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한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한자와 한자어
Ⅰ. 육서(六書)와 한자어의 구조(構造)
Ⅱ. 필수 한자어(漢字語)

제 2 절 한 문 법
Ⅰ. 품사(品詞)
Ⅱ. 한문의 문형(文型)

본문내용

있는 한자를 순서대로 짝지은 것은?
① 不, 自 ② 於, 其 ③ 以, 爲 ④ 爲, 所
4. 내용상 윗글의 문장과 다음 보기의 문장을 서로 관계 있는 것끼리 짝지은 것으로 잘못된 것은?
ⓐ 己亭福樂者 不知人窮苦 ⓑ 外授 莫如自修
ⓒ 愚吝者 不知身死而財且無用 ⓓ 有功者 自食其 功
ⓔ 幼少時事 終爲惡習 老而不改也 ⓕ 爲衆所惡 災害目及之也
ⓖ 不在其位 枉有干涉 ⓗ 衆人出力 費小而惠大
① ⓐ - (마) ② ⓑ - (라) ③ ⓕ - (가) ④ ⓗ - (바)
※(5∼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보기 》
(가)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나) 破山中賊易 破心中賊難
(다) 愛人者 人恒愛㉠之 敬人者 人恒敬之 (라)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得
(마) 勿以惡小而爲㉡之 勿以善小而不爲 (바) 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
(사) 良藥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사)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5. 내용상 (바)와 유사한 한자 성어는?
① 鐵心石腸 ② 捲土重來 ③ 捨糧沈舟 ④ 大奸似忠
6. 내용상 (바)와 유사한 한자 성어는?
① 居安思危 ② 烏飛梨落 ④ 傲霜孤節 ④ 傲霜孤節
7. (라)와 (아)에서 유래한 한자 성어가 순서대로 짝지어진 것은?
① 麥秀之嘆, 炎凉世態 ② 善遊者溺, 首鼠兩端
③ 礎潤而雨, 子路負米 ④ 風樹之嘆, 金蘭之契
8. ㉠∼㉡ 중 <보기>의 '之'와 쓰임이 같은 것은?
<보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① ㉠ ② ㉡ ③ ㉢ ④ ㉣
※(9∼1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玉不琢不成器 人不( ⓐ )不知道 (나) 大丈夫當容人 無爲人所容
(다)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라)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마) 朝聞道 夕死可矣 (바) 巧言令色 鮮矣( ⓑ )
(사) 自天子以至於庶人 壹是皆以修身爲本 (아) 冬溫而夏淸 昏定而晨( ⓒ ) 出必告 反必面
9. ⓐ, ⓑ, ⓒ에 들어갈 글자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① 倫, 道, 聖 ② 學, 仁, 省
③ 學, 義, 孝 ④ 孝, 仁, 省
10. (나)와 문형이 같지 않은 것은?
① 賢婦令夫貴 惡婦令夫賤 ② 匹夫見辱 拔劍而起
③ 先則制人 後則爲人所制 ④ 不信乎朋友 不獲乎上矣
11. (아)의 내용과 관계 없는 것은?
① 昊天罔極 ② 三枝之禮 ③ 直躬證父 ④ 反哺之孝
※ (12~1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施恩勿求報 與人勿追( )
(나) 禍莫大( )從己之欲 惡莫大( )言人之非
(다) 有德者必有言 有言者不必有德
12. (가)의 ( )에 들어갈 글자로 옳은 것은?
① 悔 ② 誨 ③ 晦 ④ 懷
13. (나)의 ( )에 들어갈 글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於 ② 使 ③ 于 ④ 乎
14. (다)와 유사한 문형은?
① 君仁莫不仁 君義莫不義 ② 吾予之利 於物 無不陷也
③ 千里馬 常有 而伯樂不常有 ④ 伯樂常不有
※ (15~1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弟子不必不如師 師不必賢於弟子
(나) 道吾善者 是吾賊 道吾惡者 是吾師
15. (가)에 관한 사항이 아닌 것은?
① 부분 부정 ② 우등 비교 ③ 전체 부정 ④ 열등 비교
16. (나)의 '道'와 뜻이 같지 않은 것은?
① 目不視人之短 口不道人之過 ② 好稱人惡 人亦道其惡
③ 曰漢陽中誰最富 有道卞氏者 ④ 朝聞道 夕死可矣
※ (17~1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 不亦君子乎.
17. ㉢과 용법이 다른 것은?
① 千里馬常有而伯樂不常有 ② 貧而無怨
③ 得天下英材而敎育之 ④ 君子和而不同
18.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반어문 가정문이 쓰엿다. ② ㉠은 항상 종결사이다.
③ ㉡은 '기쁘다'라는 뜻이다. ④ ㉣은 '성내다'라는 뜻이다.
※ (19~2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鮮矣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
也者 其爲仁之本與
(나) ⓒ弟子人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 ).
19. ⓐ~ⓓ 중 의미가 다른 하나는?
① ⓐ ② ⓑ ③ ⓒ ④ ⓓ
20. (가)의 중심 화재는?
① 孝弟 ② 務本 ③ 道生 ④ 君子
21. ㉠과 의미가 다른 것은?
① 巧言令色 鮮矣仁 ② 人莫不飮食也 鮮能知味也
③ 治大國 若烹小鮮 ④ 孝子甚鮮 由不深知父母之恩故也
22. (나)의 ( )에 들어갈 말은?
① 禮樂 ② 學文 ③ 愛民 ④ 治國
23.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子貢曰 貧而無( ) 富而無( ) 何如. 子曰, 可也, ㉠未若貧而樂 富而好( )者也.
(나) 由 ㉡誨女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① ( )에는 '諂, 轎, 禮'가 순서대로 들어간다.
② 밑줄 친 ㉠은 문맥상 우등 비교이다.
③ ㉡은 '가르치다'라는 뜻이다.
④ ⓐ~ⓒ 중 ⓐ와 ⓒ가 대명사이다.
24. 다음 글의 ㉠과 뜻이 통하는 것은?
(가)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① 於 ② 在 ③ 又 ④ 雖
25.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① ( ) 안에 들어갈 말은 '後生可畏'이다.
② ㉠은 비교문을 목적어로 취하는 문장으로 '어찌 오는 자가 지금 자보다 못하히하는 것을 알리오'라는 뜻이다.
③ ㉠은 전체적으로 방어문이다.
④ ㉡은 '감히 두려워해서는 안된다.'라는 뜻이다.
※ (26∼2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子貢問政, 子曰 「足食足兵 民信之矣」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三者 何先」 曰(왈),「去( )」 子貢曰,「必不得已而去 於斯二者 何先」 曰,「去( ) 自古皆有死 民無( ) 不立」
26. ( )안에 들어갈 한자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① 食 - 兵 - 信 ② 兵 - 信 - 食
③ 信 - 食 - 兵 ④ 食 - 信 - 兵
27. ㉠과 품사가 다른 것은?
① 愛人者 人恒愛之 ② 農夫餓死 枕厥種子
③ 等彼西山 ④ 孝者百行之本也
28. ( )안에 들어갈 한자는?
其身正 不令而行, 其身不正 ( )令不從.
① 而 ② 若 ③ 雖 ④ 則
29. ( )안에 들어갈 한자는?
子貢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 )乎 已所不欲 勿施於人.
① 恕 ② 禮 ③ 聞 ④ 信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3.10.26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