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작성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자 본론이다.
본론에 있어서의 사실의 논증은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어 있어야 하고, 논리의 객관성이 인정되어야 하며, 그 사실의 기술을 타인이 다시 전용할 수 있도록 정확히 기술해야 한다. 체계와 정확을 기하기 위한 방법으로, "리포트"의 내용 사실을 조사, 기술할 때에는 반드시 그 사항을 카드나 메모지 등에 기록했다가 이것을 인용하면 쉽게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참고 문헌이나 자료를 조사할 때에는 항목별·사항별로 카드나 메모지에 저작명, 책명, 발간년월일, 권수, 참고한 장 절, 제목, 페이지 수 등을 기록하고 참고한 구 절, 인용 장, 절 또는 그 요지를 기록해 둔다. 전적(典籍) 이외의 참고 이를테면 민속이나 민담체집에 있어서는 장소, 연월일, 구술자의 주소, 성명, 생년월일, 경력 등 필요사항을 반드시 명기해야 한다.
문제의 사실이 기술되고, 이것을 토대로 추리, 논증하여 제시한 "리포트"의 마지막 부분을 결론이라 한다. 결론은 만사(蔓辭)여서는 아니 되고, 필요한 요점만으로 마무리를 지어야 한다.
이상으로 "리포트" 작성에 관한 일반적 방법을 이야기했으나, 이 방법이 절대적 방법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맨 뒤에 서술한 결론을 맨 앞에 먼저 내놓을 수도 있고, 본론의 단안으로 결론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것은 그때 그때의 문제의 성질에 따라 필자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방법을 쓰면 되니 문제될 것이 없고, 다만 "리포트"는 문제의 제기에서 단안까지의 논증의 과정이 체계적이며 논리적으로 엮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리포트"의 용지는 원고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구문(歐文)으로 된 "리포트"나, 계수를 많이 사용하는 "리포트"의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원고지로는 불편하니 그에 알맞는 용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리포트"의 원고에는 반드시 일련번호를 기록할 것이며, 수표나 도표 혹은 사진이 들어갈 때에는 수표(1), 도표(1), 사진(1) 등의 표시를 하여 그것을 본문에서 인용 참조할 때에 혼동이 없게 하여야 하고, 장 절의 행은 띄워 주는 것이 좋다.
"리포트"에는 주제와 작성자의 이름을 쓰고, 내용이 장 절로 분류되어 있으면 그 분류에 따라 첫머리에 목차를 써야 한다. 목차의 구성이 뒤바뀌지 아니하고 체계가 서야 "리포트"에 체계가 서게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목차의 짜임새에 따라 "리포트"의 방향도 결정된다. 목차는 가급적이면 그 항목의 주지에 따라 세분하는 것이 좋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2.2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