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인터넷경매·역경매·공동경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전자상거래

<본론>
1. 인터넷경매
(1) 인터넷경매
(2) 이용자가 정하는 가격
(3) 취급 상품의 확장
(4) 공급자의 입장에서 높은 거래 성사율
2. 사례연구
(1) 옥션(auction.co.kr)
1)회사개요
2)성공비결/아이디어
3)발전 방향
(2) 이베이(ebay.com)
1)회사 소개
2)성공비결/아이디어
3)발전 방향
3. 인터넷 공동구매
(1) 인터넷 공동구매사이트
(2) 공동구매 모델
(3) 공동구매시 유의할 점
4. 역경매
(1) 프라이스라인(Priceline.com)
(2) 국내 역경매 사이트

<결론>

본문내용

에 생산자가 거기에 응한다는 차원에서 그리고 경매와 반대방향의 거래흐름을 갖는 점에서 역경매라 불린다.
국내에서도 비행기표나 여행상품을 역경매 형식으로 제공하는, 미국의 프라이스 라인(priceline.com)을 모델로 하는 마이프라이스(myprice.co.kr), 하우머치(howmuch.co.kr) 등이 있다. 이제 역경매 시장도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역경매 사이트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라이스라인(Priceline.com)
프라이스라인은 역경매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새로운 C2B 시장을 개척했다. 역경매란 구매자가 원하는 가격을 제시하면 그 구매조건에 만족하는 판매자가 연결돼 거래가 성립되는 방식이다. 프라이스라인의 비즈니스 전략은 이러한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형성돼 판매자, 공급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왔다. 그 결과 창업 이듬해 3100만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아울러 프라이스라인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보호에도 힘써 1998년에 특허권을 획득했다. 역경매 모델의 특허권 획득은 다른 유사회사 및 후발주자와의 갈등을 발생시키기도 했지만 현재 프라이스라인은 유리한 위치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새로운 e비즈니스 환경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함에 그것을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된다. 비즈니스 모델은 총체적 전략, 전사적 프로세스의 설계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해 주는 기술력의 세가지 요소를 근간으로 하는 더 폭넓은 관점에서 이해되고 적용돼야 한다.
(2) 국내 역경매 사이트
역경매사이트가 부쩍 늘고 있다. 와마켓코머스시스템이 국내 최초의 역경매 사이트 「와옥션」을 개설한 데 이어 옥션, 다산인터네트, 우리네트, 하우머치 등 신규참여 업체들이 늘어나면서 역경매가 새로운 조류로 자리잡고 있다.
역경매 관련 업체는 와옥션(www.waauction.co.kr), 우리네트(www.low49.co.kr), 아이쇼핑(www.respond.co.kr), 하우머치(www.howmuch.co.kr), 이코노존(www.econozone.com), 메탈아이(www.metal-i.co.kr), 익싸이트(www.exxxite.com) 등 10여개가 넘는다.
서비스상품의 역경매 쇼핑몰도 등장했다. 인터넷 솔루션업체인 휴처인터넷은 여행, 건강, 광고, 법률, 보험 등 각종 서비스 상품을 역경매하는 쇼핑몰(www.onservice.net)을 오픈하고 콘텐츠 사업에 진출했다.
<결론>
인터넷 등 전자매체를 이용해서 상품을 거래하는 행위를 말한다. 일반 적인 상품거래와 함께 고객마케팅, 광고, 정부 제품조달, 서비스 등 도 여기에 포함된다. 특히 인터넷의 홈페이지나 가상 상점을 개설해서 판매활동을 하는 사이버 비즈니스를 협의의 전자상거래라고도 한다.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련 법률과 기본적인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 판매자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다수의 소비 자와 거래할 수 있고 소비자는 유통마진 및 점포유지비 등이 제외되어 가격이 보다 저렴해진 상품을 구할 수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 업체인 IDC는 2000년에는 전자상거래의 규모가 1170억 달러로 들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렇듯 전자상거래는 매체의 특성상 시·공간적 제한이 없어 무한한 성장가능성을 지니고 있게 때문에 각국은 전자상거래 관련법을 제정하는 등 분주한 움직임 을 보이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98년 6월 전자상거래에 부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 한 바 있으나 미국과 세계무역기구(WTO)는 관세를 물리지 않기로 합 의하고 이를 관철시키고자 해 마찰이 예상되지만 조만간 전자상거래에 대한 세계표준안이 마련되면 세계 무역관행에 커다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비하여 우리나라도 최근 외교통상부 통상교섭 조정관을 반장으로 한 '전자상거래 국제규범 협상대책반'을 가동시켰다.
인터넷이 우리생활에 깊숙히 파고들면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다. 전자상거래는 이미 인류의 경제활동을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좋을 만큼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어버렸다. 가히 혁명적이라고 할만큼 종래의 경제행태를 송두리째 변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앞으로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과 함께 제도나 법규의 미비점을 정비하는데도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문제점을 빨리 파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소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 한 우리가 추구하는 21세기 정보선진국은 틀림없이 이룩될것이다r
  • 가격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1.26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