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멸균물품 다루기

2.손소독

3.장갑착용

4.가운착용

5.수술시체위

6.봉합사

7.봉합침

8.계수하기

9.감염관리

본문내용

all이나 4X4거즈 등 해당 항목이 없는 경우의 계수확인은 기타 항목을
활용한다. 단, 불일치의 경우, 확인, 처리과정을 특이사항란에 기록한다. 해당없음인 경우
는 해당없음 란에 로 표시한다. 각 차수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1차(일치,불일치) : 수술직전에 double count한 후 계수 결과의 일치, 불일치 여부를 표시하고 계수한 간호사의 성명을 기록한다.
(2) 2차(일치,불일치) : 수술 중 마지막 체강을 닫기 직전에 계수 결과의 일치, 불일치 여부를 표시하고 계수한 두 간호사의 성명을 기록한다.
(3) 3차 (일치,불일치) :수술 중 마지막 체강을 닫은 후에 계수 결과의 일치, 불일치 여부를 표시하고 계수한 두 간호사의 성명을 기록한다.
(4) 4차(일치,불일치) : 피부봉합직전에 계수 결과의 일치, 불일치 여부를 표시하고 계수한 두 간호사의 성명을 기록한다.
8.감염관리(상처관리,환경조절)
모든 수술환자는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감염은 수술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며 심지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지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수도 있다. 환자를 감염으로 보호하는 것은 수술중 간호중재의 주요목표이다.
멸균영역의 확보와 관리는 수술주기 간호사의 책임이다. 기본적인 무균법, 수술실에서의 통행양상, 환경통제, 수술실 복장, 멸균, 보호벽, 외과적 손소독, 환자의 수술전 피부소독등이 이에 포함된다.최저의 환자관리에는 이들 영역에 대한 지식의 획득, 자기훈련, 모든환자에 대한 무균적 환경유지의 책임수행이 요구된다.
적절한 상처의 분류의 기록은 감염통제간호사가 추후관리를 계획하고 병원의 상처감염을 보고하는데 도움을 준다.
수술실에서의 온도와 습도는 중요하다. 습기는 비교적 전도성 매체를 제공하므로 상대습도가 높게 유지되어야한다. 세균성장을 막기위해 온도는 서늘하게 유지되어야한다. 대부분읜 병원균은 정상적 온도에서 대사하고 번식하므로 방의 온도를 체온보다 낮게 유지함으로써 세균성장이 억제된다. 추천되는 온도는 20~22.2 이며 습도는 50~59%wjdehdlrk. 높은 습도와 낮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환자의 노출된 조직이 건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공기의 흐름이나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술방에서의 공기오염을 통제한다. 공기내의 미생물은 수평면에 상주한다. 매 수술시마다 그리고 그날의 마지막 수술후에 표면을 청결히 하는 것이 이러한 오염을 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 매수술 사이와 그날의 마지막 수술후에 수술방과 기구를 세척하는 프로토콜을 철저히 준수해야한다.
수술방의 출입은 최소한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사람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세균의 전파와 공기교류로 인한 오염이 증가한다.
9.수술실에서 환자를받아들이고 보내는 방법
1.수술실에서 환자맞이하기
① 이름을 직접 물어서 확인한다.
② 금식했는지 묻는다. (12시간 이상)
③ V/S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④ 수술서약서, 마취동의서 있는지 확인한다.
⑤ 항생제 AST후 negative나왔는지 확인한 후, 항생제 투여했는지 확인한다.
⑥ 감염, 전염성 질환, 알레르기 있는지 확인한다. 혈액학적 검사(Hb, Ht, BT, CT) 뇨검사, 간기능 검사(SGOT,SGPT), 혈액현 검사, 혈액준비를 확인한다.
⑦ 의치, 흔들리는 이가 있는지 묻는다.
⑧ 안경, 보청기, 렌즈를 제거했는지 확인하고 화장, 장신구, 메니큐어를 했는지 확인한다. 환의를 착용했는지 속옷을 입고 있지 않은지 살펴본다. 수술부위의 피부준비,관장유무,위관삽입,유치카테터삽입여부를 확인한다.
⑨ EKG, X-ray가 함께 왔는지 확인한다.
⑩ 병동에서 보낸 물품, 약품을 확인한다.
⑪ 불편한 점은 없는지 묻고 수술 설명 들었는지 묻는다.
⑫ 모자를 씌워주고 환자 이름, 수술 명을 컴퓨터로 전송한 후 환자를 수술 방으로 옮긴다.
2.수술실에서 보내는법
1. 마취과 의사의 지시(discharge order)확인한다.
2. 해당 간호단위에의 인계한다.
3. 정맥주입 상태 확인한다.
4. 모든 배액관의 기능 확인및 기록한다.
5. 수액의 남은양이 기록한다.
6. intake output의 기록한다.
7. 투약 기록한다.
8. 특별한 경우( 예: 흉곽병을 달고 있거나 x-ray를 찍고 가야 하는 경우) 의사에게
연락한다.
10.마취과 간호에서의 간호
1. 마취준비
-목적수술을 하기 위해서 각종 기구,약품, 감시장치, 장비를 통해서 마취중, 마취후
환자의 활력증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이다.
① 수술 schedule을 보고 마취준비를 한다.
② 수술명, 나이, 성별, 수술부위, 수술시 position, 수술 시간에 따라 진료재료,
③ 약품, Set, 그외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④ 마취상을 확인하고 마취상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ㄱ) Laryngoscope을 확인한다. (curved blade 또는 straight blade)
ㄴ) Endo - tube를 선택하고 확인한다.
- 삽관 경로에 따라
(Orotracheal, Nasotracheal, Retrotracheal intubation, Tracheostomy)
- Size는 보통 3개를 준비한다.
(Cuff에 Air를 넣어 cuff의 누출이 없는지 Tube내 이물질이 들어 있지 않는지,
변형이 없는지 확인한다)
ㄷ) 용도에 맞는 Suction catheter를 2개 준비하고
kidney basin에 멸균수를 사용 할수 있도록 준비한다.
ㄹ) Airway를 준비한다.
-환자에 따라 Tube가 꺽이거나 눌리지 않을 정도의 size를 준비한다.
Oral surgery인 경우 수술이 끝난후 Airway를 삽입할수 있도록 준비한다.
ㅁ) 약품, 수술시 필요한 Fluid준비(Lidocaine, Heparin, Atropine, Ephedrine등)
⑤수술이 끝났을때 외과의 및 마취의와 함께 환자를 회복실이나 중환자실로
옮긴다.
⑥ 간호사는 수술하는 동안의 환자의 상태 인계시의 환자의 상태 등에 대해서
회복실 또는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인계해준다.
⑦ 마취가 끝난후 마취상은 깨끗이 닦아 정리하고 모자라는 물품은 보충해 놓는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1.1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