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명사와 도솔가, 처용랑과 망해사의 내용풀이와 배경설화, 작품 해석의 문학적 관점, 민속학적 관점, 불교적 관점, 정치ㆍ사회학적 관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명사와 도솔가, 처용랑과 망해사의 내용풀이와 배경설화, 작품 해석의 문학적 관점, 민속학적 관점, 불교적 관점, 정치ㆍ사회학적 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삼국유사
2. 향 가

Ⅲ. 월명사와 도솔가
1. 내용풀이
2. 배경설화
3. 작품의 해석

Ⅳ. 처용랑과 망해사
1. 내용풀이
2. 배경설화
3. 작품의 해석

Ⅴ. 결 론

본문내용

왕권에 승복하지 않는 지방 호족의 자제이고, 헌강왕의 개운포 출타는 지방 호족의 무마책이고, 동해 용왕의 조화는 지방 호족의 중앙 왕권에 대한 도전의 표시이며, 용의 아들 처용의 入京과 왕정보좌는 고려의 其人制度와 같이 호족의 자제를 인질로 잡은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처용의 아내를 범한 역신을 중앙귀족의 자제의 타락한 모습으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처용가는 지방호족이 중앙귀족에게 느꼈던 갈등의 표현으로 보았다.
넷째, 불교적 측면에서 선자관비(善自寬譬)의 미학을 표출했다.
처용가는 불교적 사심을 성취한 고도의 문학으로 覺月이라는 천상적 이미지와 간음이라는 지상적 이미지, 그리고 처용과 역신의 대립에서 비롯된 긴장감을 조성하였다. 또 처용의 적극적인 관용과 화해, 포용의 내용으로 선자관비를 표현하였다.
따라서 처용가는 불교에서 말하는 \'執\'을 버린 상태, 즉, \'무득자재\'의 깨달음을 노래한 佛歌로 해석한다.
Ⅴ. 結 論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는 일연이 기존 史書에서 간과해 버린 古代史와 佛敎史의 많은 부분을 다방면의 史料를 모아 폭넓게 전개한 野史이다. 또한 향가는 통일신라 이후, 한반도 전역에 걸쳐 확산되었고, 민족문학으로서의 개성을 뚜렷이 형상화한 귀중한 문학적 유산이다. 그것은 향찰로 표기된 우리말 노래이며, 우리말로 된 최초의 기록문학이며 개인 創作詩였다는 점에서 문학적 의의와 민속신앙과 결합된 민족정서를 표현했다는 점에서 무속학적 의의를 갖는다.
삼국유사에서 향가가 나오는 대목으로는 \'권5 감통\'에서의 월명사와 도솔가, \'권2 기이\'에서의 처용랑과 망해사이다.
먼저 월명사가 지은 도솔가에 대해 요약하면, 도솔가는 두 개의 해가 나타나는 변괴를 보고 미륵불을 맞아 물리치고자 부른 민요형식의 4구체 향가로서 불교적, 주술적 성격으로 國泰民安을 주제로 하였다. 작품을 해석하기 위해 첫째 불교적ㆍ민속학적 측면을 보면 기원문의 짜임을 내포하고, 미륵보살의 공덕으로 국변을 극복하고자 하는 주술적인 성격을 갖는다. 둘째, 문학사적 측면에서 도솔가는 최초의 정형시, 서정시이며, 셋째, 정치ㆍ사회학적 측면에서 해석할 때, 해가 둘이 된 현상은 왕권을 둘러싼 두 파벌간의 대립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처용랑과 망해사는 처용이 아내가 역신과 잠자리를 같이 하고 있는 것을 보고 노래한 8구체 향가로서 축사의 노래, 주술적 무가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역신의 축출을 주제로 하였다. 해석의 여러 측면가운데 첫째, 민속학적 측면에서 처용가는 용신제의에서 불려진 무가 또는 呪歌로 해석되고 있다. 둘째, 문학적 측면에서 향가 해독의 실마리를 제공한 작품으로 보고 셋째, 정치ㆍ사회학적 측면에서 지방호족의 중앙귀족에 대한 갈등을 표출하였고, 넷째, 불교적 측면에서는 처용의 적극적인 관용과 화해로 善自寬譬의 미학을 보였다고 해석한다.
도솔가와 처용가를 정독하고 우리의 향가가 다양하고 재미있는 소재를 다룬 배경설화를 바탕으로 꾸며졌으며, 그것의 중요한 문학적 자료로서의 위치를 확인할 있었다. 또한 민속신앙과 결부된 민족의 정서를 표현한 것임에 더욱 더 정감을 주며,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한가지 아쉬운 점은 삼국유사의 원문을 찾으려는 노력이 미약함을 들겠다. 이것은 앞으로 우리모두가 이루어야할 과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ㆍ리상호(1990), 「북역 삼국유사」, 신서원
ㆍ이재선(1979), 「향가의 이해」, 삼성문화문고
ㆍ김준영(1982), 「향가문학」, 형설출판사
ㆍ최철(1985),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ㆍ _ (1983), 「향가의 본질과 시적 상상력」, 새문사
ㆍ나경수(1995), 「향가문학과 작품연구」, 집문당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4.24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