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학에서의 학습은 어떻게 다른가?

2.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 하나

3.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 둘

4. ‘필드상(賞)’을 아십니까?

본문내용

강의시간에 강조되는 점들에서 그 의도가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 사람의 의도가 발견되더라도 자신만의 생각을 객관적을 분석하고 건전한 대안(비판)이 생각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 논리적인 짜임새를 갖추어라!
내용 못지 않게 그 형식이나 표현방법이 중요하다. 자신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남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써야 한다. 잘 알아 볼 수 있게 쓴 글이란 논리적으로쓰여진 글을 말하는데, 우선 글이 논리적으로 쓰여질 수 있도록 큰 제목과 소주제들을 묶어서 글의 대략적인 개요를 적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아주 간단한 본문의 내용만을 특별히 요구하는 보고서 외에는 항상 머리말,본문,맺음말 순으로 짜임새 있게 구성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자신의 생각과 할 말을 써 나가야 한다.
가장 나쁜 보고서는 여기저기에서 내용을 뽑아 조합하는 것이고 최악의 경우는 교수님의 그것을 전혀 모를 것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4) 시험 공부하는 방법
가. SQ3R법에 대해서 정확히 인식하고 활용하라
나. 교재를 미리 구입하고 강의가 시작하기 전에 서문과 목차를 읽어라
다. 책의 여백에 본인이 생각하는 것을 (질문도 좋다.) 여백에 써넣어라.
라. 강의 중에는 코넬식 노트 정리법을 활용하라.
마. 강의내용과 교재 내용을 암송하라 (단어장을 이용하여 암송하라)
사. 과제는 미리미리 제출하라
아. 시험공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전략을 세워라
자. 충분한 수면을 취하라!
차.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라.!
카. 좋은 자리에 앉아라(컨닝하기 좋은 자리가 아니라 집중하기 좋은 자리.)
타. 문제는 쉬운 문제부터 풀어라!
4. ‘필드상(賞)’을 아십니까?
“공부만 하고 놀지 않으면 바보가 된다.”는 뜻의 영어 속담이 있다. 때로 적절히 노는 것도 필요하지만, 한 가지 권하고 싶은 것은 공부하기 싫을 때 읽는 책을 지니라는 점이다.
학문의 세계에서 나름으로 일가를 이룬 사람의 자서전이나 평전 등이 도움이 된다. 자신을 반성하게도 만들며, 학습 방법의 힌트도 얻고 학문의 길에 대한 안내도 되기 때문이다.
그런 성격의 책을 몇 가지 소개한다. 흔히 학술에서 최고 권위의 상이라면 ‘노벨상’(Nobel prize)을 꼽는다. 그 노벨상에는 수학 분야가 없다. ‘필드상’(Fields prize)은 바로 ‘수학의 노벨상’이라고 할 만한 상이다. 아니 그보다 더욱 받기 어렵다. 첫째, 4년에 한 번 시상되며, 둘째는 40세 이전의 학자만을 대상으로 한다.
다시 말해 제아무리 뛰어난 업적을 내더라도 40세가 넘으면 ‘말짱 꽝’이라는 말씀이다. 사족으로 수학의 경우 뛰어난 업적은 모두 20, 30대에 만들어진다는 사실.
이 글의 독자 중에서 노벨상과 필드상의 수상자가 나올 것이라 나는 믿는다. 일본인으로서 필드상을 수상한 히로나카 헤이스케의 『학문의 즐거움』(김영사, 1993)은 수학자로서 자신의 삶과 연구 활동에서의 여러 면을 말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학문하는 즐거움과 기쁨에 대해 말한다. 학문에는 배우는 일, 생각하는 일, 창조하는 일의 즐거움과 기쁨이 있기 때문이다. 「배움의 길」, 「창조의 여행」, 「도전하는 정신」, 「자기 발견」의 네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학문과 인생에 대한 저자의 메시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평범한 저자가 어떻게 커다란 연구 업적을 남겼는지 잘 보여주는 이 책은 수학의 전문 연구자를 지망하는 학생은 물론 여타 전공의 평범한 학생에게도 감동을 주리라 생각한다.
이 책에서 우리는 첫째, 현대 학문의 기초를 이루는 수학, 특히 현대 수학의 한 측면을 엿볼 수 있다. 둘째, 현재 세계 최고의 경제력을 과시하는 일본인의 삶과 사고 방식을 살필 수 있다. 셋째,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교수로 있는 저자의 경험담에서 미국의 대학 생활 및 지적 풍토에 대해 들을 수 있다.
끝으로, 강의실 만이 아니라 도서관과도 친숙해지것이 좋다.
대학에서의 학습은 스스로가 찾아가는 학습이다. 그래서 여태까지의 남이 떠먹여준 그런 학습방법으로는 스스로의 실력도 실력이지만 다른 사람에 비해 도태될 수밖에 없다.
공부에 왕도는 없지만 능동적인 자세와 여러 가지 응용할만한 방법들로 대학생활에서의 자신의 실력을 늘릴 수 있는 학습을 하는 것이 최선이라 할만하다.
그래서 그중 몇가지 적어보겠다.
1. 먼저 진로를 정하고 스스로 동기부여를 확인하라.
2. 즐기는 공부만이 최고가 될 수 있다.
3. 시간보다 내용을 중요시하는 공부를 하라.
4.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암기하려면 낮 수업 시간에 집중하는 것이 가장 좋다.
5. 노트 정리는 자기만이 알 수 있는 요점 정리를 해두어라.
6. 단면적인 것에서 심층적인 것을 찾아내는 집중력을 가져라.
7. 집중력, 최고의 학습 비결은 바로 집중력임을 기억하라.
8. 인내력을 키워라. 누가 더 오랜 시간 책상 앞에 앉아 있느냐, 하는 것이 승패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기억하라.
9. 공부할 땐 무섭게, 놀 땐 재미있게 해야 최고의 학습 효율이 나타남를 명심하라.
10. 원리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응용과 창조를 이끌러내는 습관
을 길러라.
또한 대학에서만 느끼고 즐길수 있는 생활을 해보아야겠다.
공부도 잘 하고 놀기도 잘 하는 학생이 정말 진정한 학생이며 바른 공부라고 생각한다. 논다는 것은 어떤 점에서 쉬는 동안의 여유를 통해 새로운 활력과 에너지를 비축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단지 학문만이 아니라 작은 사회의 경험이며 또한 여러 가지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이기 때문이다.
여행도 다녀보고 다양한 아르바이트 같은 경험을 통해서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등 자신의 머리와 가슴을 열리게 할수 있다.
물론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것이 어렵겠지만 대학때가 아니면 할 수 없는 것들이 많기에 권한다.
이상으로 다양한 대학생활에서의 도움이 될만한 학습 방법과 여러 가지 말들을 보았다.
모두에게 통용되는 방법은 없다. 그러나 많은 사람에게 통용되는 방법은 있다.
자신에게 맞는 학습방법으로 앞으로 나아갈 자신의 길을 위해 스스로를 가꾸고 키우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2.1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