. 그러고도 집 뒤 숲 속에 앉아서 불타는 모습을 보면서 중국인 지주가 불을 피하여 집 밖으로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것이다. 감정이 복바쳐 흥분을 하면, 앞뒤를 생각지 않은 행동을 하게 되는데, 문서방은 끝까지 흥분하지 않고 침착하게 자신이 계획을 치밀하게 추진하는 것이다. 이것은 작가의 작품이 주관적이고 즉흥적이었던 데서 객관적이고 계획적인 단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許判浩, 「崔鶴松 小說硏究」, 成均館大 博士論文, 1991, pp. 81~82
이전에 이미 「脫出記」를 비롯한 「朴乭의 죽음」이나 「饑餓와 殺戮」과 같은 글을 발표한 경험이 있는 그는 이 글을 쓸 때 먼저 쓴 글보다 더 치밀하게 계획하고 전개해 나갈 수 있었고 그 속에 작가의 경험을 토대로 조선 소작인들의 한과 분노의 표출을 살인과 방화에까지 이르게 하는 상상력의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게 된 것이다.
3) 결론
1920년대는 일제의 식민정책으로 우리나라의 경제가 극한적 빈궁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문단의 경향도 현실 도피적인 환상의 낭만파에서 사회주의적 풍조를 배경으로 현실을 직시하는 신경향파 문학으로 바뀌게 되었고 이에 따라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도 소시민층의 인물에서 하층의 밑바닥 인물로 바뀌게 되었던 것이다.
許判浩, 위의 책, p. 120
이러한 하층민의 삶을 가장 현실감 있게 서술할 수 있었던 사람이 바로 최서해이다. 그의 간도 체험은 그가 소설을 쓸 때 밑바탕이 될 수 있었으며, 작가의 처절한 고통과 한의 체험이 그의 소설을 더 빛이 날 수 있게 해주었다. 비록 이 소설의 결말이 현실을 극복해 나갈 방법이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극단적인 폭력으로 인해 끝을 맺어버리는 것이 한계점이 될 수도 있으나, 중요한 것은 소설의 결말을 통해 작가가 체험한 간도 이주민들의 뼈아픈 고통과 한의 표출을 잘 형상화시켜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최서해의 소설을 진정한 '체험의 문학'이라 불릴 수 있게 한 결정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으며, 그의 문학이 왜 당시의 리얼리즘 문학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었는지를 잘 알 수 있게 해준다.
Ⅴ. 마치며
지금까지 최서해의 작품과 그의 생애를 관련하여 그의 문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최서해의 문학적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정리 해 볼 수 있다.
첫째, 최서해는 1920년대 식민지하의 빈궁과 기아라는 참혹한 현실을 작품 내에 반영하였다. 특히 간도와 국내를 동질적인 소설 공간으로 확대하여 간도 이농민의 실상은 물론 국내 노동자 및 소시민들의 실질적이고 정신적 고통의 생활 존재 양상을 가식 없이 보여 주었다. 그리고 중국인의 비인간성과 일제의 비인간적 행위를 부각시켰다. 또한 서해는 절실한 체험을 토대로 당대의 문학과 대립된 체험문학의 영토를 개척하면서 자신의 체험을 민족적 차원의 고통으로 승화하여 식민지적 역사 의식을 뚜렷이 표현하였다.
둘째, 최서해의 문학이 신경향파, 프로문학과 맥을 같이 함에 있어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반항의식과 폭력행위는 극히 원초적인 것으로, 내면에서 자연히 발생 된 본능적 계급의식의 행위였다. 흔히 그의 다수의 작품들을 신경향파, 프로문학으로 단정하기 쉬우나 엄연히 목적의식을 배제한 다른 양상의 작품들이다. 즉, 하층민들이 지니는 낮은 수준의 계급의식이었고 프로문학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이데올로기 계급의식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이었다. 물론, 그가 프로문학에 관여하기는 했다. 그러나 그의 작품 주인공들은 사화주의 계열을 내세워 만들어진 인물들이 아니다. 또한 그의 작품 주인공들에게 혁명적 의식은 더욱 없었다.
최서해는 민족 수난기를 목격하면서 자신의 진실한 체험을 민족적 차원으로 솔직하게 표현하였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강한 설득력을 갖는다. 따라서 최서해의 문학은 오늘날 한국문학사에서 귀중한 민족 체험문학으로서의 유산일 뿐만 아니라 한국현대소설사에 새로운 문을 개척한 작가로 평가될 수 있다.
이정선, "최서해 연구", 교육학석사학위논문, 1989년, pp.72 ∼ 73, 참고.
참 고 문 헌
1) 곽 근, 『최서해 전집(상),(하)』, 문학과 지성사, 1987
2) 곽 근, 「최서해 작품,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3) 김주연, 「울음의 문체와 직접화법」, 문학사상, 통권 26호
4) 김준우 외, 현대문학, 지학사, 2003
5) 방인근, 「북청의 의지 서해」, 사상계, 1963
6) 서정주 외, 「현대작가론」, 형설출판사, 1979
7) 이윤재, 「서해의 약력」, 문예독본 권이, 한성도서주식회사, 1931
8) 이어녕, 「한국작가전기연구 (하)」, 동화출판사, 1980
9) 이정선, "최서해 연구", 교육학석사학위논문, 1989
10) 이 훈, 『최서해소설론』-가난과 가족애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7
11) 최학송, 「그리운 어린 때」, 조선문단, 1925
12) 황패강 외, 「한국문학작가론4」, 「최서해」(유기룡), 집문당, 2000
13) 정음문화사, 「요절한 문학의 천재들」, 정음문화사, 1991
  • 가격1,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3.07.22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5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