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체형 및 성격
가. 태양인
나. 태음인
다. 소양인
라. 소음인
2. 체질모형도
3. 식이요법
가. 태양인
나. 태음인
다. 소양인
라. 소음인
4. 유익한 정보
가. 태양인
나. 태음인
다. 소양인
라. 소음인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및 참고싸이트

본문내용

하면 정신이 집중되어 성적이 향상될 수 도 있다.
. 수면방향 : 머리를 남쪽으로 두고 주무시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 반지 착용법 : 열소양인은 3지에 은반지를 끼고 한소양인은 5지에 금반지를 끼면 장부의 허·실을 보완 할 수 있다.
. 운동 : 상체보다 하체가 약하므로 하체를 단련시키는 운동이 좋다. 그러나 무리한 운동은 금하는 것이 좋다.
. 목욕 : 소양인은 뜨거운 곳에 목욕을 하시면 노폐물을 바깥으로 내보내어 몸이 가벼워진다. 여름철이라도 너무 찬물에 목욕을 사시면 좋지 않다.
라. 소음인
1) 인물
[삼국지]의 백미 제갈공명, [죄와벌]의 작가 도스토예프스키, [빠삐용]의 더스틴 호프만, [로마의 휴일]의 신문기자 조 브레들리, [닥터 지바고]의 유리 지바고, 시인 김소월, 화가 이중섭 등이 소음인의 장점을 유감없이 발휘했다고 보여진다. 이들을 통하여 소음인의 성향과 사회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2) 건강관리법
비만인 경우 소음인은 주로 부분비만 형태로 나타나며, 비만의 부위는 강한 부위와 약한 부위로 대별될 수가 있다. 강한 부위는 하체인데 하체와 얼굴은 나이가 들어도 예쁘나 배 이상과 어깨 상반부에 불균형적인 지방 축적이 일어나거나 상체는 잘 균형이 잡혀 있는데 하체만 지방 축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전체적인 비만은 거의 없다. 소음인은 주로 부분비만이 대부분이나 오랫동안의 식생활 습관과 질병에 의하여 전체비만인 경우도 가끔 있다.
소음인은 주로 신경이 예민하며 소화장애에 걸리기 쉽다. 소음인의 비만은 대부분이 스트레스와 소화장애의 의한 비만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므로 소음인은 스트레스를 이기기 위한 적당한 운동과 소화장애가 생기면 곧바로 치료해 비만을 예방해야 한다.
소화장애로 비만이 생긴다는 말은 언뜻 듣기에 이해가 잘 안될 것이다. 비만인 중에는 오히려 정상적인 사람보다 훨씬 소식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살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심한 경우는 1일 기초대사량에도 못미치는 식사를 하며 억지로 음식을 먹어도 곧 토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한의학에서 위장과 비장은 소화흡수만을 담당하지는 않는다. 비 기능은 인체의 가장 중요한 운화작용(運化作用)을 주관하는 장기이다.
운화작용이란 체내에서 발생되는 운행과 변화를 조절하는 작용을 말한다. 에너지 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바로 운화작용이 원활해야 한다. 운동중 발생하는 지방의 에너지 대사도 일종의 운화작용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위장이 약하면 운화작용의 능력이 떨어지게 되면 이로 인하여 지방의 에너지 대사가 떨어지고, 조금밖에 먹지를 못하는데도 살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소음인은 소화기장애, 혈액공급장애, 신경증세, 심장쇠약, 몸이 차서 오는 증상들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므로 소음인은 항상 몸을 따뜻이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음식에 절제가 있고 따뜻한 음식을 많이 먹고 찬 것을 삼가며 규칙적인 식생활을 가져야 한다. 원래부터 신경이 예민한 편이므로 가급적 활동적인 생활과 일을 하는 것이 불안신경증이나 심장쇠약 등을 예방하는 길이다
3) 기타 정보
. 색깔 : 노란색 계통의 속내의를 입으시면 인체에 유익하다. 파란색 계통은 피하는 것이 좋다. 소음인 학생은 책상 바로 앞면에 노란색으로 도배를 하면 정신이 집중이 되어 성격이 향상될 수 있다.
. 수면방향 : 머리를 북쪽으로 두고 자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 반지 착용법 : 열소음인은 5지에 은반지를 끼고 한소음인은 3지에 금반지를 끼면 장부의 허·실을 보완할 수 있다.
. 운동 : 소음인은 스트레스가 깥이면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심장을 단련시킬 수 있는 줄넘기, 달리기 등이 좋다.
. 목욕 : 너무 뜨거운 물이나 사우나를 오래 하지 말고 찬물에 목욕하는 것이 좋다.
Ⅲ. 결 론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상에는 50억이라는 많은 인간이 살고 있다. 이렇게 많은 인간이 살고 있는 이 지구상에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된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학 문명들이 발달하면서 우리 인간들을 편리하게도 하지만 불안하고 괴롭게 함은 물론 우리들을 공해 속으로 휘몰아 넣어서 많은 질병에 시달리게 하기도 한다. 결국 오늘날의 인간들은 과학 문명을 통해 윤택한 생활을 얻는 동시에 현대 병이라는 무서운 질병에도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질병을 극복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많은 성과를 가져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는 그 대상을 인간에 맞춘 것이 아니라 병의 원인에 맞춘것이라 할 수 있다. 근간의 예를 들어보면 누구든 옆 사람이 좋다는 음식이면 따라 가서 먹는다던가, 무슨 병에는 무엇이 보약이더라는 식의 습식 및 복용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은 현대병에 시달리는 많은 사람들이 조급한 나머지 서두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어떤 사람은 그 음식이 몸에 좋았는데 어떤 사람은 그 음식을 먹고 나서 배탈이 나거나 설사를 했다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것은 약도 마찬가지이다.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하는 의문이 일어나는데 그것은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모든 사람이 다 같은 체질일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로 서양 의학에서 밝혀진 것처럼 각각 개인의 혈액이 서로 다른 것과 같은 이치라 할 수 있겠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 동양의학에서는 인간의 체질을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체질이 무엇인지를 바로 알고 그에 대한 식습관이나 생활방식을 우리의 체질에 맞게 적용해야만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및 참고싸이트
1. 참고문헌
도 서 명
저 자
출 판 사
사 상 의 학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집문당
한방과 건강 `98년 5월호
"사상 체질의학"
동국대 한벙체질병원
사상체질과
금성문화사
2. 참고싸이트
http://www.inews.org/medicalplant/
http://www.yoonhani.co.kr/html/sasang1.htm.
http://www.geocities.com/HotSprings/Bath/9729/
http://www.hanyaksarang.co.kr/han/han3.htm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5.17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1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