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매춘의 정의

III. 매춘의 역사
A. 고대
B. 중세
C. 근대
D. 한국

IV. 매춘에 대한 이론적 배경
A. 페미니즘
B. 사회 생물학적 입장 (사회 다위니즘)
C. 사회주의적 관점
D. 매춘여성의 권리 옹호주의자
E. 매매춘에 대한 논쟁

V. 매매춘에 대한 영향 요인
A. 경제적 요인
B. 사회·문화적 요인 - 가부장제 -

VI. 매춘의 실태
A. 매춘 여성의 실태
(1) 매춘여성의 일반적 특성
(2) 매춘의 동기
(3) 매춘으로의 유입경로
(4) 경제상황
(5) 건강상태
(6) 매매춘에 대한 인식
(7) 앞으로의 희망
B. 남성들의 실태
<표 1> 매매춘 이용 경험
<표 2> 2003년 한 해 동안 매매춘을 경험한 남성

VII. 매춘에 대한 관점
A. 남성 우월주의
B. 온정주의 페미니스트

VIII. 마치는 글

본문내용

어 오던 남성위주의 성문화는 성의 상품화가 자연스러운 현상인 것처럼 받아들여졌고 또 더욱더 광범위하게 재생산됐다. 성의 상품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매춘은 상업주의적인 영리를 목적으로 발전되었다.
B. 온정주의 페미니스트
온정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매매춘에서 여성들을 제거하자고 주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매춘 여성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도록 여러 가지 위험 요소를 제거하자고 주장한다. 개개인이 놓여 있는 환경에서 그 개인을 제거함으로써 개인이 보호받는 것이 아니라 직업상의 위험을 주는 환경과 조건을 개선함으로써 개인이 보호받는 것이다. 온정주의 페미니스트에 의하면, 진실로 매춘 여성들이 위험에서 벗어나기를 원한다면 먼저 매춘이 합법적으로 간주되고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매매춘이 근절될 수 없을 바에야 합법화해서 매춘 여성들을 보호하자는 논리이다. 매매춘이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매춘 여 성을 불법적으로 폭행하고 성적으로 착취하는 일이 난무하다는 것이다. 합법적인 매매춘인 경우 매춘여성이 계약상의 성적인 서비스 외의 성적인 요구, 폭력 그리고 인격적 모독을 당했을 경우 남성들을 계약 위반과 폭력 혐의로 고발할 수 있게 된다. 비합법적인 매매춘에서 매춘여성의 존재 자체도 비합법적이기 때문에 여성들은 성적, 경제적 착취와 폭력에 시달린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대부분의 풋내기 매춘 여성들은 매춘을 '직업'으로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들이 자신을 사회적으로 낙인찍힌 매춘부로 인식하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은 손님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반응과 타인들이 자신들에게 붙이는 딱지 때문이다. 다른 사회 구성원들이 스스로 선택한 직업이 존중받고 있다면, 매춘 여성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직업도 보호받아야 한다. 매춘 여성 개개인에게도 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할 권리가 있다.
VIII. 마치는 글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매춘은 여성에 대해 가장 착취적이고 억압적이다. 그러므로 매춘문제에 대해서는 올바른 인식이 절실히 필요하다. 우선 올바른 인식을 하기 위해서는 "매춘은 사회의 필요악"이라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기초한 사회 통념을 탈피해야 한다. 그와 동시에 지배계급의 남성이 자신들의 타락한 성생활을 정당화하기 위해 묵인되고 조장되는 매춘과 성의 상품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매춘에 문제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매춘을 통해 성적 착취를 당하고 있는 여성들의 인격회복과 권리회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에서 매춘문제를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매춘은 가부장제에 의한 일부일처제의 양면성, 즉 아내에겐 정조를 그 외의 여성에겐 매춘을 요구하는 것이 하나의 제도로 자리 잡아 문제로 구조화 되는 것이다. 매춘을 남성의 입장에서 보는 경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크게 작용하여 "사회의 필요악"이라는 옹호입장을 가지게 될 것이다. 반면 여성의 입장에서 본다면 매춘은 여성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최악의 형태로서 여성을 비인간화시키는 비인권적인 문제이다. 또한 매춘여성은 남성들의 수요에 의해 사회적으로 창출되는 것으로 가부장제에 의한 일부일처제의 모순적인 구조에 기인한다. 따라서 매춘의 문제를 남성적 입장에서 본다는 것은 가해자의 입장에서 자신을 합리화시키고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매춘의 문제는 그 피해자인 여성의 입장에서 그리고 계급과 성차별의 연관관계속에서 사회적으로 매춘문제를 보아야 할 것이다. 남성의 지배질서 아래서 남성의 매춘행위를 합리화시키고 매춘이 "사회의 필요악"이라는 남성의 이중적 성윤리의 잣대를 청산해야할 것이다. 왜냐하면 매춘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닌 인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매춘은 필요악"이라는 말이 "매춘은 사회악"이라고 바뀔 때 비로소 매춘이 성의 중립성을 띠게 된다.
여성이 매매춘에 종사하게 되는 가장 큰 동기는 '돈을 벌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들이 접근할 수 있는 공식적인 직업에의 접근기회는 매우 적다. 더욱이 IMF 체제하에서 실업 대상자의 우선순위가 여성이라는 사실을 감안해 보면 이들이 유흥업소로 유입될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취업기회에 있어서 여성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실업 혹은 퇴출에 있어서도 여성이라는 사실하나로 우선순위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매춘을 근절시키기는 해야겠지만 우리는 또한 매춘여성의 입장에서 매매춘의 문제를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매춘여성의 입장에서 볼 때, 그들을 보호하는 데에 있어서는 매매춘이 비합법적이기보다는 합법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중요하다. 합법화된 매매춘에서는 매춘여성에 대한 경제적, 성적 착취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매춘 여성들을 보호하려면 이른바 건전한 시민들이 그들을 대하는 적대적이고 경멸적인 태도로부터 보호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사회 환경까지도 개선해야 한다. 매춘 여성들은 적대감과 경멸의 시선 때문에 심리적 위축과 정신 질환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박종성. 억압의 음모와 도피의 흉계. 권력과 매춘. 서울. 1996년. 도서출판 인간사랑.
박종성. 매춘의 정치사회학. 한국의 매춘. 서울. 1994. 도서출판 인간사랑.
변화순, 황정임. 산업형 매매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8. 도서출판 한학문화.
알렝 꼬르벵. 娼婦. 이종민 역. 서울. 1995. 동문선 출판.
윤가현. 성 문화와 심리. 서울. 1998. 학지사.
이성숙. 매매춘과 페미니즘, 새로운 담론을 위하여. 서울. 2002. 책세상.
편집부. 사랑의 품앗이 그 왜곡된 성(性). 서울. 1988. 도서출판 등에.
하은경. 그러나 매춘은 없다. 서울. 1994. 도서출판 새길.
http://chunma.yeungnam.ac.kr/~m
0012036
http://100.empas.com/entry.html/?i=2236&Ad=kfd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http://soback.kornet.net/~daldong/ethics/d17.htm
http://pgeh.hs.kr/~win/htmfile/g12.ht
http://aids.hallym.ac.kr
/성폭력/bk01/18cm04.html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2.23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