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장 내후성강재 사용교량, 고강도강재 사용교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도장 내후성강재 사용교량, 고강도강재 사용교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도장 내후성강재 사용교량

ꁰ 개요 및 특징
1. 내후성강이란
2. 내후성 강재 규격의 특징
3. 장점및 단점
4. 적용기술

ꁰ 적용사례

2. 고강도강재 사용교량

본문내용

차원 형상을 가지고 있어 내풍안정성이 우수하다.
교량을 지지하기 위한 특수한 부속물들은 주탑부와 단부에는 지진시에도 저항할 수 있고 다정식 현수교의 Stay Cable 처럼 복원력을 갖도록 Spring Shoe를 배치하였으며, 주탑 중앙 외측부 및 단부에는 교축직각방향 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Wind Shoe를 배하였고, 교축방향의 신장이나 회전등을 흡수하며 단부반력을 교각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한 End Link와 부반력 방지용 Center Shoe가 배치되어 전체 현수교의 지지점을 형성하고 있다.
영종대교의 주탑은 3차원 자정식 케이블을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주케이블이 탑정에서 모이도록 다이아몬드 형식으로 설계하였으며 주탑의 제작구분은 가설을 고려하여 탑기부, 탑하부, 탑상부로 구분하여 3개의 대블록으로 분할하여 제작하였고 각 블록간의 이음은 고장력볼트 이음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이외에도 영종대교는 안전상 특징으로서 풍동실험을 실시하여 Fairing을 설치하였고 피로모형실험을 실시하여 피로검증을 하였으며 자동차충돌에 대비한 철제방호책, 열차이탈 방지를 위한 침입방지책, 배 비행기충돌에 대비한 항로유도등과 항공장애등을 설치하였다. 또한 재료적 특징으로서 국내 최초로 조질고장력강(SWS570)과 내박판균열강재(내Lamellar Tear강재)를 적용하여 국내 강재발전의 큰 획을 긋는 개가도 올렸다. 현수고구간 주탑부 기초는 뉴매틱케이슨공법(Pneumatic Caisson Method), 접속트러스교와 강합성교의 기초는 직경 1,500mm 및 1,000mm 의 현장타설말뚝기초로 하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0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