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 동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타지 동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판타지의 개념
1. 어원적 개념
▶ 판타지(fantasy)
2. 판타지 문학 연구 학자의 이론
(1) 토도로프의 정의
▶ 토도로프 정의의 문제점
(2) 톨킨의 정의
(토도로프 돌킨 비교 표로 제시)
(3) 그 밖의 학자들
① 스미스(L.H.Smith)
② 윈체스트
③ 카를 폰 융
④ 이재철
⑤ 김영희

Ⅱ. 판타지 동화의 의의
1. 상상력과 창조력 발달의 원동력
⑴ 상상력과 창조력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
① 칸트
② 비고츠키
③ 노드롭 프라이
⑵ 상상 작용의 중요성이 훨씬 강조되는 문학 양식: 판타지
◎ 캐스린 흄
《예시》루이스 캐롤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미카엘 엔데의 『끝없는 이야기』
⑶ 판타지를 선호하는 어린이들
2. 자아 동일성의 회복
(1)소설과 판타지 동화의 차이점 (표 제시)
(2) 판타지 주인공이 살아가는세계
《예시》『끝없는 이야기』
조버닝햄의 『지각 대장 존』
(3) 판타지와 소설의 결말 (표로 제시)
《예시》 『끝없는 이야기』
『괴물들이 사는 나라』
(4) 판타지 동화의 이야기 구조
(5)사실동화와 판타지 동화(표 제시)
《예시》 박기범의 『문제아』
- 리얼리즘 동화 :
- 판타지 동화 :
3. 삶의 총체성 체험
(1)루카치
(2)총체성이 회복된 판타지의 공간
(3)현대 판타지 동화가 총체성을 갖기 위한 조건과 장치
《예시》『나무꾼과 선녀』
《예시》『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4. 일상에서의 일탈과 정신적 해방 체험
(1) 판타지 동화
①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②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2) 현대의 우리나라 어린이들과 비교

Ⅲ. 판타지 동화의 감상 방법
1. 상상력과 경이의 마음을 가지고 읽자
2. 육감을 가지고 읽자
3. 스스로 자진하여 불신의 생각을 중단하며 읽자
4. 주의를 집중해서 읽자
5. 이야기 속에 흐르고 있는 교훈을 느껴보자

본문내용

해주고, 마음의 문을 활짝 열고, 새롭게 깨어나게 해줄 수 있는 판타지 동화의 필요성이 절실해진다.
Ⅲ. 판타지 동화의 감상 방법
1. 상상력과 경이의 마음을 가지고 읽자
판타지가 지니는 특질은, 현실을 다루는 픽션의 특질과는 잘 맞지 않을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판타지의 특질은 그 자신의 법칙(法則)과 규범이 구비되어, 만약 우리들이 올바른 평가의 기준을 가지고 대하면 십분 납득이 가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어린이가 판타지를 쉽게 받아들이는 까닭은 어린이한테는 상상력과 경이(驚異)의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모든 어린이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이 특질을 잃어버린 어른은, 자기 실생활과는 멀리 동떨어진 순수(純粹)하게 공상적인 내용의 작품을 진지하게 판단하라고 하면, 어쩔 줄 모르는 수가 있다.
2. 육감을 가지고 읽자
이 판타지라는 이질(異質)의 세계에 들어가자면, 어른은 우선 하나의 마음가짐을 발견하지 않으면 안 된다. E·M·포스터는, 「소설(小說)의 제상(諸相)」속에서, 판타지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어떤 경우에도 제일 쉽게 픽션의 한 부문을 정의하는 방법은, 그 픽션이 독자한테 어떤 것을 요구하는가를 생각해 보는 일이다. 판타지는 우리한테 어떤 것을 요구하는 것일까? 우리들이 보통보다 무엇인가 한가지 더 덤으로 지불할 것을 요구한다."
이 말은 우리들이 보통의 스토리를 읽을 때의 마음가짐 이상으로 무엇인가 즉, 제 육감같은 것을 가질 것을 판타지는 요구한다. 어린이는 모두 이 제 육감을 가지고 있지만 대개의 어른들은 어린이라는 옷을 벗을 때에 제 육감도 함께 벗어 놓고 온다. 키플링의 「푸크 언덕의 퍼크」중의 『딤처어치의 밤의 도망」이란 장(章)을 보면 이 제육감이란 요정(妖精)들이 인간의 친구들에게 두고간 선물이라는 것을 암시한 데가 있다. 그 얘기에 의하면 헨리 8세가 종교 개혁으로 영국에 온통 혼란을 일으켰을 때, 요정들은 "무슨 일이 있든지 이곳에서 도망치자. 메리·잉글랜드도 이것으로 마지막이다. 우리들은 우상과 같은 것으로 되어 버렸다." 하고 외치면서 로무니이 소택지에 숨을 곳을 찾았다.
요정들은 떼를 지어 소택에 몰려와서, 사방은 그들의 울음 소리로 가득 넘치었다. 그래서 이 소동을 들은 위트기프트의 과부는 어느 날 밤 문앞에 나가 보았다. 처음에 과부는 해자속의 개구리가 우는 소리이거나 갈대의 소리인 줄로 알았다. 그러나 그 뒤에 그 여자는 요정의 소리라는 것을 알았다. 그 여자의 귀에는, 자기 아들의 배로 차비를 시켜 프랑스로 동망치게 해 달라는 외침으로 들렸다. 배가 영국을 떠났을 때, 요정 중에선 버크만 뒤에 남았다. 버크와 함께 남은 것이 또 하나 있는데 그것은 은혜를 느낀 요정들이 위트기프트의 과부한테 약속하고 간 선물로서 즉, 그 여자의 후손 중에서 1대에 한 사람은 돌로 된 벽 속을 다른 사람보다 깊이 투시할 수 있는 힘인 것이었다.
3. 스스로 자진하여 불신의 생각을 중단하며 읽자
다른 사람들보다도 좀더 깊이 돌 벽을 들여다보기 힘을 얻기 위해서는 독자는 코울리지가 말한 "스스로 자진하여 불신(不信)의 생각을 중단하는" 것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스토리 속에 판타지가 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한테는 이해를 방해하는 하나의 장해다. 이 사람들은 현실이 차단되어 있다는 전제를 자기들의 지성으로는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어린이를 위하여 쓴 책 속에서 가장 미묘하고 깊은 아이디어가 보이는 것은 판타지의 작품 속에서의 일이다. 판타지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것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점에 대해, 스스로 공감의 귀를 기울이는 태도뿐이다. 저자의 창조력이 얼마나 크고, 또 책의 내용이 얼마나 지적인 것이든지 간에 우리들한테 귀를 기울이고자 하는 생각이 없다면 조금도 즐거움이 생기는 않는다.
4. 주의를 집중해서 읽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예로 들어보자. 이 책만큼 읽은 사람들한테 일생을 통하여 이처럼 「즐거움의 배당(配當)」을 풍부하게 준 판타지의 책은 또 없다. 더욱이 세상에는 앨리스라고 하면 그냥 조그만 여자애라든가 토끼라든가, 또는 정신병자인 모자 장수라든가 고양이를 어렴풋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십중팔구, 퍼어시러보크가 픽션을 읽는 데 대하여 말한 것처럼, "우리들은 너무 급하게 읽어 버렸기 때문에 그 모습이 나중까지 오랫동안 마음에 남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부주의하게 읽는다든지 건성으로 읽어버린 경우에는 그야말로 절반은 잊어버린 꿈과 같이 맥락도 없고 제 모습도 갖추지 못한 이상한 일이 많이 있었다는, 혼란된 인상밖에 남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주의를 집중시켜서 이 책을 읽고, 우리들의 신병(身病)을 루이스·캐럴한테 맡기는 경우, 처음으로 우리들은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앨리스 속에서 찾아내고 즐긴 사라지지 않는 기쁨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일상생활에 있어서나 문학상으로나, 그렇게 자주 「앨리스」한테서 어떤 대목을 인용해야 하는데 대해 수긍이 갈 것이다.
5. 이야기 속에 흐르고 있는 교훈을 느껴보자
「천로역정」은 존·버년이 인간이 이 세상을 편력(遍歷)하는 동안에 원죄(原罪)의 무거운 짐을 짊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어른한테 가르치려고 쓴 것이다. 그러나 버년은 이와 같은 신학적 교훈을 풍부한 우화로 꾸민 수법을 썼다. 그는 단순하고 힘찬 말을 구사하여, 모험 이야기로서 이것을 얘기했다. 그래서 어린이들은 이 얘기를 자기들의 책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어른들이 아무 맛 없는 모랄과 교훈적인 이야기로 어린이들을 개선하려고 애쓸 때 판타지 소설은 그런 것들에 대한 해독제로서 일해 왔다. 따라서 판타지를 읽을 때에는 그 상황을 즐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야기 속에 흐르고 있는 교훈을 느끼며 읽으면 두 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참고문헌
1. 권혁준(2002), 아동문학에서 판타지의 개념과 범주, 공주교대논총 제39집 1호
2. 박상재(1998), 한국 창작동화의 환상성 연구, p15-16, 집문당
3. 권혁준(2002), 판타지 동화의 문학교육적 의의, 공주교대논총 제39집 2호
4. 릴리언 H.스미드(1966), 아동문학론, 교학연구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1.13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8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