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이 외식업에 미친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기불황이 외식업에 미친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내 환경변화

2. 외식 환경변화의 추이

3. 최근 외식업 소식(신문기사 인용)

4. 외식업계 현황 및 시장동향
전체업계현황
패스트 푸드
패밀리 레스토랑
피 자
단체급식
기 타
***신문 스크랩자료***

5. 일본 외식산업

6. 외식업체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안

7. 2000년 이후 외식환경 변화와 트랜드 전망

본문내용

발전해 나가고 있다.
☆ 일본 외식업체 99년도 매출 순위표


회사명
분야(업종)
연매출
(백만엔)
전년도 대비
증가율(%)
점포수
본사
1
일본 맥도날드
햄버거
39,436
4.4
3,258
동경
2
스카이락
양식관련업종
195,981
-
1,447
동경
3
홋카홋카停총본부
주먹밥,도시락
173,995
0.8
3,297
동경
4
일본 KFC
치킨
131,565
-0.4
1,290
동경
5
더스킨
도넛츠
130,830
2.9
1,234
오오사카
6
모스푸드
햄버거
130,000
1.9
1,567
동경
7
혼케가마도야
주먹밥,도시락
121,646
2.3
2,588
효오고현
8
로얄
양식전분야
102,483
1.4
537
후꾸오카
9
몬테로사
대중주점
112,470
11.7
682
동경
10
데니즈
양식전분야
92,028
-7.1
527
동경
11
요시노야
덮밥류
91,000
8.6
735
동경
14
小僧스시
생선초밥
76,726
-10.9
1,699
동경
18
왕만두장군
중국요리
59,085
3.7
452
교토
19
시닥스
집단급식
58,000
6.8
2,128
동경
20
롯데리아
햄버거
56,800
-
621
동경
25
일본 레스토랑 엔터프라이즈
열차식당
44,785
1.4
248
동경
5. 외식업체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안
1. 기존 매출외형 위주의 양적 팽창인 하드웨어에서 분위기, 서비스, 편익성, 가치등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정보화와 인터넷 환경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 매장의 팽창만이 아닌 소비자들에게 어떤 서비스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가를 연구해야한다.
- 인터넷 음식주문 문화
· 메뉴 114, 배고파 서비스 등 음식배달 전문 사이트 준비중
· 인터넷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새로운 문화가 조성되고 있다.
· 그 중 인터넷을 이용하는 계층과 맞아 떨어지는 피자업계가 호황
- 인터넷 마케팅
2. 내 점포만이 가질 수 있는 컨셉, 독창적, 차별적 유리성을 토대로 시장 세분화와 마케팅 포지셔닝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상품개발과 창의적인 아이 디어의 접목 등 환경변화에 재빠르게 대응.
- 최근 불황속에서도 국내 외식업계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
- 특히 강남을 중심으로 새로운 컨셉의 독자적인 식당이 생겨나고 있다.
- 고객들도 역시 새로운 것을 갈망하고 있다. → 고객의 니즈 파악
3. 점포 내에서 이루어지는 식사개념을 벗어나 보다 포괄적인 측면에서 테이크아웃, 배달판매를 활성 화시키고 동일산업 내 혹은 타산업과 공동 출점이나 복합점을 지향 하면서 전략적 제휴와 공동 마케팅을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 5개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의 전략적 제휴, 공동 인터넷 마케팅 실시
· 5개 업체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해 사이버머니, 마일리지 공동 사용.
· 공동 이벤트 행사 실시
4. 상권특성에 맞는 다양한 메뉴전략과 판촉전략을 통해 브랜드인지도 향상과 점포 흡인력을 강화 해야 한다.
- KFC 두타점 인근 상점에 배달판매 월평균 5천만원 이상의 매출
5. 고정 고객확보 전략, 투자 최소화 전략, 객단가 최대화 전략, 경비 최소화 전략, 회전율 최대화 전 략 등을 구사하여 경영관리를 제고시켜야 한다.
6. 식자재의 안정 공급성 확보와 품질, 가격경쟁력 등 경제성을 높인다.
- 일반적으로 외식업계는 식자재 비율을 평균 32∼35% 선으로 유지하여야만이 어느 정도의 수익 을 걷을 수 있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은 식자재비의 지속적 상승 추세는 강력한 식자재비 조절 이 없이는 성공의 길이 희박하다
- 과거의 경험자들에 의하면 식품 service업체는 대략 식품비와 인건비가 판매액의 75%를 초과하 지 않으면 업체는 이익을 볼 것이 라고 하고 있으나, 계속 상승하고 있는 재료비와 인건비 때문 에 사실상 70%선을 지킨다는 것은 어려워지고 있다.
7. 인력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채용, 육성, 개발의 중대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구축으로 교육훈련을 극대화하고 외식 기업문화 창출을 통해 비전과 세계화 마인드를 제고시킨다.
- 외식산업이야말로 인적산업, 현재 업체들은 종업원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 특히 최근 경기 회복으로 대형 외식기업은 물론 일반 외식업소의 개점이 늘어남에 따라 중간관 리자는 물론 주방, 홀 등 전 분야에 걸쳐 종업원 구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한다.
- 외식산업 경영주들의 과감한 투자, 외식산업 전문교육센터 운영 등의 노력 필요
6. 외식환경 변화와 트랜드 전망
1. 특징 없는 영세성 소규모 점포의 경쟁력 상실, 중소형 체인본부 및 가맹점의 폐업이 증가
- 외식산업의 전체적 매출은 증가하지만 대부분 외국계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패스트푸드 업체 혹 은 대형브랜드를 한 업체
- 전체적인 상황은 매우 비관적이며, 특히 지방의 외식업체는 심각
2. 외식시장 선점경쟁 가속화
- 우리나라의 외식시장 규모 약 3조원
- 대형 외식업체들을 중심으로 시장 선점 경쟁이 가열. 점포수 증대
예) 롯데리아 150개 신규오픈, 피자헛 50개, 맥도날드 40개, KFC 48개, 버거킹 30개,
이외 각종 패밀리 레스토랑들도 가세.
- 점포도 점차 대형화, 고급화 추세
3. 일본식 주점형태나 변형된 주점이 다수 증가
- 국내에 점차 생겨나는 신세대형 주점은 사실상 일본의 대중주점의 형태를 모방한것이다.
일본의 대중주점인 로바다야끼나 이자가야를 한국식으로 개량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메뉴에 있어서도 일본의 대중주점을 상당부분 모방하고 있는 것이 현실.
4. 이탈리안 레스토랑 등 특정 테마의 브랜드가 경쟁적으로 도입, 탄생
- 일본은 많이 대중화, 국내는 아직 도입기
- 삐아몬테, 아마또네, 솔레미오, 뽀모도로 등 이탈리아 음식전문점 창업 활기
- 이 밖의 베트남, 태국 요리 등의 전문점과 국내·외에서 개발된 퓨전요리 전문점등 각종 테마의 브랜드 도입
5. 인터넷 마케팅 전략이 다양하게 전개
6. 전문 외식업체의 전산화와 정보화 시스템 구축
→ 국내 외식산업은 타산업과의 변화 적응력 속에서 변화와 발전을 추구
외식산업의 근대화, 제2의 외식혁명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
  • 가격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2.29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9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